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안정화에 '깜짝' 상정 '공공의대법'…상임위 계속 심사키로

의료계 반대하던 공공의대 설립법, 속도 내는 국회…의료계 반발 예상

조운 기자 (good****@medi****.com)2022-04-27 06:06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방역완화와 함께 사실상 '포스트 코로나'가 진행되는 가운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공공의대 법안이 깜짝 상정됐다.

공공의료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국립중앙의료원 신축 이전과 맞물려 공공의대법안을 하루 빨리 처리해야 한다는 목소리 속에 이날 회의에서는 5건의 공공의대 법안을 계속 심사하기로 결론내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지난 26일 오후 제2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법' 등 법안 55건을 심의했다.

당초 제2법안소위 회의 안건에 포함되지 않았던 공공의대 설립 관련 법안 5건이 일괄 상정되면서 회의 결과에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에 논의된 공공의대 관련 법안은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 국민의힘 이용호, 김형동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안'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이 낸 '공중보건장학을 위한 특례법 전부개정안'과 같은 당 기동민 의원이 발의한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5건이다. 

특히 김성주 의원과 이용호 의원안의 경우 지난 2020년 6월 발의된 이후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의 4대악 철회 '전국 의사 총파업' 이후 오랫동안 국회에 계류됐던 법안으로, 당시 의정·의당 합의를 통해 코로나19 종식 이후 재논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최근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계획을 발표하는 등 코로나19의 조기 종식을 부추기고 있는 상황에서 다소 무리하게 해당 법안이 논의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공공병원의 의료인력 부족 문제가 부각되고,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이 가속화되면서 언제까지 공공의대 논의를 늦출 수 없다는 지적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제2법안소위에는 해당 법안을 직접 발의한 김성주 의원, 이용호 의원이 포함돼 있는 바, 이날 회의에서는 의료서비스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한편,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능력 강화에 필요한 공공보건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는데 대한 의견이 모아졌다.

다만, 공공의대 설립법안은 '제정법'이며, 의료계의 반대 의견이 강렬한 만큼 이에 대한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분위기 속에 여야는 해당 법안을 계속 심사키로 결정했다.

5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해당 법안이 재논의될 가능성이 농후한 상황에서, 향후 공공의대 설립을 반대하는 의료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관련기사보기

당 대결 방불케 한 의협 정총…여야, 공공의대·간호법 반대 의견 피력

당 대결 방불케 한 의협 정총…여야, 공공의대·간호법 반대 의견 피력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방역완화와 함께 본격적인 '포스트 코로나' 시점에서 개최된 의협 정기대의원총회에서 각종 의료계 현안이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여야 국회의원도 대거 참석한 가운데, 여야 의원들은 공공 의대, 간호법 등 의료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해 각 당의 비전이 제시되는 등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의료계 민심잡기에 나섰다. 24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제74차 정기대의원총회가 더케이호텔 컨벤션센터 2층 그랜드 볼룸에서 개최됐다. 박성민 의협 대의원회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어렵고 힘든 코로나와의 전

대선 앞두고 다시 집중되는 공공의대 이슈, 의료계 경계

대선 앞두고 다시 집중되는 공공의대 이슈, 의료계 경계

[메디파나뉴스 = 박민욱 기자] 제 20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공공의대 이슈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유력 대선 주자가 전라북도를 방문하게 되면 남원 지역 공공의전원 설립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 이에 한 후보는 "공공의대라는 지역 의사 배출 시스템 검토가 필요하다"고 즉답을 피하기도 했지만, 다른 후보는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언급하면서 공공의대 논쟁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정치적 판단으로 공공의대가 추진되는 것을 우려하면서, 장기적이고 과학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대한의사협회

대선 앞두고 전북·인천 '공공의대' 수면 위…이재명 공약에도

대선 앞두고 전북·인천 '공공의대' 수면 위…이재명 공약에도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의료계 총파업으로 겨우 막아왔던 공공의대 논의가 내년도 대선을 앞두고 다시 터져나오고 있다. 복지부 국정감사에서는 여당을 중심으로 공공의대 추진에 대한 촉구가 이어졌고, 전라북도와 인천시의 공공의대 설립 결의 속에 민주당 대선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 역시 공공의대 설립을 약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28일 인천시 공약 발표 기자회견 중반에 접어든 2021년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료 강화 필요성과 함께 공공의대 설립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김원이 의원과 무소속 이용호

"이번엔 수도권에서" 또다시 부는 지자체 공공의대 바람

"이번엔 수도권에서" 또다시 부는 지자체 공공의대 바람

[메디파나뉴스 = 박민욱 기자] 지난해 의사단체가 전국의사총파업까지 진행하며 반대했던 '공공의대 설립' 바람이 다시 조금씩 불고 있다. 오는 2022년 대선에서 강력한 여당 후보 중 한 명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공공의대 신설과 의료인력 확충 등을 공언했으며, 국회에서도 관련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이에 수도권 대학에서 '공공의대 설립' 서명운동이 진행되는 등 본격적 움직임을 보이자 의료계 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일 인천대학교는 "300만 인천시민 숙원사업인 공공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공공의대 설립이 국회 차원에서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