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크는 주사 처방량 162만개 역대 최대…중증 부작용 18배 급증

처방액 약 3배 증가…2020년 596억원 → 지난해 1592억원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10-02 11:15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량이 162만개, 처방액은 1592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중증 부작용도 2020년 9건에서 지난해 165건으로 18배 이상 급증했으며, 성장호르몬 관련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알선 광고는 2021년 2건에서 올해 8월 기준 111건으로 폭증한 것으로 확인된다.

국회 보건복지위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건수는 162만1154건, 처방액은 1592억54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액이 15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처방건수는 2020년 89만5011건 대비 1.8배(81.13%) 늘어났으며, 처방액은 2020년 596억8100만원 대비 2.6배(166.83%) 급증했다. 비급여 처방까지 감안하면 증가폭은 더 클 것으로 분석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성장호르몬 주사제 부작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제 부작용은 1809건이며, 이 중 중대 부작용은 165건이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 부작용은 2020년 9건에서 지난해 165건으로 18배 이상 증가했다. 중대 부작용은 폐렴, 상태 악화, 미코플라스마 폐렴, 충수염, 발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성장호르몬 관련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알선 광고도 증가하고 있어, 2021년 2건에 불과했던 적발건수가 올해 8월 기준 111건으로 급증했다.

남인순 의원은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분비 장애 및 결핍 환자, 터너증후군 환자에게 처방돼야 함에도 키 크는 주사로 불리며 오남용되고 있다"며 "특히 중대 부작용과 온라인 불법판매 광고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복지부와 식약처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제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