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공시 책갈피] 10월 2주차 - 파마리서치·이수앱지스 外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3-10-14 06:04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3년 10월 2주차(10.9~10.13)에는 파마리서치에 대한 국민연금공단 투자가 돋보인다. 국민연금공단은 파마리서치를 일반투자대상으로 전환한 데 이어 꾸준히 주식을 사들이면서 처음으로 지분율 10% 이상 주요주주가 됐다.

이수앱지스가 8번째 전환사채권 발행을 결정했다. 내년 1월 예상되는 7차 전환사채 조기청구를 대비하기 위한 것인데, 7차에서 사모였던 것과 달리 8차는 공모로 진행된다. 전환가액이 더 낮아지면서 전환사채권 발행에 대한 부담은 더 커진 상태다. 공모 기한은 12월 중순까지다. 더욱이 사채 부담 중 일부는 최대주주인 이수화학에게까지 넘어갔다. 이수화학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100억원을 이수앱지스에 조달키로 했다.

화일약품도 같은 기간 유상증자와 전환사채권 발행을 결정했다. 다만 두 자금조달은 특정 주주(기업)에게 비교적 신주 발행을 몰아주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화일약품은 조달된 자금을 운영자금과 타법인 증권취득에 활용한다.

이를 포함한 주요 공시는 아래와 같다. 이 시기 실적(잠정포함) 공시는 제외한다.

- 국민연금공단, 파마리서치 주식 확대 행보…지분율 10% 첫 초과
- 이수앱지스, 8번째 전환사채 결정…채무상환 위해 유상증자까지
- 화일약품, 유상증자·전환사채권발행 결정…씨지인바이츠 집중
- 신풍제약, 골관절염 주사제 3상 결과 발표…허가 눈앞
- 일양약품, 소화성궤양 예방약 '일라프라졸' 국내 3상 신청
- 유바이오로직스, RSV 백신 국내 1상 승인 신청
- 국민연금공단, 제약·바이오 주식 취득·처분 활발
- 메디톡스, 현금배당 결정
- 휴메딕스, 기업설명회 개최
 

◆ 국민연금공단, 파마리서치 주식 확대 행보…지분율 10% 첫 초과

국민연금공단은 11일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를 통해 지난 6일 파마리서치에 대한 지분율이 10.01%임을 보고했다.

지난 수년 새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파마리서치 주식 지분율이 10% 이상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연금공단이 파마리서치 주식 보유현황을 보고한 것은 5% 이상을 넘기게 된 2021년 8월 이후부터다.

이후 파마리서치 주식을 꾸준히 확보해 올해 9월에는 지분율 9.5% 수준에 도달했다.

특히 도중인 지난 5월에는 주식 보유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하기도 했다.

국민연금공단이 주식 보유목적을 일반투자로 설정한 제약·바이오 업체는 극히 드문 편이다.
 

◆ 이수앱지스, 600억원 유상증자·전환사채 결정…채무상환 투입

이수앱지스가 13일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해 100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제3자는 최대주주인 이수화학이며, 신주 발행가액은 7000원, 발행되는 신주는 143만주다.

조달되는 자금 100억원은 채무상환자금에 활용된다. 이수앱지스는 제7회 사모 전환사채에 대한 조기상환청구 기한(2024년 1월 2일)이 도래해 이에 대비하기 위한 대금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납입일은 오는 23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11월 2일이다.

이수앱지스는 같은 날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해 500억원 규모 제8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공모 전환사채권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조달되는 500억원은 모두 제7회 전환사채 채무상환자금에 활용될 예정이다.

예정 전환가액은 7000원,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은 714만주다. 이는 주식총수 대비 21.53%를 차지한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1월 22일부터 2026년 11월 22일까지다.

사채발행방법은 공모, 대표주관회사는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이다. 청약일은 12월 19일, 납입일은 12월 22일, 납입방법은 현금이다.

제7회 사모 전환사채 차입금은 800억원이다. 이번 유상증자와 전환사채권 발행으로 확보되는 자금은 600억원이며, 이를 모두 채무상환에 활용하더라도 200억원이 남는 상황이다.

