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면제 처방이 필요 없는 '가짜 불면증'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3-04-17 09:58

불면증은 아닌데 자기 자신은 불면증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는 잘 잤지만 본인은 못 잤다고 확신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잠을 잘 못잤는데도 잘 잤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일종의 수면착각 같은 것인데 이는 건강한 수면이 아니다. 일명 '가짜 불면증'인 것이다. 일종의 필요한 수면시간을 다 채웠어도 실제로는 제대로 자지 못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여전히 피곤하고 심하면 절망감에 빠질 수 있다.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 밀턴 허쉬 병원의 수면 연구 및 치료 센터 훌리오 페르난데스-멘도사 박사팀은 '일반인의 수면오해와 만성 불면증'이라는 연구를 통해 주관적 수면 시간과 객관적 수면 시간의 차이가 생긴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741명의 불면증 환자와 20 명의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짧게 자는 사람들은 객관적인 수면 시간보다 더 많은 수면을 취했다고 보고했다. 불면증 환자들은 비슷한 객관적인 수면 시간을 가진 대조군보다 더 적은 수면을 취했다고 보고한 것이다. 

불면증이 있는 사람들이 쉽게 간과하는 점은 수면의 질 보다는 수면시간 자체에 중점을 둔다는 점이다. 

질 좋은 숙면을 위한 방법을 찾아 건강한 숙면 수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병원에서 수면제 처방을 받아도 잘 잤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다면 가짜 불면증일 가능성을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확인 하는 것이 좋다.

가짜 수면은 소음, 온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자존감, 분노와 같은 감정적인 부분들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불만족스러운 수면환경을 없애야 한다.

아울러 휴대폰은 수면주기를 방해하고 청색광은 뇌를 낮 시간인 것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때문에 잠 들기 전에는 핸드폰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불면증이 1년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의 경우, 대부분 '불량한 수면'이 원인이기 때문에, 잠들기 어려움 조기 각성 등의 질병적인 수면질환에 대한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하다. 

더불어 불면증 치료를 위한 수면제 복용 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를 위해 임상 경과와 불면증 만성 상태, 정신 장애 수준과 복합적인 진단이 요구된다.

|기고|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

-----*-----

※ 본 기고는 메디파나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