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SK바이오팜, 美 뇌전증 시장서 대규모 TV 광고 캠페인 전개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의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SK Life Science)가 1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전역에서 TV 광고 형식의 소비자 직접(DTC, Direct-to-consumer) 광고 캠페인을 본격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인지도 제고와 신규 환자 처방 확대를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이다.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한편, 환자들이 신약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의료진과 치료 옵션에 관해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하도록 독
SK케미칼, '기넥신에프정 120mg 10정' 소포장 제품 출시
SK케미칼이 '기넥신' 소포장 제품을 선보이며 브랜드 라인업을 확장한다. SK케미칼(대표 안재현)은 은행잎추출물 함유 혈액 순환개선제 '기넥신' 신규 라인업으로 10정 단위의 소포장 제품 '기넥신에프 120mg 10정 (이하 기넥신 10정)'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은행잎 성분 의약품들 중 10정 단위 소포장으로 출시되는 것은 기넥신이 처음이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기넥신 10정'은 기존 대용량 중심의 포장을 작고 간편한 포장으로 변경해 휴대성을 높인 점이 특징이다. 회사 측은 직장인, 여행객 등 이동이 잦은 소비자들
"전세계 의료진 마음을‥" '펙수클루', DDW서 우수성 증명
대웅제약이 세계 최대 규모 학술행사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의 최신 연구 데이터 및 우수성을 전 세계 의료진에 알렸다.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세계 최대 소화기 학술행사인 '2025 소화기질환 주간(Digestive Disease Week 2025, 이하 DDW)'에서 펙수클루 학술 부스 운영과 '펙수클루의 밤(Fexuclue Reception Night)'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DDW는 매년 전 세계 의사, 연구자, 업계 관계자 등이 참
-
SK바사 자회사 IDT, 글로벌 무대 누비며 CDMO 시장 공략 강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자회사이자 독일의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기업인 IDT 바이오로지카(이하 IDT)가 최근 세계 주요 바이오 행사에 잇따라 참가하며, 글로벌 CDMO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신규 수주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IDT는 지난 12일(현지시각)부터 15일
-
젬백스, '발명의 날' 중기부장관상‥세계적 기술 확보 인정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은 지난 19일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가 주최∙주관하는 '제60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발명의 날 기념식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분야별 발명 유공자 및 원천∙핵심기술 등을 개발하여 위대한 발
-
조아제약, '일본 국제식품소재 박람회' 참가…해외 판로 확대
조아제약이 해외 수출 및 판로 확대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에 나선다. 조아제약은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일본국제식품소재 박람회 2025(IFIA Japan 2025·HFE Japan 2025)'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
약사회 "권역별 정책토론회 25일부터 시작…정책 발전시킬 것"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가 핵심 정책 과제 실행 방안을 발전시키기 위해 6개 권역(부산·울산·경남/서울·강원/대전·충북·충남/광주·전북·전남&midd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10월****2017.09.24 13:04:25
이렇게 부당할수가...10월달추석2일날임시공휴일을 제하더라도 총14일의휴일이있어야하는데 이병원 ..너무하네요 8일간 쉬는날이 랍니다~답답해서올려봅니다요?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김**2017.03.30 22:22:09
안녕하세요. kna 대학생 활동가 김혜영입니다. 간호 인력 부족 문제와 관련된 기사를 접하게 되면 한 명의 간호학생으로 마음이 무겁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무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간호사들이 과도한 업무량과 근무환경으로 인해 이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꼭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간* 2017.04.15 22:02:45
저도 한명의 간호학생으로서 생각을 해보았는데 과도한업무량과 근무환경으로 떠나는것은 일차병원같은 대학병원이고 이글의 논란은 간호사수가많아지고있는데 왜 이차병원에 간호사수가 늘어나지 않느냐이기때문에 님의 글은 논점을 벗어난것 같습니다
답**2017.03.13 18:07:54
왜 모르는건가?? 간호사들이 왜 때려치는지를 연봉 올려주고 환자수 일정해주세요 계속되는 오버타임에 밥도 못먹고 만성소화불량에 화장실도 못가고 제대로 쉬지도 못해요.. 업무강도는 쎄고 월급은 일반 4년제나온사무직보다 적으니 누가 일하겠습니까?? 간호사 처우는 해가 갈수록 안좋아지는것 같아요.. 유휴간호사들 다들 어디에 있을까요?? 이상한 전문대학에 간호학과 증설하지말고 간호사 처우를 한번더 생각해주세요..몇몇의 의료기사협회는 월급 최처 연봉정했더만 어찌 간호사는 월급이 몇년전이나 동일합니까?? 중소병원들 왜 간호사들이 안온다고 타령하지말고 간호사 복지나 근로환경에 대해서 생각해보세요.. 장롱면허 간호사가 몇만명인데 간호학과만 늘리고 자빠졌으니 ㅉㅉ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