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우·문경민 교수, 대한결핵·호흡기학회 융합연구상

정재우 교수, 천식 환자 기도 면역 흡연 영향 밝혀
문경민 교수, 폐결절 인공지능 연구 발전 기여 공로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3-11-29 15:30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 문경민 교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와 문경민 교수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에서 융합연구상을 각각 수상했다.

정 교수는 '천식환자에서 선천성 면역반응의 자극을 통한 담배연기의 천식악화 연구(Cigarette smoke aggravates asthma by inducing memory-like type 3 innate lymphoid cells)'로 융합연구상을 수상했다.

선천성 림프구 세포(Innate lymphoid cells, ILC)는 기도 점막 조직에 상주하고 자가 재생되는 림프구 세포다. ILC1, ILC2, ILC3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이들 세포는 항원 특이적 수용체가 부족한 대신 염증 부위에서 분비되는 선천적 사이토카인에 의해 빠르게 활성화된다.

정 교수는 담배연기가 기도 면역 세포, 특히 ILC를 변화시키는지 여부와 천식증상 및 폐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천식이 있는 흡연 환자와 비흡연 환자 객담과 혈액을 비교 연구한 결과, 흡연이 ILC의 증가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 비알레르기성 염증을 악화시키고, 천식 중증도를 높이는 것을 발견했다.

정 교수는 "흡연이 ILC3의 증가와 활성화에 기여하여 천식 환자에게 담배연기가 유해함을 확인했다"며 "향후 기도 내 ILC3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을 개발한다면 천식 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문경민 교수는 '흉부 CT 폐결절 검출 딥러닝에는 얼마나 많은 개인 데이터가 필요할까? 후향적 다기관 연구(How Many Private Data Are Needed for Deep Learning in Lung Nodule Detection on CT Scan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주제로 융합연구상을 수상했다.

인공지능 딥러닝 연구를 위해 빅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의료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로 인해 대량으로 확보하기 힘들다.

문 교수는 폐결절 인공지능 연구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LUNA16 데이터셋의 흉부 단층촬영 888건과 강원권 대학병원 세 곳 515건의 사적데이터 군을 두고 독립성 폐결절 병변 탐지 성능을 비교 분석했다.

공공데이터만으로 학습해 생성한 독립성 폐결절 탐지 모델과 공공데이터 학습가중치를 사적데이터로 전이학습시켜서 만든 모델, 그리고 사적데이터 만을 학습해 생성한 모델 성능을 비교한 결과 사적데이터로 훈련해 생성한 독립성 폐결절 탐지 인공지능 모델이 공공데이터로 훈련해 생성한 모델보다 실제 임상환자군에 적용하여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했다.

사적데이터로 학습해 생성한 모델의 경우 100건 정도 됐을 때 공공데이터로 학습해 생성한 독립성 폐결절 탐지 모델 및 공공데이터 학습가중치를 사적데이터로 전이학습시켜서 만든 모델의 성능과 비슷한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문 교수는 "흉부 단층촬영 의료 영상 인공지능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기 전 얼마만큼의 의료영상 데이터가 필요한지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호흡기 분야 인공지능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