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유족, 사회적 시선에 10명 중 4명…심리·경제 지원 거부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전국 확대 앞두고 실효성 우려
서명옥 의원 "자살률 저감 노력과 함께 남겨진 가족 보호…제도 정비 시급"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9-15 12:19

자살 유족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인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의 실제 서비스 동의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보건복지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 소속)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 운영 실적’에 따르면, 2024년 서비스 대상 유족 5418명 가운데 실제 지원에 동의한 유족은 3443명으로, 동의율은 63.6%에 그쳤다. 이는 2023년 동의율 72.6%(3643명)보다 9%p, 2022년(69.2%, 1764명)보다도 5.6%p 낮은 수치다.

해당 서비스는 자살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 유족에게 심리 상담과 경제적 지원 등을 연계·제공하는 통합 지원 체계로, 현재는 전국 95개 기초자치단체에서만 운영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부터 전국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동의율 하락이 이어지면서 이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자살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유족의 심리적 거부감이 서비스 이용을 꺼리게 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유족이 사망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주저하거나, 장례를 비공식적으로 치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학계는 자살 사망자 1명당 약 100명의 유족과 지인이 심리적 영향을 받는다고 추산하며, 지난해 자살 사망자 1만4588명을 기준으로 보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유족과 지인은 최대 약 14만5000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자살을 경험한 유족은 극심한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등 일반인보다 자살 위험이 22배나 높은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서명옥 의원은 "자살률을 낮추는 노력만큼 남겨진 가족을 국가가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유족의 회복과 지원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