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마땅찮은데 韓항생제 내성률 70%‥"ASP 도입 시급"

한국 항생제 소비량 여전히 OECD 평균 1.7배 수준‥입법조사처, 국가차원 항생제 내성 관리 촉구

신은진 기자 (ejshin@medipana.com)2020-08-12 06:05


[메디파나뉴스 = 신은진기자]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전세계적인 고민거리가 된 항생제 내성 문제 대응을 위해 우리나라도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ASP) 도입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보건복지여성팀 김은진 입법조사관은 최근 '2020 국정감사 이슈 분석'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항생제 내성 관리를 강화하고, 중소병원 및 요양병원 감염관리 지원을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기관에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ASP)를 도입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항생제 적정사용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우리나라의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은 최근에야 형태를 갖춘 상황이다.
 
2003~2012년 국무조정실 총괄의 국가 항생제 내성 안전관리 사업 종료 후 컨트롤타워 없이 부처별 분절적 대응을 해 오다가, 2016년 글로벌 보건안보 위협으로 급부상한 항생제 내성균(슈퍼박테리아)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범부처 국가대책을 수립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항생제 소비량과 내성률은 심각한 상태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항생제(전신성항균물질, JO1) 소비량(DDD)/1,000명/일)이 32.0으로 OECD 평균 19.1의 1.7배에 달하고, 황색포도상구균의 메티실린 내성률은 67.7%, 녹농균의 카바페넴 내성률은 30.6%로 알려져있다.
 

특히 다제내성균 환자 및 보균자가 종합병원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서는 자주 발생하고 요양병원 간 환자 전원을 통해 환자가 확산되고 있으나, 중소병원이나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지원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2018년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질병관리본부 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진행한 '국내 항생제 내성균 감염에 대한 질병부담 연구'에 따르면, 국내 다제내성균 감염병에 의해 균혈증 환자(7,007명)와 폐렴 환자(1,360~2,720명)가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사망자는 균혈증 2,901명, 폐렴 510~1,020명에 달한다.
 
다제내성균 감염에 의한 추가 질병 비용은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5,501억원, 내성이 아닌 균에 의한 감염환자에 비해 2,673억 원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은 예방, 관리의 문제 뿐만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치료 방안이 제한적이라 국가 차원의 항생제 내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게 입법처의 의견이다.
 
김은진 입법조사관은 "국민들이 항생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환기시킬 필요가 있으며, 의료기관에 스튜어드십 프로그램(ASP) 등을 도입하여 항생제의 적정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면서 "요양병원 감염관리 지원이 필요하다.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에는 중소·요양병원 특화 지침 개발 및 지역 의료기관 감염관리 자문 네트워크 운영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정적인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 요양병원의 특성상, 종합병원 등 의료기관과의 전원 시 적절한 투여정보 제공, 부작용 관리 방안, 부작용 발생 이력 등의 내역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항생제 내성 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확대가 필요하며, 내성균 감염자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김 입법조사관은 "항생제 내성균의 진단기술·치료제 연구가 필요하고, 항생제 공공기금 등을 마련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도 있다는 의견이 있음을 참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