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세브란스, 디지털트윈 기반 방사선 사고 대응훈련 실시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 실시간으로 재현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9-05 13:49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을 끝으로 마무리했다.

황태식 재난대응위원장(응급의학과 교수)은 "이번 훈련은 국내 의료기관 최초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해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을 실현한 사례로, 실질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방사선 업무 종사자를 비롯한 교직원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모의훈련 솔루션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가상환자·가상병원 기반 의료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사업(연구책임자 박진영 디지털의료산업센터 소장)'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