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醫, 정책 제안…"유아·성인 안질환 조기검진 제도화 시급"

굴절이상·사시·약시 조기진단 위한 유아기 검진 확대 강조
성인 안저검사 정례화 촉구…"실명 예방과 국가 의료비 절감 효과"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5-21 14:31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안과의사회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맞아 국민 눈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했다. 유아기 안과질환 조기검진과 성인 안저검사 정례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실명 예방과 의료비 절감이라는 공공적 효과를 함께 강조했다.

첫 번째 정책은 영유아 국가건강검진에 굴절검사·사시 검사 등 안과 정밀검사를 포함하자는 것이다.

대한안과의사회 정혜욱 회장은 "소아기 시력 발달은 7~9세에 결정되며, 이 시기를 놓치면 약시 치료 성공률이 급격히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의 영유아검진은 시력검사가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안과 전문의의 직접 검진 없이 검사가 끝나는 구조다. 실제로 제7차 검진 시기(만 66~71개월) 대상자 약 38만명 중 11만7천명(약 30%)이 시력이상 판정을 받는 상황이다.

지난해 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5~12세 어린이의 근시 유병률은 55.6%로 나타났으며, 국제 통계에서도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근시 유병률은 73.94%로 아시아에서도 매우 높은 편이다.

안과의사회는 이를 근거로 제7차 검진 시기에 안과 병·의원에서 정밀 안과검사를 수행하도록 제도화하고, 관련 비용을 국가 또는 지자체가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정책은 성인기 국가건강검진에 안저촬영을 포함한 안과검사를 도입하자는 내용이다. 40세 이후 황반변성·녹내장·당뇨망막병증 등의 실명 질환이 증가하는 가운데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는 일반 검진에 시력검사만 포함돼 있고 정기적인 안저검사나 안과 진료는 의무화돼 있지 않아, 환자 대부분이 증상이 심화된 뒤에야 진단받는 케이스가 많다.

실제로 2022년 기준 당뇨 환자 600만명 중 2030%가 당뇨망막병증을 앓고 있지만, 이들 중 최근 1년 내 안저검사를 받은 비율은 29.5%에 불과했다. 또한 황반변성 유병률은 2008~2012년 약 6.6%에서 2017~2020년에는 13.9%로 증가세를 보였다.

정 회장은 "생애전환기 검진 대상자인 만 66세 이상을 중심으로 안과 병·의원에서 정기 안저검사를 시행하고, 검진비는 건강보험공단 또는 지자체 재정으로 보전하는 방식의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과의사회는 이번 정책 제안은 단순한 검진항목 확대가 아니라, 국민 눈 건강을 지키고 사회적 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예방 중심 건강정책의 실현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대선 국면에서 시야 보건이 공공의제로 다뤄지기를 소망했다.

정 회장은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생애주기에 따른 시력보호 시스템이 구축되면, 실명 예방은 물론 복지비용 절감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