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여성, 다이어트 위해 마약류 식욕억제제 복용 급증

2030 여성 처방 환자 총 40만명 가량…남성 환자 대비 최고 8배
장종태 의원 "마약류 의약품 처방, 목적 맞게 이뤄지는지 세밀한 점검 필요"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9-29 10:38

 
'살 빼는 약'으로 알려진 마약류 식욕억제제가 2030 여성들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지상주의와 무분별한 처방 관행이 맞물려 나타난 '의존성'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국회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으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류 의약품 처방 현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마다 전체 환자수는 감소했음에도,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여성이 식욕억제제를 처방받고 있었으며, 1인당 처방량은 줄지 않고 있어 2030 젊은 여성층의 의존 현상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0대 여성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13만3135명으로, 전년(14만9041명) 대비 약 10% 가량 감소했다. 30대 여성 역시 2023년 25만3075명에서 지난해 23만6481명으로 6% 가량 감소했다.
하지만 감소한 수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기준 20대 여성 환자는 같은 연령대 남성(1만6437명)보다 8.1배, 30대 여성 환자는 남성(3만8786명)보다 6.1배 많아 2023년도와 같이 동일 성별대의 남성에 비해 극심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전체 환자 수는 줄었으나, 약물 의존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1인당 처방량은 줄지 않았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1인당 처방량은 225.6정으로, 2023년과 완전히 동일한 수치보이고 있으며, 모든 성별과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번 식욕억제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들의 복용량이 줄어들지 않고 있음을 추측 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식약처의 안전사용 가이드라인이 식욕억제제의 3개월 이내의 단기 처방을 권고하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권고가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한다.

장종태 의원은 "식욕억제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된 엄연한 마약류"라며 "단기간에 체중 감량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의존성과 내성이 쉽게 생겨 장기 복용 시 우울감, 불면, 심장 질환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처방 환자 수의 소폭 줄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1인당 처방량이 그대로라는 것은 한번 시작된 의존성을 끊기가 매우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식약처는 마약류 의약품 처방 가이드라인 강화와 함께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오남용 예방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