제7회 사모 전환사채는 전환가액이 1만1350원으로 전환가능 주식 수가 495만주였으나, 제8회 공모 전환사채에서는 예정 전환가액이 낮아져 전환가능 주식 수가 700만주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주식 발행 시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됐다.
 

◆ 화일약품, 유상증자·전환사채권발행 결정…씨지인바이츠 집중

화일약품은 12일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해 180억원 규모 제3자 배정증자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제3자는 씨지인바이츠, 금호에이치티, 오성첨단소재다. 금호에이치티는 최대주주, 씨지인바이츠는 주주, 오성첨단소재는 최대주주 특수관계인이다.

신주 발행가액은 1871원, 발행되는 신주는 962만주다.

발행되는 신주 중 씨지인바이츠에는 428만주, 금호에이치티와 오성첨단소재에는 각각 267만주가 배정된다.

조달되는 자금 180억원 중 50억원은 운영자금, 130억원은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납입일은 오는 20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11월 8일이다.

화일약품은 같은 날 '주요사항보고서'를 통해 80억원 규모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발행 대상자는 씨지인바이츠다.

사채 만기일은 2026년 10월 20일이다. 전환가액은 2084원,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 수는 384만주다. 이는 주식총수 대비 5.77%다.

전환사채권 발행을 통해 확보된 자금 80억원은 내년 중 운영자금에 활용될 예정이다.

씨지인바이츠는 유상증자와 전환사채권 발행에 참여하면서 향후 화일약품 주식을 최대 800만주 이상 보유할 수 있게 됐다.
 

◆ 신풍제약, 골관절염 주사제 3상 결과 발표…허가 눈앞

신풍제약은 13일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을 통해 골관절염 주사제 'SP5M001' 3상 결과를 공시했다.

해당 임상은 경증 및 중등증의 슬 골관절염 환자 223명을 대상으로 SP5M001주와 시노비안주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활성대조, 비열등성, 제3상이다.

시험대상자는 무릎 관절강 내 주사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총 2회 (초기 1회 투여 후 24주 시점에 1회 재투여) 투여받았으며, 총 36주 임상시험기간 동안 2주, 6주, 12주, 36주 시점에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가 실시됐다.

해당 임상은 2021년 3월 승인돼 지난해 10월까지 진행됐으며, 강동경희대병원 등 총 14개 국내 의료기관에서 실시됐다.

임상 결과,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기저치 대비 1차 투여 후 12주 시점 체중부하 통증으로 측정한 변화량이며, 이에 대해 비열등성이 입증됐다. 이상반응에서도 통계적으로 두 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풍제약은 기대효과에 대해 '해당 제품은 무균원료를 이용한 사후 멸균 실온 보관 제품으로, 생체 내에서도 미변형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한 3회 및 5회 요법제 대비 골관절에서 오래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골관절염 1회 요법제의 개발로 환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신풍제약은 향후 품목 허가를 위한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 일양약품, 소화성궤양 예방약 '일라프라졸' 국내 3상 신청

일양약품은 12일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일라프라졸(Ilaprazole)' 국내 3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일라프라졸 적응증은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 투여와 관련된 소화성궤양의 예방이다.

이번에 신청된 임상은 NSAIDs 투여와 관련된 소화성궤양 예방에 대한 일라프라졸 10mg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기관, 이중 눈가림, 무작위배정, 평행, 활성대조, 제3상이다.

임상 참여자는 약 416명, 실시기간은 2024년 5월부터 2026년 5월까지 2년이다.

일양약품은 해당 임상 기대효과에 대해 '일라프라졸(Ilaprazole)에 대한 복합체적 추가적응증을 확보해 소염진통제 시장 매출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 유바이오로직스, RSV 백신 국내 1상 승인 신청

유바이오로직스는 10일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 백신 'EuRSV' 국내 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임상시험은 만 19세 이상 80세 이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RSV 예방 백신 안전성, 내약성 및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관찰자 눈가림, 위약 대조, 용량/제형 탐색, 평행, 단일기관, 최초 사람 대상 제1상이다.

