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개 의대, 유급 8305명·제적 46명 확정‥교육부 "복귀 학생 보호 총력"

의대생 절반 가까이 진급 불가‥복귀생 6700여 명만 정상 수업 가능
예과생 3650명, 내년 2학기부터 수업 참여…정상 진급 길 열려
복수 학번 혼재 대비…대학별 진급 시기별 시나리오 분석 지시
교육부, 유급·제적 확정에 "편입 통한 결손 인원 충원 지원"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5-09 15:45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과대학 정원의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유급 판정을 받았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집단적으로 수업에 불참한 데 따른 결과다. 제적자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전국 의대에 '교육 붕괴' 수준의 충격이 가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교육부는 9일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지난 7일 제출한 유급 및 제적자 명단을 공식 발표했다. 재학생 1만9475명 중 유급 예정자는 8305명(42.6%), 제적 예정자는 46명(0.2%)이며, 각 대학은 자체 학칙에 따라 소명절차 등을 거쳐 처리하게 된다.

이 외에도 ▲유급 제도가 없는 예과 과정에서 2025학년도 1학기 이후 성적경고가 예상되는 인원은 3027명(15.5%), ▲1학기 등록(복학) 후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한 학생은 1389명(7.1%)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올해 1학기 내 수업에 정상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생은 전체의 34.4%에 해당하는 6708명에 불과하다. 다만 예과과정 학생 3650명은 2025학년도 2학기에 수업 참여가 가능하고, 미이수 학점을 보충하면 정상 진급이 가능하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교육부는 유급·제적 결정에 따른 후속 조치로, 학업에 복귀한 학생들이 학습권을 온전히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전방위적 교육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범정부 차원의 보호 조치를 강화해 복귀생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고, 가칭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해 학생을 포함한 교육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 개선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자퇴 및 제적 등으로 발생한 결손 인원에 대해서는 대학이 편입학 등의 방식으로 원활하게 충원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교육부는 "향후 동일 학년에 복수 학번 학생이 동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대비해, 대학별 진급 시기별 학생 현황을 사전에 면밀히 분석해 철저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교육여건을 고려해 신입생이 우선 교육받을 수 있는 구조 마련을 대학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