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보건의료 분야 디지털 안전망 강화…선택 아닌 필수 과제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10-02 06:00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화재로 보건복지부 소관 시스템이 멈추면서 '디지털 취약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 첨단재생의료포털, 진료정보교류시스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등은 여전히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수기 처리로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려 애쓰고 있지만, 장애인 활동 지원부터 장기이식 정보까지 국민 일상 곳곳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지난달 30일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활동지원사와 장애인들의 일상이 이번 사태로 혼란에 빠져 있다"며 체계적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정부도 복구와 현장 점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태가 일단락된다 해도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재발 위험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 화재는 UPS(무정전 전원장치) 리튬이온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하는 작업 중 발생했다. 

안철수 의원은 본인 SNS를 통해 "단순 사고가 아닌, 정부의 안일한 관리와 부실이 낳은 인재"라며, 중앙 집중형 서버와 이중화 미흡이라는 근본적 취약점을 지적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전산 시스템은 단순한 행정 수단이 아니다. 장애인 지원, 장기이식, 연명의료 등 국민 생명과도 연결되는 서비스가 전산망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한 곳의 시스템 장애만으로도 국민 안전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서버 정지로 수많은 사람들이 불편과 불안을 겪는 현실은 우리에게 뼈아픈 경고로, 단순히 '화재 복구'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정부는 데이터 인프라 전반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 안전망 강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다.

관련기사보기

국정자원 화재로 비상‥심평원, 신속 조치로 '정상 운영' 노력

국정자원 화재로 비상‥심평원, 신속 조치로 '정상 운영' 노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26일 발생한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즉각 내부 정보시스템 전반을 점검한 결과, 대내외 업무서비스에는 중대한 차질이 없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은 국정자원 화재 발생 직후 내부 위기대응협의체를 가동하고 ICT센터 기반시설(UPS, 배터리 등)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내외부 업무 서비스와 외부기관과의 정보 연계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먼저 누리집(대국민포털, 빅데이터개방포털) 로그인 관련, 민원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부통합 인증을 대체하는 간편인증 방식으로 신속하게 조

복지부, 상황점검회의…보건복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점검

복지부, 상황점검회의…보건복지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점검

보건복지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보건복지 행정정보시스템 중단 이후 첫 근무일을 맞아, 29일 오전 8시 30분부터 정은경 장관 주재로 정보시스템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장애 시스템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특히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현장점검과 시스템 상태점검을 마치고 28일부터 단계적으로 가동을 시작함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작동이 불가능한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업무 연속성 확보방안을 꼼꼼히 점검했다. 시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