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셀트리온 성장세에 '1조 클럽' 제약사 1분기 '약진'

총 매출액 4조5348억원, 영업이익 7640억원, 순이익 5993억원 기록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제외 시 '1조 클럽' 실적 증가폭 감소
유한양행, 영업이익 큰 폭 증가
GC녹십자 흑자전환 성공…대웅제약 매출액 및 이익 모두 성장
한미·종근당·보령·광동제약, 이익 감소에 다소 아쉬운 실적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5-14 05:59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연매출 1조원을 넘긴 '1조 클럽' 제약사들의 1분기 성적표가 나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실적 향상이 큰 폭으로 이뤄지면서 전체적인 실적도 상향했다.

현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연매출 1조원을 넘긴 '1조 클럽'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종근당, 한미약품, GC녹십자, 광동제약, 대웅제약, 보령 등이 포함됐다. 2023년까지는 8개 기업이었으나, 보령이 지난해 매출액 1조원을 달성하면서 9개로 늘어났다.

메디파나뉴스가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1조 클럽' 9개사에 대한 1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연결기준, 종근당 별도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한미약품과 광동제약을 제외하고 모두 성장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에서는 감소한 기업이 더 많았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GC녹십자, 유한양행 등의 영업이익 및 순이익 성장 폭이 다른 기업들의 감소 폭을 상회하면서 '1조 클럽' 전체 실적도 상향했다. 9개 기업의 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13.6% 증가한 4조5348억원, 영업이익은 105.1% 증가한 7640억원, 순이익은 5993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제외하면 7개사는 전년동기 대비 총 매출액은 3.8% 증가한 2조3946억원, 영업이익은 5.8% 감소한 1279억원, 순이익은 21.9% 증가한 1154억원으로 집계된다.
'1조 클럽' 9개사를 개별적으로 살펴보면,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년동기 대비 37.1% 증가한 1조298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19.9% 증가한 4867억원, 순이익은 109.4% 증가한 3756억원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장은 1~3공장 풀가동 및 4공장의 안정적인 램프업(가동 확대)으로 글로벌 빅파마를 포함한 주요 고객사 수주 확대, 우호적 환율 효과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및 신제품의 글로벌 시장 판매 확대 등이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CDMO 사업을 주력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ESG 분야에 앞장서며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수주 경쟁력 확보하는 중이다. 이에 힘입어 이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제로 글로벌 제약사는 생산 단계에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CDMO 업체를 선정할 때 ESG 경쟁력을 비교 평가해 관리하는 추세"라며 "CDMO 기업의 ESG 경영능력은 수주 경쟁력과도 직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2위인 셀트리온의 성장세 역시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뿐만 아니라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크게 향상됐다.

셀트리온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4.2% 증가한 8419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867.9% 증가한 1494억원, 순이익은 421.6% 증가한 1083억원으로 집계됐다.

셀트리온의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실적 성장은 '램시마SC(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 '유플라이마(아달리무맙)', '베그젤마(베바시주맙)' 등 후속 제품군이 전년동기 대비 62% 이상 성장한 점과, 과거 합병으로 발생한 무형자산의 상각 종료 등이 주요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컨센서스가 하회한 점으로 미뤄 아쉬운 성장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럼에도 김승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이 "유럽시장에서의 유플라이마, 스테키마의 빠른 시장 침투가 기대된다. 또한 기대보다는 더디지만 합병 이후 신규 시밀러 제품들의 성장 기반으로 원가율이 지속 개선되고 있다"고 밝힌 것과 같이 긍정적인 성장 모먼트가 남아있다는 분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셀트리온 또한 보도자료를 통해 "올 한 해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룰 기반이 구축됐다"며 "하반기 고수익 신규 제품 출시와 더불어 신성장 동력의 중심이 될 신약 개발도 순항하고 있는 만큼 실적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한양행은 순이익은 다소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이 크게 성장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10.6% 증가한 4916억원, 영업이익은 1012.7% 증가한 64억원, 순이익은 7.4% 감소한 1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크게 오른 이유는 고마진인 유한화학 API 매출이 증가하고, 유한건강생활 구조조정 효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유한양행의 1분기 실적이 기대에 다소 미치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전 사업부가 모두 전년대비 성장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희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2분기부터는 고마진의 해외사업부 매출 증가, 라즈클루즈(레이저티닙) 출시 국가 확대 및 리브리반트SC(아미반타맙) 병용요법 승인에 따른 매출 확대로 본격적인 이익 개선이 기대되며, MARIPOSA 최종 mOS 결과 발표 및 유한화학 API 추가 수주 등 다수의 긍정적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GC녹십자와 대웅제약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GC녹십자는 전년동기 적자였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흑자전환으로 돌아섰다. 이는 지난해 6월부터 인상된 혈액제제 약가 영향으로 국내 혈액제제 매출이 상승했고, 고마진 수출 품목인 '헌터라제'와 백신이 고성장한 영향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대웅제약은 주력 3대 제품 중 '나보타(보툴리눔톡신)', '펙수클루(펙수프라잔)'의 매출 고성장이 이어지면서 매출액과 이익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종근당과 보령은 매출액은 상승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 한미약품은 자회사인 북경한미와 한미정밀화학의 부진으로 인해 연결기준 실적이 모두 약화됐으며, 광동제약 또한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동기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관련기사보기

