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 '제프티', 美 보건당국 공식 초청 발표

백신 시대 한계 넘어, 치료제 중심 전략 전환 신호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26 15:21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제프티(Xafty)가 미국 보건당국 산하 기관의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RRPV(Rapid Response Partnership Vehicle) 연례회의 공식 초청을 받아 무대에 오르게 됐다. 26~2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RRPV 연례회의에서 제프티의 임상결과와 개발전략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행사 참여가 아니라, 미국 보건당국 산하 공인 협력체(RRPV)의 공식 초청을 통해 발표 기회를 부여받은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사례라는 점에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로, RRPV는 팬데믹 등 보건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보건당국 후원으로 기술발표·프로젝트 매칭·조기 검토의 장을 제공하는 파트너십이다.

앞서 지난 5일,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산하 연구기관을 통해 mRNA 기반 차세대 백신 프로젝트 22건을 취소 또는 축소(descoping)한다고 발표했다. 규모는 약 5억달러에 달한다. HHS는 이 같은 결정이 mRNA 기술이 COVID-19나 인플루엔자 등 상기도 감염 예방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데이터에 근거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차세대 백신 전략에 공백이 발생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백신 전략의 공백 속에서, 미국 보건당국은 세계 최초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제프티를 공식 초청해 발표 기회를 부여했다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치료제 중심 전략'으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제프티는 특정 바이러스만을 겨냥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광범위 억제 기전을 통해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이다. 이번 초청 발표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이 미국 보건당국의 공식 무대에 오르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배병준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이번 초청 발표는 제프티가 단순한 임상 성과를 넘어, 글로벌 보건안보 전략 자산의 잠재적 후보군으로 미국 보건당국의 공식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며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앞으로 국제 보건안보 체계와의 협력을 강화해 팬데믹 대응 전략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타겟 페니트리움 병용 췌장암 임상 실시"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타겟 페니트리움 병용 췌장암 임상 실시"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는 모회사 씨앤팜과 합의해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Penetrium)의 췌장암 적응증 특허 전용실시권을 확보하고, 페니트리움과 젬시타빈 병용 췌장암 임상시험을 신청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페니트리움의 췌장암 적응증 특허 전용실시권은 현대바이오의 신속한 임상 착수와 조기 상업화를 위해 모회사 씨앤팜이 무상으로 부여한 것으로, 현대바이오의 핵심 자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현대바이오는 페니트리움과 폴리탁셀(Polytaxel) 모두에 대해 췌장암 전용실시권을 보유하게 됐다. 페니트리움

현대바이오, 췌장암 실험결과…"'치료 지속성·전이 억제' 동시 달성"

현대바이오, 췌장암 실험결과…"'치료 지속성·전이 억제' 동시 달성"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는 '췌장암 동물 모델 페니트리움(Penetrium) 병용 실험' 결과, 표준 화학항암제 젬시타빈(Gemcitabine)의 절반 용량만 투여해도 동일한 항암 효과를 유지하면서 전이 억제 효과까지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환자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 실험에서 확인된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제거 기전을 췌장암 동물실험에서 재확인한 것이다. 췌장암 동물실험에서 젬시타빈 50mg/kg 단독 투여군의 20일째 종양 성장 억제율(Tumor Growth Inhibit

국제 학술지에 현대바이오 '제프티' 임상 결과 분석한 논문 등재

국제 학술지에 현대바이오 '제프티' 임상 결과 분석한 논문 등재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는 지난 1일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최준용 교수 등이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제프티(Xafty)의 긴급사용승인을 위한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한 논문 '경증에서 중등증 COVID-19 환자 치료를 위한 니클로사마이드 나노하이브리드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niclosamide nanohybrid for th

현대바이오, 코로나19 치료제 글로벌 임상 2/3상 착수

현대바이오, 코로나19 치료제 글로벌 임상 2/3상 착수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는 '제프티'(Xafty)의 코로나19 글로벌 2/3상 통합 임상시험을 태국과 싱가폴 등 동남아 주요국에서 착수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중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전역에서 다시 코로나19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시아 지역의 코로나19 재확산은 곧 전 세계 재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기존의 백신 중심의 방역은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과 면역력 감소로 인해 코로나19 재유행 차단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감염 이후 치료가 가능한 경구용 치료제 중심

현대바이오, 세계 최초 경구용 '범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 세계 최초 경구용 '범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는 자사가 개발 중인 광범위 경구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CP-COV03(개발명 제프티)'에 대해 베트남 보건당국으로부터 임상 2/3상 복합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뎅기열, 지카 등 모기매개 바이러스뿐 아니라 코로나19, 인플루엔자A에 이르기까지 병리기전이 상이한 감염병을 하나의 약물로 동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계 최초의 사례다. 전 세계적으로 치료제가 없는 감염질환이 급증하는 가운데, 단일 약물이 다질환에 대응하는 임상 설계가 공식 승인된 것은 의학계와 제약업계 모두에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