정부·유통업계, 일련번호 의무화 놓고 '동상이몽'

복지부, 동영상 제작·현장점검 등 준비 박차
업체들 "의약단체 협의 없인 안돼" 아쉬움 표해

이상훈 기자 (kjupress@medipana.com)2016-10-13 06:06

[메디파나뉴스 = 이상훈 기자] 정부가 내년 7월 의약품 일련번호 의무화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유통업계는 여전히 시기상조라며 팽팽히 맞섰다.
 
유통업계는 아직도 요양기관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기술적인 부분에서 가이드라인이 미진하다며 보완을 촉구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복지부는 일련번호 의무화 시행을 앞두고 동영상 제작에 착수했다. 지난주 실무진 차원에서 세부적인 교육내용에 대한 확인을 거쳤으며, 조만간 제작에 들어간다.
 
교육자료에는 그동안 진행된 설명회 내용을 비롯 일련번호에 대한 유통현장 궁금증을 담아 효과적인 제도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동영상 제작과 함께 복지부는 일련번호 제도 중간 점검을 위해 현장방문도 진행한다.
 
이처럼 정부가 예정대로 제도시행을 준비하고 있는 반면, 유통업계는 아직 제도시행은 시기상조라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여전히 제도 성패를 가늠할 유통상 난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게 주된 이유다. 무엇보다 유통업계는 약국과 병원 등 요양기관 협조를 끌어내기 위한 협의체 마련을 주문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요양기관 협조가 중요하다. 특히 제도가 원만히 시행되기 위해서는 병원과 약국 거래관행이나 기존 거래방식이 변화되어야 하는 만큼 각 의약단체와 협의를 진행해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2D바코드와 RFID 병행 문제, 어그리게이션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도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대형 유통사가 아닌 중소형 업체들을 위한 컨설팅 필요성도 거듭 당부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례로 현재 제조사 편의대로 만들고 있는 어그리게이션이 현장에서 무리없이 적용될 지 의문"이라며 "2D와 RFID도 아직까지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실 대형 업체들이야 나름 준비를 하지만 문제는 정작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중소업체"라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보완책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약품 일련번호제도는 지난 7월부터 제약사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되고 있으며, 내년 7월부터는 유통업계를 대상으로 의무화된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