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제약, 오송공장 가동 본격화…"실적 긍정적 영향 기대"

1Q 가동률 43.1%…허가이전 마치면 주사제 공급 안정화 기대
실적은 주춤…매출 709억·영업익 48억, 전년比 하락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5-21 05:58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삼진제약이 지난해 신설한 오송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주력 제품으로 올라선 주사제 공급 물량 안정화를 통한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1분기 오송공장 가동을 시작, 102억원 규모 물량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동을 시작했지만 증축 이전 실적은 미미해 분기보고서상 오송공장 생산실적이 기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품목별로는 합성원료 53억원, 주사제 19억원, 기타 30억원 규모를 생산했다. 아직까지 가동률은 43.1%로 낮은 편이다. 오송공장 생산능력은 주사제 121억원, 합성원료 85억원, 기타 32억원 규모다. 오송공장 준공 전인 지난해 1분기 향남공장 주사제 생산실적은 54억원 규모다.

회사에 따르면 향남공장 주사제 생산라인을 오송공장으로 이전함에 따라 품목허가를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 허가가 완료되면 주사제 생산실적도 확대될 예정으로, 회사는 공급 물량이 안정화되며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사제는 최근 5년간 꾸준히 매출 비중을 높이며 회사 주력으로 자리잡고 있는 품목이다. 2020년엔 217억원으로 비중이 9.21%였지만 2021년 353억원으로 14.12%, 2022년 382억원으로 13.93%, 2023년 409억원으로 14.01%, 지난해 485억원으로 15.73%까지 올라왔다. 2020년 매출 391억원으로 비중이 두 번째로 높았던 캅셀제의 경우 2022년 442억원까지 오른 뒤 지난해 401억원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오송공장 주사제동 허가이전이 끝나면 가동률과 생산실적이 올라갈 것으로 판단된다"며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오송공장 가동이 아직까지 실적에 미친 영향은 없다. 이전 작업 전 재고를 생산해뒀기 때문이다. 매출 비중이 더 큰 정제 품목을 생산하는 향남공장의 경우 오히려 평균가동률이 112.38%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2.85%보다 늘었다.

삼진제약 1분기 실적은 소폭 감소했다. 매출액은 70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726억원 대비 2.34% 하락했다. 영업이익은 48억원으로 전년 동기 55억원보다 12.05% 감소했다. 매출원가는 43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42억원보다 2.6% 감소했고, 판관비는 230억원으로 지난해 229억원보다 0.48% 늘었다.

제품별로는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항혈전제 '플래리스'와 소염진통제 '게보린' 등 정제 품목 매출이 372억원으로 전년 동기 391억원보다 4.75% 하락했고, 뇌기능개선제 '뉴티린'과 식욕촉진제 '트레스탄' 등 캅셀제 품목 매출도 83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93억원보다 9.82% 하락했다.

반면 항생제 '타우로린'과 해독제 '페르본' 등 주사제의 경우 12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113억원보다 소폭 증가했다.

회사는 이번 실적은 경기불황에 따른 일시적 영향으로, 남은 2~4분기에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사회적 불안 요인과 지속되는 경기불황 등으로 일시적 영향이 있었지만 점차 개선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보기

삼진제약, 연매출 3000억원 첫 돌파…전 사업부 성장 주효

삼진제약, 연매출 3000억원 첫 돌파…전 사업부 성장 주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삼진제약이 지난해 처음으로 연매출 3000억원을 넘어섰다.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한 데는 전문의약품(ETC), 일반의약품(OTC), 건강기능식품 등 전 사업부에서 고르게 실적이 뒷받침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2024년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3083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성장한 수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6억원으로 전년 대비 54.5% 성장하며 외형 성장을 지속함과 동시에 수익성 개선에도 성공한 모습을 보였다. 삼진제약 관계

삼진제약, 조규석-최지현 대표이사 신규 선임…책임경영 강화

삼진제약, 조규석-최지현 대표이사 신규 선임…책임경영 강화

삼진제약(대표이사 최용주) 이사회가 조규석, 최지현 사장을 각자 대표이사로 신규선임하며 연속성을 내재한 책임경영 강화를 선언했다. 21일 오전 서교동 삼진제약 본사 강당에서 '제57기 정기주주총회'와 이사회가 개최됐다. 정기주주총회 후 열린 이사회에서 책임경영 강화와 미래 번영을 위한 성장 가속화를 꾀하고자 現 조규석, 최지현 사장을 각자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조규석 대표이사는 경영관리, 재무, 생산 부문을 총괄하며 조직의 안정적인 운영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해왔으며, 최지현 대표이사는 영업, 마케팅, 연구개발 부서를 진두지휘하

[주.사.기] 삼진제약, 제약사업 주력 57년…이어지는 투자·확장

[주.사.기] 삼진제약, 제약사업 주력 57년…이어지는 투자·확장

과거부터 현재까지 제약사들은 의약품을 중심으로 성장해왔고, 바이오업체들은 그 외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과 전략에 도전하며 변화를 이끌고 있다. 끝없는 성장과 변화는 제한돼있는 내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각 제약사와 바이오업체는 선택과 집중, 다각화와 전문화 등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주력사업' 확보와 유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주력사업 살펴보기, 줄여서 '주사기' 코너에서는 각 제약사와 바이오업체 성장에 앞장서고 있는 주력사업이 갖는 입지와 영향력,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메디파나뉴스 =

삼진제약 42년 산증인 최용주 대표 내달 퇴임…2세 승계 주목

삼진제약 42년 산증인 최용주 대표 내달 퇴임…2세 승계 주목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삼진제약에서 42년간 근무해온 최용주 대표이사 사장이 내달 퇴임할 것으로 확인된다. 2년 전 사내이사에 오른 오너 2세가 공동 대표에 오를지 주목된다. 17일 삼진제약이 공시한 '주주총회소집 결의'에 따르면, 회사는 내달 21일 개최하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후보자 2명을 신규 선임하는 '이사 선임의 건'을 다룰 예정이다. 이번 공시가 눈길을 끄는 이유는 내달부로 임기가 끝나는 최용주 대표이사 재선임 안건을 기재하지 않아서다. 최 대표는 2019년 3월에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사장)에 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