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 전시회인 'CPHI/ ICSE/ PMEC/ bioLIVE/ Hi Korea 2023’이 30일 막을 올렸다. 이번 행사는 오는 9월 1일까지 코엑스 A홀에서 진행된다.
충청북도를 비롯해, 안전성평가연구소(DIPS 1000+),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청주상공회의소,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한국발명진흥회등이 후원하며, bioLIVE는 인포마마켓한국㈜와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공동 주최한다.
이 행사는 제약, 바이오, 건강기능성 원료 및 제품 산업의 대표 행사로 올해 16개국 366개 업체가 참가하며 이 중 해외업체가 60%의 비율을 차지한다. 60개국에서 사전등록을 완료했으며 약 8,000명의 방문객 및 바이어가 방문해 활발한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컨퍼런스, 세미나, 1:1매치메이킹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준비돼 있으며, 현장 전시회 후 1주일 동안 전시업체 및 방문객들이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된다.
올해 CPHI / Hi Korea 2023은 참가업체의 비즈니스 매칭 성사율을 높이고 행사에 대한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마련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미 국내외 참가업체와 방문객 및 바이어간의 사전미팅이 2,000건 이상 신청됐다.
전시회 기간 동안 컨퍼런스와 세미나를 통해 총 43개의 강연이 진행된다.
전시회 첫 날인 8월 30일 오후에는▲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의 '바이오헬스 정책포럼' ▲한국식품연구원의 '2023 한국식품연구원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가 진행되며, 둘째 날인 8월 31일 오후에는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Committee (APIC)(Europe)의 'CEP2.0: 미래의 CEP’과 ‘지속 가능한 API 생산' 세션이 진행된다.
마지막날 오전에는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주관으로 ▲벤트크릭연구소에서 직접 '미국 건강보조식품 산업의 시장 동향 및 규제'에 대한 세션을, 오후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 주관으로 '바이오기업 글로벌 사업화 업그레이드'라는 주제로 바이오기업: 국제ESG기준 따라잡기 및 미국 NIH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다.
무료 세미나에서는 참가업체 신기술 및 제품, 연구 성과를 포함한 최신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30일 오전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에서 '미국제조혁신 대응전략과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한국 게약 바이오 협회 및 한미공급망경영연구소 발표를 진행하며, 오후에는 ▲Elsevier가 '제약 연구를 위한 엘스비어 라이프 사이언스 솔루션' 세미나를 진행한다.
8월 31일 오전에는 ▲가테포세 아시아 퍼시픽에서 '침투성이 낮은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기 위한 투과 증진제'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며, 오후에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2023 우수 기능성소재 특허기술 설명회 및 상담회'가 진행된다.
마지막 날인 9월 1일 오전에는 ▲엔피케이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K-낙산균'이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이어 오후에는 ▲에이스엠자임에서 '양산된 희귀 진세노사이드 Compound K의 다양한 효과 및 천연물 의약품 및 건강식품 원료로의 이용'에 대한 세션을 진행한다.
다양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CPHI / Hi Korea 2023의 컨퍼런스 & 세미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동향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컨퍼런스는 현재 공식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사전신청을 마감했고, 전시회 현장에서 신청가능하다.
이번 행사에는 제약사의 참가가 매우 활발한 모습이다. 참가업체 규모가 전년 대비 약 60% 성장했으며, 분야별로는 CPHI(원료 및 완제의약품)가 50%, Hi(건강기능성 원료 및 제품) 영역이 약 137% 가량 성장했다.
올해 신규로 참가하는 업체로는 세계적 수준의 의약품 부형제 및 서비스 공급업체 칼라콘 아시아퍼시픽, 대표적인 합성의약품 CMO(위탁생산) 전문 기업 ㈜제뉴원사이언스가 참가하며 이 외에도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티앤씨코리아, ㈜빅솔, ㈜이소, ㈜피엠아이바이오텍, ㈜반센, EZ바이오팜, ㈜그린스카이, 쓰리에이로직스㈜, ㈜바이오뉴트리젠, 창협물산㈜, ㈜씨티케이, (재)충북지역사업평가단, 탑월드㈜, ㈜에버스프링, ㈜ 포바이오코리아, 강릉시, 강원지역사업평가단, ㈜아이노스, 향림산업㈜ ,(재)제주지역사업평가단, 농업회사법인 제주생물자원, 케이셀바이오사이언스, 메탈릭스 리파이닝 아시아(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주식회사 리서치멘토, 유니크바이오텍㈜, ㈜바이텍, 월드웨이㈜, 드림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공동관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의 DIPS 1000+ 사업의 일환으로 ㈜에이엔폴리, ㈜오토텔릭바이오, 진메디신 주식회사, ㈜키텍바이오, 랩앤피플, 멥스젠, 오가노이드사이언스㈜, ㈜포스백스, 주식회사 프리클리나, ㈜프로앱텍, ㈜큐라티스, ㈜사이키바이오텍, 주식회사 스페바이오, ㈜티움바이오, ㈜입셀, 주식회사 유스바이오글로벌, ㈜지티아이바이오사이언스 등의 업체들이 참가한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사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등이 공동관을 형성한다.
또한 (재)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사업으로 주식회사 뉴트리케어, 성이바이오㈜, ㈜에스티알바이오텍, ㈜마이크로알지 에스크 어스, 주식회사 뉴젠헬스케어 등의 업체들이 참가한다.
마지막으로 청주 상공회의소의 사업으로 한국코러스㈜, ㈜엠에이치투바이오케미칼,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참가해 공동관을 형성한다.
이외에도 Zhejiang Department of Commerce, CCCMHPIE, CCPIT, GOED OMEGA-3등 해외 국가 및 단체관이 구성 되어 주요 해외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
UN산업개발기구 한국투자진흥사무소(UNIDO ITPO Korea)는 UN의 전문기구로 개발도상국의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UNIDO ITPO Korea는 오는 CPHI & Hi 2023에서 개발도상국 현지 공무원을 초청하여 B2G 상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상담회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의 중앙정부 공무원 및 전문가가 참여하며, 1:1 B2G 상담회를 통해 직접 이야기 나눌 수 있다.
공동관 외 개별 참가업체 또한 다수 참여한다. 국내 참가업체로는 리후헬스케어, 국전약품, 이지켐텍, 노바렉스, 대한켐텍, ㈜휴온스, 주식회사오트란팜코리아, ㈜비티씨, ㈜파마라인, 신신제약㈜, ㈜에스비티, 이니스트에스티 주식회사, 엠에프씨 ㈜, ㈜ 뉴메드, 코린스테크, 주영엔에스㈜, ㈜케어젠, 서흥, 디알바이오코리아, 지에프텍, ㈜하임스내츄라, ㈜대경하이켐, ㈜우신라보타치, 사빈사코리아㈜, ㈜ 알토스, 바이오시네틱스, Elsevier Korea LLC, 웨스트파마슈티컬 서비시즈, ㈜ 엔에스엘코리아, ㈜비에스티, ㈜에이스엠자임, 엔피케이㈜, 라비제, ㈜이지솔루텍, 삼전순약공업㈜, 큐라티스,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등이 있다.
국내기업 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기업 250개사가 참가해 국내사와 활발한 미팅을 진행한다. 해외 참가업체는 전체 참가업체 리스트에서 확인 가능한다.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건강기능 산업의 관심이집중되는 이번 CPHI / Hi Korea 2023은 국내외 바이어와 참가업체에 의미 있는 만남의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비즈니스의 활성화를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국내 제약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