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이상아 비중 '증가'…소아과 의사 수 '감소'

서미화 의원 "높아지는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비중에 대응할 의료인프라 수급 필요"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10-09 17:49

산모 연령과 고령산모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미숙아 발생률도 증가했고, 선천성 이상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를 발견하고 치료해 줄 소아과 의료진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최근 6년간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현황'에 따르면, 선천성 이상아는 2019년 27.6%에서 2023년 32.1%로 4.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조산아 비율은 8.1%에서 10.2%로 2.1%나 증가했고, 저체중 출생아 발생률은 2019년 6.6%에서 2024년 7.8%로, 꾸준하게 상승새를 띄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선천성 이상아란, 선천성 기형 또는 변형이 있거나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영유아를 말한다. 

보건복지부는 미숙아의 원인으로 ▲평균출산연령 증가 ▲35세 이상 고령산모 증가 ▲다태아 증가로 보고 있다. 2024년 평균 출산연령은 2019년 대비 0.7살이나 늘었고,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은 33.4%에서 35.9%로 2.5% 증가했다. 또한 다태아 비중도 4.6%에서 5.7%로 1.2% 증가했다.

신생아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건수도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 2023년 44만건으로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46만건을 상회하고 있다.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비중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과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의사는 줄고 있다. 2020년 레지던트와 전문의를 포함해,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에 근무하던 소아청소년과 의사 수는 534명이였으나, 2025년 367명으로 31.3% 감소했다. 같은기간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기관도 92곳에서 89곳으로 3곳이 줄어들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이 감소하는 가운데,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하는 인력도 줄고 있다. 2020년 상반기에는 152명을 선발해 총 정원의 71%를 채웠지만, 2021년에는 78명(정원의 36.8%)으로 크게 줄었고, 2025년에는 27명(정원의 13.6%)에 그쳤다. 의정갈등이 최고조로 달하던 2024년을 제외하더라도, 소아청소년과는 매년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서미화 의원은 "OECD 국가중 최하위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야 할 의료 인력과 시설이 줄어드는 현실은 또 다른 국가적 위기"라며 "정부는 출산연령이 늦어져 늘어나는 미숙아와 선천성 이상아에 대한 치료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년 감소하는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을 올리기 위해, 정부는 소아청소년과의 처우개선, 수련보상 확대 등 관련 지원을 비롯해, 국가차원의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