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의료기기산업 매출 100조원 앞 주춤…의료기기 감소세

진흥원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제약·의료기기 매출 91조, 전년 95조에서 뒷걸음
의료기기산업 감소세, 체외진단의료기기 10조→3조 견인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4-30 12:01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국내 제약·의료기기산업이 100조원 규모 달성을 앞두고 주춤거리는 모습이다. 제약산업 매출은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의료기기산업 체외진단의료기기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액이 감소세로 돌아서면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0일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매출액은 133조368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0.7%, 9000억원가량 하락한 수준이다.

제약산업 매출액은 53조808억원 규모다. 전년 50조473억원보다 6.1% 늘었다. 반면 의료기기산업은 37조9586억원으로 전년 45조6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15.7%, 7조474억원가량 감소한 수준이다. 제약과 의료기기를 합친 산업 규모는 91조394억원이다. 2021년 83조90억원에서 2022년 95조534억원으로 증가하며 100조원을 목전에 뒀으나, 의료기기산업 매출 감소로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제약산업 품목별 매출을 보면 원료의약품 매출액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완제의약품의 경우 44조1425억원으로 전년 44조242억원에 비해 0.3% 늘었지만, 원료의약품의 경우 8조9382억원으로 전년 6조231억원에 비해 48.4%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83.2%와 16.8%로, 전년 88%와 12% 대비 원료의약품 비중이 늘었다.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다. 완제의약품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매출액은 11조9579억원으로 전년 12조5641억원 대비 4.8% 감소했다. 원료의약품 내 바이오의약품 매출액 역시 1조3808억원으로 전년 1조8564억원 대비 25.6% 줄었다.

의료기기산업품목별로는 기구기계만 매출이 늘었고, 의료용품, 치과재료, 의료용 소프트웨어, 체외진단의료기기 등은 모두 큰 폭으로 줄었다. 특히 체외진단의료기기가 10조8892억원에서 3조4001억원으로 7조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는 제약산업과 의료기기산업 모두 늘었다. 제약산업의 경우 4조1747억원으로 전년 3조9892억원 대비 4.6% 증가했다. 다만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7.9%로 전년 8%보다 0.1%p 하락했다. 의료기기산업 연구개발비는 1조9969억원으로 전년 1조5864억원보다 25.9% 늘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역시 5.3%에서 3.5%로 늘어난 모습이다.

종사자 수의 경우 제약산업은 10만2141명으로 전년 10만1984명보다 0.2% 늘었고, 의료기기산업은 11만8296명으로 전년 10만9996명보다 7.5% 증가했다.

이병관 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은 기술융합과 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급변하는 환경 변화 속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산업 전·후방 연계성과 통계 신뢰성 제고를 위해 체게적 분류체계 고도화와 조사 기반 강화를 통해 바이오헬스산업 통계 인프라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보기

보산진, '2025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 발간

보산진, '2025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 발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9년부터 2030년까지의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를 산업별, 국가별, 대륙별, 경제권별로 정리한 정기간행물 '2025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2019~2030)'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자료는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등 바이오헬스제조산업에 의료서비스산업을 포함한 바이오헬스산업에 대해 약 212개 국가의 산업별 시장규모를 정리한 자료다.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는 2023년 13조5381억달러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5년간 연평균 5.4%의 성장을

보산진, '바이오헬스 포커스(BiOHEALTH FOCUS) 2025' 발간

보산진, '바이오헬스 포커스(BiOHEALTH FOCUS) 2025' 발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정책연구센터는 '전문가가 주목한 바이오헬스 포커스(BiOHEALTH FOCUS) 2025'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바이오헬스의 분야별 정책적 화두와 미래 전망을 주제로, 최고의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2025년도 주요 이슈와 이슈별 국내외 산업 동향, 향후 준비해야 할 과제와 정책 방향 등을 조망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분야별 전문가 10인이 꼽은 2025년 주요 화두는 ▲ 지방 바이오헬스 산업과 의사창업(권업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보건의료분야의 환경·사회·투명(ESG)

풍토 바뀐 의료기기 수출…임플란트 뜨고, 체외진단기 지고

풍토 바뀐 의료기기 수출…임플란트 뜨고, 체외진단기 지고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산 의료기기 수출에서 체외진단기기와 임틀란트 간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체외진단기기 회사의 수출액은 코로나19 진단시약과 진단키트 영향으로 한때 7조원에 육박했지만, 최근엔 1조원대로 수직낙하했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한 매출 감소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산 임플란트 제조사들은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로 인한 수혜를 입으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경신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20일 '2024 보건산업 통계집'을 통해 2023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 수출 상위 10개 품목을 공개했다. 체외진단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인기 '시들'…진단시약 신규 허가↓

코로나19 체외진단기기 인기 '시들'…진단시약 신규 허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코로나19 진단시약 신규 제품 허가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한 관련 수요가 급감한 탓으로 풀이된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코로나19 진단시약 국내 정식허가 전체 현황'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신규 진단시약 허가 건수는 6건이었다. 올해 상반기에만 새 진단시약 21개 제품이 식약처 허가를 받은 것과 비교하면, 약 71.4%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코로나19 진단시약 제품 60개가 승인된 것과 비교하면, 감소폭은 90%로 더욱 크다. 현재 식약처로부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