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AI 활용 바이오베터 개발 사업 착수…10월 시행 목표

4일 국회서 2차 추가경정예산 확정된 후 사업 준비 착수
내달 중 사업 확정 공고 후 9월 중 산학연 컨소시엄 1곳 선정
1개 과제에 2년 3개월 간 404억 투입…"적은 예산 아냐"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5-07-14 06:00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보건복지부가 지난 4일 2차 추가경정예산 확정에 따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사업 준비에 착수했다.

13일 보건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에 따르면, 복지부는 이달 중으로 해당 사업과 관련한 연구제안서를 공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전문위를 거쳐 내달 중으로 사업을 확정 공고하고 오는 9월에는 산학연 컨소시엄 1곳을 선정한다. 이후 10월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며 "1개 과제만 선정하고, 2년 3개월 동안 404억원 예산이 투입된다. 적은 예산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 질병을 타겟해서 추진하는 사업이지만, 현재까지 질환군은 특정하지 않았다. 미래 국가바이오 경쟁력 향상과 바이오베터 창출이 사업목표"라며 "어떤 사업이 선정될지는 공모를 받아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2차 추가경정예산에는 'AI 모델을 활용한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실증(R&D)' 사업이 신규 편성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AI 설계 기반 기술을 활용해 바이오베터 후보물질을 대규모로 병렬 생성하고, 이를 통해 개발 기간을 앞당기기 위한 국가연구개발 과제다. 바이오베터란 바이오시밀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제형·용법 등을 변경해 유효성·편의성 등을 개선한 의약품이다.

사업은 2027년까지 3년간 총사업비 404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국고는 303억원을 투입하고 25%는 민간매칭으로 마련한다. 이번 추경안에는 1년차 연구개발비 3개월분에 해당하는 33억원이 편성됐다.

관련기사보기

李 공약 'AI 신약개발' 힘 싣는 정부…국회도 호응

李 공약 'AI 신약개발' 힘 싣는 정부…국회도 호응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이재명 정부가 AI 신약개발에 힘을 싣는다. 대통령 선거 공약에서부터 강조한 AI와 신약이 추경 예산안 곳곳에서 플랫폼 구축과 인력 교육 등으로 나타난 가운데, 국회도 호응하는 모습이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복지위는 이날 추경안을 의결하며 부대의견을 통해 K-AI 신약개발 사업과 AI 모델 활용 바이오베터 개발·실증 사업 등 각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을 주문했다. 복지위는 "K-AI 신약개발 전임상&midd

셀트리온, JPM2025서 차세대 ADC·다중항체 등 신약 비전 공개

셀트리온, JPM2025서 차세대 ADC·다중항체 등 신약 비전 공개

셀트리온은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이하 JPM)'에 참가해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체적인 개발 로드맵을 처음 공개하고 글로벌 혁신 신약 기업으로 도약 의지를 다졌다고 15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14일(현지시간) JPM 행사의 핵심 무대인 메인트랙(Main Track)에서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전략(Unveiling Our Strategy for Advancing Innovative Drug Pipelines)'을 주제로 신약 개발 성과와 향후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공개해 글로벌 투자자들과

제넥신, 지속형 소아성장호르몬제 'GX-H9' 中 품목허가 신청

제넥신, 지속형 소아성장호르몬제 'GX-H9' 中 품목허가 신청

제넥신(대표이사 홍성준)은 중국 파트너사 TJ바이오(TJ Bio)가 중국 약품심사평가센터(CDE)에 GX-H9(물질명 eftansomatropin alfa)의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BLA)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제넥신이 한독과 공동으로 개발한 GX-H9은 제넥신의 hyFc® 지속형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2세대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로 기존 매일 투약해야 하던 성장호르몬 주사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주 1회 투약으로 치료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바이오베터 신약이다. 이로 인해 소아 환자들과 그 가족들이 매일 주사를 투

면역항암제 SC제형 추가 허가 시 임상 이점 확보 중요

면역항암제 SC제형 추가 허가 시 임상 이점 확보 중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기존 면역항암제를 피하주사(SC)제형으로 변경·추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형 추가에는 단순 편의성 개선이 아닌 임상적 이점 확보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0일 하이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초 알테오젠의 '키트루다SC' 독점계약 체결, 할로자임의 로열티 연장 및 ASCO에서의 'PALOMA-3(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SC)' 임상 데이터 발표 등의 이벤트가 SC제형 개발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이어졌다. SC제형은 정맥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정맥주사(IV)와 달리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