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넥스, 바이오 CMO 본격 성장…송도·오송 생산체제 강화

상반기 매출 843억(+37.8%)·영업이익 흑자 전환…바이오 매출 409억(+113%)이 견인
송도 상업 생산 안착…셀트리온향 앱토즈마·DS 2종 계약으로 가동률 상승
오송 PPQ 174억·158억·162억 순차 생산…1만L 증설, 2026년 상업화 목표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03 11:45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송도·오송 '투트랙' 생산체제를 본격 가동하며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MO) 사업의 성장 궤도를 뚜렷이 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 확대와 함께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이뤘고, 연속된 PPQ(공정 적격성 평가) 수주와 설비 증설로 중기 성장 가시성을 높였다.

3일 상상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바이넥스가 올해 상반기 연결 매출 8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증가,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특히 바이오 부문(분석용역 포함) 매출이 113% 급증한 409억원을 기록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같은 실적 상승에는 송도공장에서 안정적으로 진행 중인 바이오 CMO 생산과 더불어 오송공장 PPQ 생산 시작이 뒷받침됐다는 설명이다. 

바이넥스 송도공장은 지난해 하반기 '준 상업생산'을 거쳐 올해부터 상업 생산 체제로 전환했다. 셀트리온의 악템라 바이오시밀러(앱토즈마) 상업용 물량이 반영되며 매출이 본격화됐고, 올해 6월에는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원료의약품(DS) 임상물질 2종 생산 계약을 추가 체결했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해당 물량이 기존 임상 시료 대비 큰 규모로 추정되며 품목 배분은 송도 1품목·오송 1품목으로 나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송도 가동률의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오송공장은 올해부터 PPQ 생산을 시작했다. 지난해 9월 수주 174억원, 11월 수주 158억원 물량이 순차 생산 중이며, 올해 6월 말 162억원 규모의 PPQ 수주를 추가로 확보했다. 회사는 2026년 FDA 공장 실사를 거쳐 빠르면 2026년 상반기 상업 생산 전환을, 하반기에는 1만L(5000L×2라인) 증설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승인 이후에는 송도 상업 생산 레코드와 결합해 글로벌 상업 수주로 외연을 넓힐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사업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합성의약품·기타 부문이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바이오 CMO의 비중 확대가 전사 체질 개선을 이끄는 구조다. 상반기 수익성이 아직 낮다는 점은 인정되지만, 생산 믹스 정상화와 규모의 경제가 맞물리며 시간이 지날수록 마진 개선 여지가 크다는 평가다.

하 연구원은 "송도 상업 생산의 안정적 매출, 오송의 FDA 승인 가능성, 연속적인 PPQ 수주가 맞물리며 올해 흑자 전환을 출발점으로 2026년 이후 매출 확대와 규모의 경제가 가시화될 것"이라며 "향후 1~3년 사이 바이오 CMO 시장에서 중간 규모의 수주 물량을 생산하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 회사의 존재감이 구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보기

바이넥스, 바이오의약품 성장세 가속…2Q 흑자 기조 유지

바이넥스, 바이오의약품 성장세 가속…2Q 흑자 기조 유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올해 2분기 흑자 기조를 이어가며 실적 턴어라운드 초입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CDMO 부문이 상반기부터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하면서 하반기 실적 개선 모멘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IBK투자증권은 기업분석 보고서를 통해 바이넥스가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45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2.3% 수준이다. 다만 합성의약품

바이넥스, 1Q 바이오 매출 2배 확대…CDMO 회복 '신호탄'

바이넥스, 1Q 바이오 매출 2배 확대…CDMO 회복 '신호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올해 1분기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며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되며, 주력 CDMO 사업의 회복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바이넥스는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398억원으로 전년 동기 297억원 대비 33.9%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 5억원, 당기순이익 5억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손실 106억원, 당기순손실 98억원에서 모두 흑자 전환했다. 이번 실적에서 주

바이넥스,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DS 임상물질 생산 수주

바이넥스,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DS 임상물질 생산 수주

바이넥스가 셀트리온과 협력해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앱토즈마'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에 대한 cGMP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DS(원료의약품) 임상물질 2종 생산에 대해 추가 CMO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제품명 및 계약내용은 비밀 유지 사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으로 바이넥스는 셀트리온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 2개 제품에 대한 CMO 생산관련 생산기술 및 노하우를 이전 받아, 송도와 오송공장에서 각각 생산하여 셀트리온에 공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과 바이넥스

바이넥스 올해 실적↑, 지난해와 달라…내년까지 이어진다

바이넥스 올해 실적↑, 지난해와 달라…내년까지 이어진다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바이넥스 올해 매출액(연결 재무제표)이 2000억원에 근접하고,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는 수주 잔고 회복과 바이오의약품 상업 생산 본격화를 실적 상승 요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바이넥스는 상용화 규모 시험 생산(PPQ) 등 계약에 따라 내년 실적 확대도 전망된다. 14일 증권업계 전망을 종합하면, 바이넥스 올해 매출액 예상치는 최소 1840억원에서 최대 1923억원이다. 이는 전년 1300억원과 비교해 최소 41.5%, 최대 47.9%가량 증가한 규모다. 올해 매출액이 증가하

바이넥스, 바이오 CMO 본격 가동…매출 1800억에 흑전 전망

바이넥스, 바이오 CMO 본격 가동…매출 1800억에 흑전 전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올해 본격적으로 상업용 바이오 CMO 매출을 발생시키며, 1800억원대 매출과 함께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올해 송도공장에서 상업 생산이 본격 시작되는 데 더해 내년부터는 오송공장에서도 본격적인 상업 생산이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3일 증권가에서는 바이넥스가 올해 매출 1837억원, 영업이익 159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성장과 함께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부터 송도공장에서 상업용 바이오 CMO 공장 가동을 시작하며 올해 안정적인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