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빠른뉴스
식약처,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함유 건기식 회수 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간기능 관련한 이상사례 2건이 발생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건강기능식품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당 제품을 회수 조치하고,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의 '섭취시 주의사항'(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에 '드물게 간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섭취 기간 중 알코올 섭취를 피해야 한다'는 소비자 안내 사항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같은 날 정부 자료에 따르면, 회수 대상 제품은 네추럴웨이가 제조하고 대웅제약이 유통한 '가르시니아'다. 해당 제품 소비기한은 2027년
서울시醫, 국회 방문‥검체 수탁·성분명 처방 등 집중 논의
서울시의사회가 성분명 처방과 검체 수탁 문제 등 의료계 주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서울특별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지난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더불어민주당)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황규석 회장과 박주민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검체 수탁 제도, 성분명 처방, 의료법 개정안 등 1차 의료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현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먼저 황 회장은 검체 수탁 문제를 언급하며 "낮은 수가로 인해 1차 의료기관이 심각한 경영 압박을 받고 있다"며 "향후 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 운영과 함께 2023년도
서울대병원, 무릎 관절염 조기 진단하는 새 MRI 지표 확인
무릎 관절염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지표가 확인됐다. 엑스레이에서 정상으로 진단된 무릎이라도, MRI에서 '중앙 대퇴골 연골 손상' 소견이 관찰된다면 무릎 관절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팀이 규명했다. 또한 MRI로 '내측 반월상 연골 돌출'이 관찰되면 관절염이 심각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정형외과 노두현·한혁수 교수, 동국대일산병원 이도원 교수팀이 미국 장기 관절염 코호트(MOST)에 등록된 50세 이상 무릎 관절염 환자 1140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
유전성 난청 치료용 유전자 가위 전달 플랫폼 개발
유전자 편집으로 유전성 난청을 치료할 수 있는 플랫폼이 나왔다. 연세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정진세 교수, 노병화 박사,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 라무 고팔라빠(Ramu Gopalappa) 박사 연구팀이 기존 운반체에 비해 효과를 23.5배 향상시킨 유전성 난청 치료
-
야외활동 좋은 초가을 뜨거운 햇빛, 백반증 위험 높인다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초가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피부 질환도 늘어나고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질병이 바로 '백반증'이다. 백반증은 피부에 멜라닌세포가 사라지면서 하얀 반점이 생기는 질환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관상 문제로 심리적·사회적 고
-
지방간 있는 20·30대, 50세 이전 '젊은 암' 발병 위험 높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석송 교수, 교신저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은 20·30대 지방간질환 환자의 50세 이전 조기 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20% 가량 높아 이들을 새로운
-
고신대병원 김성은 교수, 경구 내시경 근절개술 라이브 시술
고신대학교복음병원(병원장 최종순)은 소화기내과 김성은 교수(건강증진센터장)가 최근 'POEM(경구 내시경 근절개술, Peroral Endoscopic Myotomy)' 라이브 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이브 시술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 주관한 국제학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