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경증환자에 문턱 닳아…감기·고혈압환자 연 1200만명

2021년 대비 160만명 급증…고혈압 하나에만 진료비 2.2조원
장종태 의원 "연간 1조원…대한민국 보건의료 실패 보여주는 성적표"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10-01 12:49

중증·응급 환자의 최후 보루인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의 문턱이 경증질환자들로 인해 닳아 없어질 지경이다. 코로나19 이후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경증 환자 수가 연간 120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하며, '동네 병원'을 외면하는 의료쇼핑과 의료전달체계 붕괴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에서 경증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지난해 기준 1189만명에 달했다. 

이는 코로나19 방역이 강했던 2021년 1029만명에서 불과 3년만에 160만명(15.5%)이나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환자 쏠림 현상이 어떤 질환에서 비롯되는지 살펴본 결과, 국민 대다수가 흔히 앓는 질환에 대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지출되고 있었다. 

지난해 기준 가장 많은 건강보험 진료비가 청구된 경증질환은 '본태성 고혈압'으로, 연간 2조2675억원이 쓰였다. 그 뒤를 '급성 기관지염'(감기), '등통증' 등이었다. 상위 10개 질환에만 총 7조4749억원의 진료비가 지출됐다.

장종태 의원은 "매년 12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감기, 고혈압, 허리 통증 같은 경증질환으로 대학병원을 찾는다는 것은 명백한 의료 자원의 낭비"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중증·응급 환자가 제때 치료받을 기회를 박탈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환자들이 합리적인 의료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동네 의원 중심의 1차 의료를 강화하고, 대형병원의 경증 진료에 대한 수가 감액 등 대형병원 이용을 줄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