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 메디톡신 일부 단위 국내외 공급 중단‥판매부진 영향

메디톡신 50·150단위 내년 4월 5일까지 제품 공급  
200단위 포함한 코어톡스·뉴럭스 등으로 대체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10-10 11:57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메디톡스가 자사 보툴리눔톡신인 '메디톡신(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 일부 단위에 대한 국내외 생산 및 공급을 중단한다.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메디톡신주(수출명: 뉴로녹스주 등) 50단위(Unit)와 150단위가 공급중단 의약품 현황에 이름을 올렸다. 

회사는 내년 4월 5일까지만 제품을 공급하고 6일부터 공급을 중단할 예정이라 했다. 

메디톡스는 공급 중단 사유로 시장 수요 감소 및 판매 실적 부진을 들었다. 

회사 측이 설명한 것처럼 메디톡신 50단위 생산실적은 2019년 67억원에서 2020년 37억원, 2021년 23억원, 2022년 18억원, 2023년 11억원으로 매년 감소 추세다. 

메디톡신 150단위 역시 2019년 94억원, 2020년 39억원, 2021년 36억원, 2022년 8억원, 2023년 25억원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다만 메디톡스는 공급 중단에 따른 의약품 수급 차질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봤다. 메디톡신 200단위가 주력인 만큼 이들 단위를 대체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메디톡신 200단위 생산실적은 2020년 167억원에서 2021년 169억원, 2022년 302억원, 2023년 614억원, 2024년 437억원으로 성장세를 유지 중이다.

또 회사는 메디톡신 생산실적 공백을 후속 제품이 메울 것으로도 봤다.  2016년 개발한 '코어톡스'와 2023년 선보인 '뉴럭스' 등이다.

코어톡스는 900kDa(킬로달톤)의 기존 톡신 제제에서 내성 유발 원인 중 하나인 비독소 단백질을 제거해 150kDa의 신경독소만 담은 국내 유일,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된 톡신 제제다. 

뉴럭스는 메디톡스 계열사 뉴메코가 개발한 차세대 보툴리눔톡신 제제로, 원액 생산 과정에서 동물유래성분을 배제해 동물성 항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을 원천 차단한 게 특징이다. 

이들 제품의 2023년 생산실적은 각각 240억원, 88억원이다. 

한편 메디톡스는 "메디톡신 50유닛, 150유닛에 대한 재생산 또는 재공급 계획이 없다"면서도 "향후 필요 시 재검토해 생산을 진행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관련기사보기

메디톡스, 국내 톡신 출혈경쟁에 2Q 실적 주춤

메디톡스, 국내 톡신 출혈경쟁에 2Q 실적 주춤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메디톡스가 국내 톡신 시장 출혈경쟁에 2분기 시장 기대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톡신 성장세를 기반으로 연간 실적은 성장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메디톡스는 2분기 매출액 616억원,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2%, 영업이익은 55.9% 하락한 수치다. 시장 컨센서스에 대비하면 매출은 10.9%, 영업이익은 49.5% 하회하는 실적이다. 키움증권은 12일 보고서를 통해 국내 톡신 경쟁 심화로

메디톡스, 2분기 연결영업익 63억…전년比 55.9%↓

메디톡스, 2분기 연결영업익 63억…전년比 55.9%↓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메디톡스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3억원으로 전년 동기 143억원 대비 55.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16억원으로 전년 동기 650억원 대비 5.2%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82억원으로 전년 동기 113억원 대비 27.8% 감소했다. 상반기 누적으로는 매출액 1256억원, 영업이익 118억원, 당기순이익 11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16.7% 증가한 수치다.

메디톡신 허가 지켜낸 메디톡스, 리스크 벗었지만 부담은 '여전'

메디톡신 허가 지켜낸 메디톡스, 리스크 벗었지만 부담은 '여전'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메디톡스가 '무허가 원액' 관련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허가 취소에 대한 리스크는 피했지만, 연이은 소송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히 남게 됐다. 9일 대전지방법원 행정3부(최병준 부장판사)는 메디톡스가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상대로 제기한 '의약품(메디톡신주 50/100/150) 제조중지 및 판매중지 명령 취소' 및 '품목허가취소 등 취소' 청구 소송에 대해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이로 인해 항소심 판결 선고 시까지 식약처가 메디톡스에 내린 처분에 대한 효력이 정지됐다. 해당 처분은 지난 2020년

메디톡스, 3년만에 '메디톡신' 태국 수출 재개

메디톡스, 3년만에 '메디톡신' 태국 수출 재개

메디톡스(대표 정현호)가 최근 태국식품의약품청(TFD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메디톡신(수출명 뉴로녹스)'의 판매 재개를 승인 받았다. TFDA는 지난 2020년 메디톡스의 국내 행정처분을 이유로 메디톡신의 태국 판매를 중단한 바 있으나, 최근 해당 조치를 전격 해제했다. 연간 매출 100억 원을 넘어서며 태국 1등 톡신 제제로 자리매김했던 메디톡신이 다시 태국 시장에 출시되며, 메디톡스와 태국 미용전문업체 셀레스테가 설립한 현지 합작법인 메디셀레스(MedyCeles)는 대대적 마케팅을 통한 시장 탈환을 예고했다. 지난달에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