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비 "전공의 외침에 응답하라"‥지속 가능한 대책 촉구

정부·국회에 전공의 3대 요구안 조속 수용 요구
"수련 연속성 보장·법적 안전망 강화 필요"
전공의들에게 "하루라도 빨리 수련 현장 복귀해야" 당부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8-18 19:11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성명서를 통해 "젊은 의사들의 외침에 응답하고, 중증·핵심의료 회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의비는 전공의 3대 요구안을 의료 정상화의 중요한 출발점으로 규정하며 "환자 진료와 수련 교육의 단절은 국민 건강권과 직결된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위기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가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에 응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의비는 정부 대책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군의관·공중보건의로 병역의무를 이행한 전공의들의 수련 정원 보장 문제가 여전히 풀리지 않았으며, 의료정책 논의를 위한 협의체도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의비는 "이는 개인의 진로 문제가 아니라 중증·핵심의료 존립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전의비는 전공의 복귀 시 교수들이 교육자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는 다짐도 전했다. "수련의 연속성과 질을 보장하고, 전공의들이 안정된 환경에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와 국회에는 전공의 3대 요구안을 조속히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국민적 공론화가 필요한 사안과 전문가 판단이 존중돼야 하는 사안을 구분하고, 의정협의체와 공론화위원회를 병렬적으로 운영해 전공의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병역의무를 이행한 젊은 의사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환자 생명과 직결된 분야에서 의사들이 소신껏 진료할 수 있도록 법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전공의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의비는 전공의들에게 직접 호소했다. "지금은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수련 현장으로 돌아와 달라. 여러분의 복귀는 환자를 살리고 중증·핵심의료를 이어가는 희망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전의비는 "교수들은 전공의 곁에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안전하게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관련기사보기

전의비 "환자 진료 최선…전공의·학생 처벌하면 강력 대응"

전의비 "환자 진료 최선…전공의·학생 처벌하면 강력 대응"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정부가 전공의나 의대생 처벌 등을 강행할 경우엔 주 단위 휴진 등 강력 대응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24일 전의비는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3일 총회 결과와 입장을 설명했다. 최창민 전의비 위원장에 따르면 의대 교수들은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단 입장이다. 다만 정부가 전공의나 의대생에 대한 처벌 등을 추진할 경우엔 주 단위 휴진 등 강경한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 위원장은 "전공의 처벌이나 학생 유급

의대교수 비대위 "전공의 3대 요구안은 의료 정상화 출발점"

의대교수 비대위 "전공의 3대 요구안은 의료 정상화 출발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 수련 위기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정부가 전공의 3대 요구안을 의료 정상화를 위한 기본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즉각적인 후속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의비는 5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전공의의 요구는 단순한 복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의료체계 회복과 필수의료 정상화를 위한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에 전의비는 ▲ 필수의료 정책 전면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 수련 환경의 실질적 개선과 연속성 보장 ▲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책임 완

의대교수 비대위 "본4 졸업 특혜 아냐, 내년 2월 정상 진입해야"

의대교수 비대위 "본4 졸업 특혜 아냐, 내년 2월 정상 진입해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수업 재개와 관련해 내년 2월 졸업이 원칙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단순한 학사 일정을 넘어, 의사 국가시험과 인턴 수련과정으로의 연속성을 고려한 판단이라는 설명이다. 교수비대위는 24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본과 4학년의 졸업 시점은 의료공백 최소화와 직결된 문제"라며 "학생들이 내년 2월 졸업해 2026년 인턴 수련과정에 차질 없이 진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대학의 실습 인프라나 교육 일정 운영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