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네옥바이오 지분 투자…이중항체 ADC 개발 본격화

연내 ABL206 및 ABL209 IND 제출 목표
미국 임상 1상부터는 네옥 바이오 자체 진행 예정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29 08:35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100% 자회사인 미국 네옥 바이오(Neok Bio)에 42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네옥 바이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기반으로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 ABL206 및 ABL209의 임상 개발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7월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차세대 ADC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14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해당 자금을 바탕으로 ABL206 및 ABL209 미국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의 연내 제출을 목표로 연구개발에 집중해 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ABL206 및 ABL209의 원활한 임상 개발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전략적 성장 로드맵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목적으로 네옥 바이오를 설립했으며, 대표이사로 마얀크 간디(Mayank Gandhi) 박사를 선임했다. ABL206 및 ABL209의 비임상 연구와 IND 신청까지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진행하며, 이후 임상 1상부터는 네옥 바이오가 전담할 예정이다.

현재 네옥 바이오는 우수한 전문성을 갖춘 미국 임상 전문 기관(CRO)과 협력해 임상 1상 진행을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이중항체 ADC는 기존 단일항체 ADC 대비 뛰어난 안전성과 효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모달리티(Modality)다. 그러나 이중항체 ADC 시장은 아직 승인 받은 약물이 없는 초기 단계다. 네옥 바이오가 임상 진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만큼, 빠르게 이중항체 ADC 개발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며 "ABL206 및 ABL209 외 다른 차세대 ADC 파이프라인에 대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차세대 ADC 시장의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Tovecimig)(VEGF-A x DLL4), ABL202(ROR1 ADC), ABL301(SAR446159)(a-syn x IGF1R), ABL111(Givastomig)(Claudin18.2 x 4-1BB), ABL503(Ragistomig)(PD-L1 x 4-1BB), ABL105(YH32367)(HER2 x 4-1BB), ABL103(B7-H4 x 4-1BB), ABL104(YH32364)(EGFR x 4-1BB) 등 8개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ABL301은 현재 후속 임상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 스폰서를 사노피로 변경 중에 있으며, ABL001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았다. 아이맵(I-Mab)과 공동 개발 중인 ABL111은 2025년 7월 ESMO GI(Gastrointestinal Cancers Congress)에서 니볼루맙(Nivolumab) 및 화학치료제 삼중 병용요법에 대한 고무적인 임상 1b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이 지속 연구 개발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에이비엘바이오, 4-1BB 단일항체 국내 특허 결정

에이비엘바이오, 4-1BB 단일항체 국내 특허 결정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4-1BB 단일항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국내 특허가 특허 결정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2019년 12월 국제 출원된 것으로, 2039년까지 그 권리가 보장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4-1BB 단일항체 특허를 미국, 중국, 일본, 호주에서 등록 완료한 바 있으며, 유럽 특허는 심사가 진행 중이다. 4-1BB는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세포 중 하나인 T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4-1BB 단일항체는 4-1BB 항원과 결합, 4-1BB를 통해 T 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T 세포

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이 미국 캡시다 바이오테라퓨틱스(Capsida Biotherapeutics) 임상 중단 사례로 인해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키움증권은 최근 산업 분석 보고서를 통해 캡시다 임상 중단이 에이비엘바이오 기술에 대한 재평가와 빅파마 관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캡시다는 STXBP1 뇌병증을 앓고 있던 18개월~7세 아동 대상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CAP-002' 1/2상 진행 과정에서 첫 투약 후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위암 환자 1차 치료제로 'ABL111' 개발 가속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위암 환자 1차 치료제로 'ABL111' 개발 가속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 바이오 기업 아이맵(I-Mab)과 공동 개발 중인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의 임상 개발을 가속화한다고 9일 밝혔다. 양사는 2026년 1분기에 현재 진행 중인 ABL111(지바스토믹)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상 용량 확장(Dose Expansion) 파트의 탑라인(Top-line) 데이터를 발표하고, 추가적인 임상 1b상과 후속 임상 2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ABL111(지바스토믹)은 클라우딘18.2(Claudin18.2)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로, 현재

에이비엘바이오, 'ABL301(SAR446159)' 美 임상 1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 'ABL301(SAR446159)' 美 임상 1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SAR446159)'의 건강한 성인 대상 미국 임상 1상에서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22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건강한 성인 91명을 대상으로 ABL301 정맥주사 투여 시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과 약력학적 특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진행했다. ABL301(SAR446159)의 임상 1상은 단일용량증량시험(Single Ascending Dose, SAD)과 다중용량증량시험(Multi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