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여파‥의원급 개원 11% 증가, 피부·미용 쏠림 뚜렷

개원 수요, 피부·미용계에 집중…일부 지역 '최저가 경쟁'
개원 증가에도 필수의료 붕괴 우려…보상·유인책 필요
인력 이동 자율에만 맡겨선 한계…정책 개입 목소리 커져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5-21 11:55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정 갈등으로 병원을 떠난 의사들이 개원가로 유입되면서, 지난해 의원급 의료기관의 신규 개설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의원급 의료기관의 신규 개업 수는 총 1996개로 전년(1798개) 대비 11% 증가했다. 이는 의정 갈등이 본격화되기 전인 2022년(2078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3년의 감소세에서 반등한 수치다.

지난해 의대 정원 증원 논란으로 촉발된 전공의 사직 사태 이후 병원을 떠난 의사들이 개원으로 방향을 틀면서, 특정 진료과를 중심으로 개원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반의 개원은 2023년 665개에서 지난해 759개로 14.1% 늘었다. 외과는 31개에서 56개로 80.6% 급증했고, 신경외과는 36개에서 51개(41.6%), 마취통증의학과는 75개에서 96개(28%), 정신건강의학과는 100개에서 110개(10%)로 증가했다.

특히 비급여 중심의 피부·미용계 진료과목에 개원 수요가 집중됐다. 성형외과는 58개에서 68개(17.2%), 피부과는 44개에서 78개(77.2%)로 증가폭이 컸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숙련도가 덜 필요한 시술에 전공의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시술 단가가 하락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최저가 경쟁'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일부 전공의들은 기존 개원의의 소개를 통해 피부·미용 진료 분야로 유입되거나, 수련을 이어가기 위한 경력 확보 차원에서 해당 분야에 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개원가 내부에서는 인력 유입이 오히려 급여 하락과 경쟁 심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목소리도 높다.

반면 일부 진료과목은 개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형외과는 2023년 166개에서 지난해 155개로 줄어들며 6.6% 감소했고, 소아청소년과는 74개에서 69개로 6.7%, 이비인후과는 97개에서 91개로 6.1%, 안과는 61개에서 51개로 16.3% 감소했다.

이는 해당 진료과들이 개원 초기 비용 부담이 크거나, 환자 수요 대비 수익성이 낮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그 중 소아청소년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가와 인력난 등 구조적 한계로 인해 신규 진입을 꺼리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단순한 개원 증가에 그치지 않고, 진료과 간 불균형과 개원가 전반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료계 내부 인력 재배치가 자율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에서 일차의료체계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인력 수급 정책과 함께 진료 행위에 대한 합리적 보상 구조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치료제 발전이 이끈 변화‥개원가, '조기 개입' 최전선으로

치료제 발전이 이끈 변화‥개원가, '조기 개입' 최전선으로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치료제의 눈부신 발전이 개원가의 위상을 다시 끌어올리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개발된 혁신 치료제들은 질병 경과를 획기적으로 바꾸며, 개원가가 본연의 역할인 '일차의료' 영역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환자 건강을 책임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투여함으로써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고, 사회 전체 의료비 부담까지 줄일 수 있다는 점은 개원가의 중요성을 다시 조명하게 한다. 여기에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환자 진료에 집중하고 만성질환 관리는 일차의료 중심으로 이뤄지

[창간기획下] 의정갈등 1년, '개원가 피해는 적지만 파편은 깊다'

[창간기획下] 의정갈등 1년, '개원가 피해는 적지만 파편은 깊다'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대정원 확대를 중심으로 추진된 정부의 의료개혁이 시행 1년을 맞았다. 일선 개원가는 겉보기에는 큰 타격을 피한 듯 보이지만, 곳곳에 감지되는 균열은 깊고 묵직하다. 전공의 대량 이탈, 실손보험 개편, 수가협상 난항 등 주요 이슈들이 의료계 전반에 충격파를 일으키며 그 여진이 개원가에도 서서히 스며들고 있다. 개원가 현장은 말한다. "본격적인 충격은 아직 오지 않았을 뿐, 이미 균열은 시작됐다." ◆ "당장은 괜찮다"‥그러나 불안은 응축돼 있다 1년 전과 비교해 개원가는 비교적 조용하다. 대학병원처럼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