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 10만명, 위기쉼터는 3곳…서현역 사건에 필요성 부각

위기쉼터 설치·지원 정신건강복지법 법사위 계류
최혜영 "혐오는 고립 부추겨…지역 내 재활·회복 인프라 시급"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3-08-14 12:01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연이은 칼부림 사건에 국민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정신질환·장애인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서현역 흉기난동 사건 피의자가 정신질환 치료를 기피하며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지역 내 정신질환자 재활·회복 인프라 확충을 통한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장애인은 지난해 기준 10만4424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8년 10만2140명에서 2019년 10만2980명, 2020년 10만3525명 등 매년 수백 명가량 늘어나는 추세다.

정신질환·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시설은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정신의료기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 기관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신의료기관의 경우 지난 2018년 1670개에서 지난해 2109개로 5년간 430개소 정도가 늘었다.

반면 정신재활시설의 경우 지난 2018년 348개소에서 지난해 6월 기준 349개소로 5년간 1개소 증가에 그쳤다.

특히 정신장애인이 수시로 방문해 회복하는 위기지원쉼터는 3곳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서울 송파구, 관악구, 금천구 등 서울에만 위치하고 있었다.

서현역 사건 피의자처럼 치료를 기피하는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 안에서 치료·회복할 수 있도록 위기쉼터나 정신재활시성 등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 의원은 지난해 10월 위기지원쉼터 설치·지원 근거를 담은 정신건강복지법을 대표발의했으나 법사위에 계류된 상태다.

최 의원은 "정신질환자라고 모두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며 "정신질환자 혐오는 오히려 치료 기피와 고립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서현역 사건처럼 모든 정신질환자가 병원에만 있을 수는 없고 치료를 기피하는 경우도 있다"며 "위험도가 높아졌을 때 지역에 위기쉼터 등이 있어 쉽게 찾아가 치료·회복·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정신장애인도 지역주민도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