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앱지스, 4개 분기 연속 영업 흑자…치료제 수출 확대 성과

수출 확대 기회 잡은 고셔병 및 파브리병 치료제 매출 급성장
희귀질환, 난치 및 항암 치료제 연구 개발 지속 통한 파이프라인 강화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4-05-23 05:58

이수앱지스 판교 본사 및 기업부설연구소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이수앱지스가 자체 개발한 의약품 '애브서틴'과 '파바갈'의 수출 확대를 바탕으로 4개 분기 연속 영업흑자를 기록하며 가파른 이익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수앱지스는 22일 국내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하고 주요 경영현황을 밝혔다. 

기업공시 및 IR 자료에 따르면, 이수앱지스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165억1100만원으로 전년 동기 67억5900만원 대비 144.3%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32억3700만원으로 마이너스 26억1600만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을 이뤘다. 
이수앱지스의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선 때는 지난해 2분기부터다. 특히 고셔병 치료제인 '애브서틴'이 해당 분기에 수출 매출이 급증하면서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견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고셔병은 선천적으로 지방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베타-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를 생성하는 유전자에 결함이 있어 간·폐·심장 등 기능이 저하되는 증상을 보이는 희귀병으로 평생 베타-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를 대체할 효소 치료제를 투여해야 한다. 

대표적인 치료제로는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젠자임의 '세레자임'이 있는데, 2009년 젠자임의 미국 내 생산시설이 바이러스에 오염돼 공급이 중단됐다. 

생산시설을 복구하는 기간 동안 대체 치료제에 대한 니즈가 확산되면서, 이수앱지스의 '애브서틴'이 대체제로 주목받았다. 이에 2분기부터 애브서틴의 수출 매출이 크게 증가, 3분기만에 2022년 한 해 수출액인 185억6800만원을 뛰어넘은 209억8600만원을 기록하는 등 매출 성장세는 현재진행형이다. 

평생 약물 투여가 필요한 또 다른 희귀질환인 파브리병의 치료제 또한 이수앱지스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파브리병은 선천적으로 당지질 분해 효소인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생성하는 유전자에 결함이 있어 혈관각화증, 심부전증 등 증상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평생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대체할 효소 치료제 투여가 필요하다. 

기존 파브리병 치료제 시장의 대다수를 차지한 사노피젠자임의 '파브라자임'이 '세레자임'과 같은 이슈로 시장에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이수앱지스가 개발한 치료제 '파바갈'이 해당 시장을 가져오고 있다. 

그동안 내수시장에서만 공급되던 '파바갈'은 지난해 하반기 러시아에 첫 수출을 개시했고, 올해 3월 대만 현지 기업과도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올해 1분기 파바갈 수출 매출액을 보면 전년도 전체 수출액인 23억원에 가까운 21억원을 이미 달성했다. 
두 희귀질환 치료제가 지난해부터 해외 수출이 확대됨에 따라, 제품 생산량이 증가하고, 고정비 비중이 감소했다. 이에 매출원가율이 크게 줄어 이수앱지스는 4개 분기 연속 매출액 140억 이상, 영업이익 역시 흑자를 이어가는 만큼 본격적인 성장기에 돌입했다는 평가다. 

성장세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파브리병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뿐만 아니라 뒤늦게 각종 질환으로 발현되는 잠재적 환자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에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2017년 이후 꾸준히 연간 40~50억원 규모의 매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항혈전 항체치료제 '클로티냅'은 고령화 추세에 따라 심근경색 고위험군 환자가 증가하면서 해당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추가 매출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20여 년간 희귀의약품 개발 및 상용화에 힘써온 이수앱지스는 그동안의 노하우와 상용화 레퍼런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또 다른 희귀질환 치료제와 난치 및 항암 치료제 연구 개발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7000개 이상의 희귀질환 중 치료제를 개발한 고셔병과 파브리병 외에도 야간 혈색 소뇨증(PNH)과 신경섬유종증 1형(NF1)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이 치료제들은 현재 임상 1상을 완료해 기존 글로벌 제약사의 오리지널과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하거나, 유럽암연구학회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등 차근차근 성과를 거두고 있다. 