'1조 클럽' 보령, 5년 연속 연구개발비 증가…수익성도 상승

'1조 클럽' 보령, 5년 연속 연구개발비 증가…수익성도 상승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지난해 매출액 1조원 목표를 달성한 보령이 5년 연속 연구개발비 증가와 함께 수익성 또한 성장세로 돌아서며 제약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져가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보령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71억원, 연구개발비는 515억원, 당기순이익은 69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 8596억원, 연구개발비 473억원, 당기순이익 402억원 대비 각각 18.3%, 35.1%, 73.1% 증가한 수치다. 최근 5년간 보령의 실적과 연구개발비 현황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20

5대 제약사, 해외 매출 1조 시대 실현…업체·품목별 변화 눈길

5대 제약사, 해외 매출 1조 시대 실현…업체·품목별 변화 눈길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연결·별도 매출액 기준) 지난해 해외 매출액 합계가 10년 만에 재차 1조원을 넘어섰다. 업체별로 해외 매출액 확대에 기여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개별 품목은 기업별 해외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5개 국내 업체 지난해 해외 매출액 합계는 1조258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기술 이전 계약금, 마일스톤을 포함한 금액으로, 전년 9574억원 대비 약 31.5%(3012억원) 증가한 규모

대웅제약,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 돌파‥자체개발 신약 효과

대웅제약,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 돌파‥자체개발 신약 효과

대웅제약이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원을 돌파하며 처방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졌다. 대웅제약은 유비스트 데이터 기준 지난해 자사 품목 및 코프로모션 품목을 포함한 원외처방액이 1조 332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혁신 신약 개발과 코프로모션 전략이 원외처방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국산 34호 신약인 '펙수클루'와 36호 신약 '엔블로'를 필두로 '우루사' 등 자체 품목이 대폭 성장했으며 새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과 치료 약물 간 시너지도 두드러졌다. 또, 2023년 주력 품목 중 하나였던 포시가

유한양행, 5년간 R&D에 1조…실적↑·기술 이전 성과 낼까

유한양행, 5년간 R&D에 1조…실적↑·기술 이전 성과 낼까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이 지난 5년간 1조원 이상 투자 등 연구개발(R&D)에 매진하고 있다. 렉라자(레이저티닙) 임상을 통한 실적 확대, 알레르기 신약 '레시게르셉트' 기술 이전 여부는 R&D 노력이 성과로 이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10일 실적 발표 및 공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유한양행은 R&D에 2655억원을 투입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 2조84억원과 비교 시, 매출액 약 13.2%가 의약품 연구개발에 쓰였다. 이 회사는 연구개발 비용을 재차 늘리

GC녹십자, 1조원대 혈장분획제제-'I&I' R&D로 성장전략 구축

GC녹십자, 1조원대 혈장분획제제-'I&I' R&D로 성장전략 구축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GC녹십자가 혈장분획제제 2030 매출 1조원 달성 목표를 선언했다. 이와 함께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면역 및 염증 질환(I&I, Immunology&Inflammation) 치료제 개발을 새로운 주요 사업으로 삼아 기업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GC녹십자가 지난 12일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설명회(IR) 자료에 따르면, 기업의 성장 전략은 크게 ▲'알리글로'의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입과 함께 ▲혈장분획(PD, Plasma Derivatives)제제 글로벌 성장 가속 ▲고수익

종근당, 매출 유지에 '고덱스·펙수클루' 기여…올해 1조7100억 전망

종근당, 매출 유지에 '고덱스·펙수클루' 기여…올해 1조7100억 전망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종근당이 지난해 4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매출 4124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고마진 상품인 '케이캡' 계약 종료 등에 따라 수익성 하락을 나타냈다. 올해는 신규 도입 상품인 '고덱스'와 '펙스클루' 등 매출에 힘입어 매출 1조 706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종근당은 4분기 매출액 4124억원, 영업이익 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93%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1조 586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5% 감소한

삼성바이오로직스, 2분기 실적도 호조…4공장 램프업 주목

삼성바이오로직스, 2분기 실적도 호조…4공장 램프업 주목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 1분기 실적 호조를 올해 2분기에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실적이 감소하나, 4공장 램프업이 실적 확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 2분기 매출액(연결 재무제표 기준) 추정치는 1조4638억원이다. 전년 동기 1조1569억원과 비교 시, 26.5%(3069억원)가량 증가한 규모다. 이런 전망이 나온 근거는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실적이 감소하고 내부 거래 매출액이 증가하지만, 4공장 램프업에 따른 매출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올해 총 9000억원 규모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올해 총 9000억원 규모

셀트리온은 이사회를 통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소각하는 자사주는 58만9276주로, 오는 21일 소각이 이뤄질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수차례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반복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진심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늘 결정분을 포함하면 올해 1월 이후 이미 소각 완료했거나 결정한 자사주 소각 규모는 지난해 약 7000억원 규모를 훌쩍 뛰어넘는 약 9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올해 매입한 자사주를 전량 소각한다'는 방침에 따르면 올해 연간 조단위 자사주 소각이 이뤄질 전망

한미약품, 내수·수출 주력사업 호조세…R&D 성과 윤곽 주목

한미약품, 내수·수출 주력사업 호조세…R&D 성과 윤곽 주목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한미약품 1분기 실적이 연결기준으로는 다소 주춤했으나, 별도기준으로는 성장세를 이어갔다. 실적개선 흐름과 비만과 대사질환 파이프라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하반기 성장세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미약품이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은 매출액 3909억원, 영업이익 590억원, 순이익 447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3.2%,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3%, 29.3% 감소했다. 한미약품의 별도기준 실적은 상승했다. 매출액은 2950억원, 영업이익은 470억원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