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제약업계 긴급회동…미국 藥 관세 '불확실성' 해소 당부

박주민 복지위원장, 업계 초청해 애로사항 청취
업계, 관세부과 기준·범위·시점 명확한 확인 당부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9-30 18:35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이현우 제약바이오협회 상무. 사진=조후현 기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제약·바이오업계가 여당 국회의원들과 긴급 회동을 갖고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와 관련해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당장 내달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한 관세에 대한 행정 명령도 없는 상황 속 부과 기준과 범위, 시점 등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당부가 나온다. 여당은 적극 협조를 약속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30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트럼프 정부 의약품 관세 부과 대응 관련 산업계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박 위원장 제안으로 마련돼 민주당 김윤 의원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현우 상무와 박지만 상무,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GC녹십자 등에서 참석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우리 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정부나 국회가 해야 할 일은 없을지 말씀을 듣고 싶어 청하게 됐다"며 "말씀주신 내용을 정부에 전달할 건 전달하고, 국회에서 예산이나 법률로 챙겨야 할 부분이 있으면 챙기는 작업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가 짚은 우려는 불확실성이다. 업체별로 나름의 대응을 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큰 점이 가장 우려된다는 것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매출 90%가 넘는 대부분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여러 가지 준비도 많이 하고 있는데,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점이 제일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25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 SNS를 통해 언급된 내달 1일 관세 100% 부과 조치는 전날인 오늘까지 행정명령도 없는 상황이다.

제약바이오협회 이현우 상무는 "25일에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브랜드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 발표했는데, 아직까지 아무런 행정 명령도 없어 현실화될지 의문인 상황이다. 조만간 조치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국회에 우선 관세부과 기준과 범위, 시점 등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의약품 관세 15% 상한 ▲필수의약품은 브랜드·오리지널 제품이라도 미국 내 안정적 공급망 강화를 위해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 ▲현지 완제품 공장에 대해 투자하지 않더라도 미국 원료 공장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 고용 창출 등에 기여했다면 해당 품목은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간담회를 마친 뒤 "파악되는 내용을 빠르게 소통해 불확실성을 없애드리면서 신속하게 판단하실 수 있도록 돕겠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보기

美, 의료기기 추가 관세 시사에도…업계는 평온

美, 의료기기 추가 관세 시사에도…업계는 평온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의료기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나선 가운데, 국내 의료기기 업계는 대체로 차분한 분위기다. 미국향 의료기기 수출량이 크지 않고, 일부 수출업체들의 경우에는 미국 원자재를 쓰고 있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 내다본 것이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지난 2일부터 로봇과 의료기기, 산업 기계 등 수입 품목에 대한 영향 조사에 들어갔다. 무역확장법 232조에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필수품에 대해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할

美 "의약품 관세 100%"…국산 의약품 영향 '주목'

美 "의약품 관세 100%"…국산 의약품 영향 '주목'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10월 1일부터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미국 시장에 진출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긴장한 모습이다. 다만, 이미 현지 생산 기반과 재고 이전 등 선제 조치를 취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의약품과 특허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8월 CNBC 인터뷰에서 "처음엔 소액 관세를 부과

政, 미국 관세 대응 위한 의약품 수출 기업 긴급간담회 개최

政, 미국 관세 대응 위한 의약품 수출 기업 긴급간담회 개최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오전 10시 의약품 수출 기업 5개 업체를 비롯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등과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의약품 수출 기업 5개사로는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셀트리온 등이 선정됐다.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미국 관세 부과 동향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의 기업 지원 방

트럼프 "美에 공장 없으면, 내달부터 의약품 관세 100%"

트럼프 "美에 공장 없으면, 내달부터 의약품 관세 100%"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미국 내 공장을 건설하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0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서 모든 제약사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의약품 전반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 않다면 올해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또는 특허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면서 "공장을 건설 중인 업체 의약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美 공장 4600억 인수…"관세 리스크 해소"

셀트리온, 美 공장 4600억 인수…"관세 리스크 해소"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 현지 공장을 인수,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와 약 4600억원(USD 330M) 규모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Branchburg)에 소재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정진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관세 리스크 해소, 직원 승계, 물류비 등을 봤을 때 1조5000억원 정도는 절감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고 자체 공장을 짓는 것보다 시간도 6년 정도 세이브 할 수 있다"며 "본계약을 했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