실제로 이수앱지스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매출액이 연평균 25%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총 매출액은 543억600만원으로 2022년 411억7000만원 대비 31.9%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총 38억8600만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관련기사보기

이수앱지스, 1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83.3% 증가…'흑자 경영 원년'

이수앱지스, 1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83.3% 증가…'흑자 경영 원년'

이수앱지스가 올해 1분기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매출액 165억원과 영업이익 32억원을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동기 68억원 대비 144.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39억원 대비 83.3% 성장했다. 이수앱지스는 지난해 흑자 경영의 원년을 알린 바 있다. 이같은 이익 턴어라운드 기조가 올해 1분기 실적에서도 재차 확인되고 있어, 이익 성장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도 고셔병치료제 애브서틴의 알제리향 매출이 수출을 견인했고,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의 러시아향 수출도 지속됐다.

이수앱지스, 대만 유젯과 파브리병치료제 공급계약 체결

이수앱지스, 대만 유젯과 파브리병치료제 공급계약 체결

이수앱지스는 지난 27일, 대만 희귀질환 전문회사인 유젯(Yu-Jet)사와 파브리병치료제 '파바갈'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수앱지스의 파바갈은 작년 하반기 러시아 첫 수출을 개시한 바 있다. 회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파바갈의 두번째 진출국으로 아시아 주요국인 대만을 확정하며 추가 해외 공략에 나섰다. 이번 계약은 유젯사와의 협업을 통해 대만 내 파바갈 현지 임상과 품목허가를 완료하고, 제품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계약 기간은 10년으로 현지 임상 비용과 품목 승인은 유젯사가 담당한다. 대만의 유젯사는

이수앱지스, 애브서틴 등 희귀질환 치료제 가파른 성장세

이수앱지스, 애브서틴 등 희귀질환 치료제 가파른 성장세

이수앱지스는 지난 8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를 통해 작년 30% 이상의 매출액 성장과 창사 이래 첫 영업 흑자 달성을 발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애널리스트는 26일 보고서를 통해 이수앱지스가 올해에도 매출액 약 30%, 영업이익 약 141% 증가하며 외형 성장세와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의 주력 제품인 희귀의약품 애브서틴이 중동, 북아프리카 등 수출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고, 파바갈 역시 지난해 러시아 시장 첫 진출에 성공하며 공급 물량을 크게 확대할 것이라는 것이

이수앱지스, 창사 이래 첫 영업 흑자… 매출액 역대 최대

이수앱지스, 창사 이래 첫 영업 흑자… 매출액 역대 최대

이수앱지스가 지난해 매출 543억 원에 39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본격적인 흑자 경영에 들어섰다. 특히, 주력 제품인 애브서틴 및 파바갈의 고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지난해 매출 543억 원은 창사 이래 최대 규모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1.9%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연간 기준 첫 사례로, 해외 수출과 내수를 통한 흑자 경영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셔병치료제 애브서틴은 349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50.0% 성장하였다. 회사 전체 매출액의 64.3%에 이르는 수치다. 이 중 해외 판

이수앱지스, 109억원 규모 고셔병 치료제 이란 수출

이수앱지스, 109억원 규모 고셔병 치료제 이란 수출

이수앱지스는 자사가 개발한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이 이란에 수출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수출 규모는 109억원으로, 금년 이란 수출액은 전년 대비 172%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고셔병은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즈(Glucocerebrosidase)라는 효소에 유전적인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효소는 글루코세레브로시드(glucocerebroside)라는 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가 비장, 간, 림프에 축적돼 비장과 간이 비대해지고 뼈가 약해진다. 신경계 이상으로는 발달지연과 경

이수앱지스, '파바갈' 러시아 초도물량 선적…CIS 주변국 확대 추진

이수앱지스, '파바갈' 러시아 초도물량 선적…CIS 주변국 확대 추진

이수앱지스가 러시아향 파브리병 치료제 수출 물량의 첫 선적을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러시아의 파브리병 환자는 한국의 3배 가량으로 추정되며, 러시아를 교두보로 주변 독립국가연합(CIS) 국가까지 치료제 커버리지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수앱지스는 올해 3월 러시아 산업통상부 산하 의약품 GMP 실사기관인 SID&GP(State Institute of Drugs and Good Practices)의 실사를 거쳐, 지난 7월 GMP 승인과 8월 러시아 판매 허가를 받았다. 이수앱지스의 러시아 현지 파트너 페트로박스(Petro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