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화 진통제 가이드라인 無.."간독성 약 빈번 처방"

양산 부산대병원 소화기내과 조몽 교수팀 연구 결과 발표

서민지 기자 (mjseo@medipana.com)2016-09-02 10:54

[메디파나뉴스 = 서민지 기자] 간(肝) 독성이 있는 진통제가 간경화 환자에게 빈번하게 처방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산부산대병원 소화기내과 조몽 교수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재된 간경화 환자 12만 5,505명(2012년 기준)의 약 처방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 전체 간경화 환자 중 2012년 1년간 1회 이상 진통제를 처방 받아 복용한 환자는 5만 798명(40.5%)에 달했다. 간경화 환자 10명 중 4명에게 간 독성이 있는 약이 투여되고 있는 셈이다.
 
이들에게 처방된 진통제는 록소프로펜, 덱시프로펜, 아세클로페낙(성분명)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대표적인 해열·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제품명 타이레놀) 등이었다.
 
두 종류의 진통제 가운데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방 받은 간경화 환자가 더 많았는데, 아세트아미노펜은 고용량을 복용하면 간독성을 보이는 약이다. 
 
조 교수팀은 논문에서 "간경화를 갖고 있으면서 음주를 지속하고 있는 환자라면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최대 2∼3g 이내로 섭취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도 간경화 환자에게 위·장관 출혈과 간 손상, 급성 신장 손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세트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모두 간경화 환자라면 신중히 처방하고 복용해야 하는 약이란 것이다.
 
현재 간경화는 합병증이 없고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대상성 간경화와 각종 합병증을 동반하는 비(非)대상성 간경화로 분류된다. 
 
또한 조 교수팀은 "진통제 처방을 받은 전체 간경화 환자(5만798명) 중 2.2%(1111명)는 비대상성 간경화 환자였다"며 "진통제는 대상성은 물론 비대상성 간경화 환자에게도 빈번하게 처방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에서 내과 전문의는 아세트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비슷한 비율로 처방했다.
 
다른 진료과목 의사는 두 진통제 중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처방률(76.2%)이 훨씬 높았다. 내과 전문의 가운데 특히 위장병학 전문의는 두 진통제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선호했다(처방률 80.9%). 
 
조 교수팀은 "아세트아미노펜의 간독성은 다수 의사가 인식하고 있지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간 건강이 극도로 악화된 간경화 환자에게 간 독성이 있는 약을 제공하는 것은 간에 '이중 부담'을 안기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며 "현재 국내엔 간경화 환자에 대한 진통제 처방 가이드라인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내과나 위장병학 전문의보다 다른 진료과목 의사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처방률이 높은 것은 간경화 환자에게 미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부작용에 대한 주의·정보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탓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연구(간경화 환자에 대한 아세트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처방 행태)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인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근호에 실렸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