목표 시험대상자 수는 약 100명이다. 임상 대상자는 2회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접종 받고, 임상시험용 의약품 첫 접종 후 52주까지 면역원성 및 안전성에 대해서 평가받게 된다.

임상시험실시기관은 정해지지 않았다. 임상시험기간은 IRB 승인일로부터 18개월이다.
 

◆ 국민연금공단, 제약·바이오 주식 취득·처분 활발

국민연금공단은 10일과 11일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를 통해 다수 제약사 주식에 대한 주식 소유 상황을 공시했다.

유한양행에 대해선 9월 27일 기준 보유 주식 수 871만주, 지분율 11.19%를 기록했다. 지분율은 6월 30일 기준 직전 보고서 10.27% 대비 0.92% 증가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에 대해선 9월 27일 기준 보유 주식 수 66만주, 지분율 10.41%를 기록했다. 지분율은 6월 30일 기준 직전 보고서 11.12% 대비 0.71% 감소했다.

한미약품에 대해선 9월 27일 기준 보유 주식 수 131만주, 지분율 10.41%를 기록했다. 지분율은 9월 15일 기준 직전 보고서 10.04% 대비 0.37% 증가했다.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해선 10월 6일 기준 보유 주식 수 523만주, 지분율 10.01%를 기록했다. 지분율은 직전인 지난달 25일에 공시된 9월 22일 기준 보고서 9.95% 대비 0.06% 증가했다.
 

◆ 메디톡스, 현금배당 결정

메디톡스는 11일 '현금·현물배당 결정'을 통해 보통주 1주당 1100원, 상환전환우선주 1주당 평균 2315원을 배당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보통주 시기배당률은 0.4%다.

배당금 총액은 보통주 74억원, 종류주 10억원 등 84억원이다. 배당기준일은 9월 30일, 배당금지급 예정일은 10월 25일이다.
 

◆ 휴메딕스, 기업설명회 개최

휴메딕스는 13일 '기업설명회 개최'를 통해 오는 16일부터 17일까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NDR 및 컨퍼런스콜 방식 기업설명회를 연다고 공시했다. 이를 통해 회사동향, 주요경영현황을 설명할 예정이다. IR 자료는 당일 현장배포 및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에 게시한다.

관련기사보기

[제약공시 책갈피] 10월 1주차 - 대원제약·삼성바이오로직스 外

[제약공시 책갈피] 10월 1주차 - 대원제약·삼성바이오로직스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3년 10월 1주차(10.4~10.6)에는 대체공휴일 등 영향으로 영업일 수가 3일이다. 대원제약이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업체 에스디생명공학 최종 인수자로 선정됐다. 인수대금은 650억원이며, 향후 사모펀드 출자를 통해 인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올해 최소 3조6000억원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4공장 가동률이 상승한 것에 따른다. 대웅이 대웅제약 주가 부양에 나선 후 주식 장내매수 자금으로 누적 90억원을 사용했다. 약속

[제약공시 책갈피] 9월 4주차 - CMG제약·JW중외제약·한독 外

[제약공시 책갈피] 9월 4주차 - CMG제약·JW중외제약·한독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3년 9월 4주차(9.25~9.27)에는 추석연휴 영향으로 영업일 수가 3일이다. CMG제약이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시흥공장을 매입키로 결정했다. 취득비용은 공모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취득 예정일자는 1월 31일이다. JW중외제약이 통풍 치료제 싱가포르 3상을 승인받는 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국내를 비롯해 대만, 싱가포르 등 3개국에서 임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한독이 담도암 치료제 2상 임상시험계획을 변경하고 다시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했다. 식약처 의견에 따라 '탐색적 임상시험'을 문서

[제약공시 책갈피] 9월 3주차 - GC녹십자·SK케미칼 外

[제약공시 책갈피] 9월 3주차 - GC녹십자·SK케미칼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3년 9월 3주차(9.18~9.22)에는 GC녹십자가 비공개된 제약사와 2000억원대 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GC녹십자가 이같은 규모로 공급계약 체결 사항을 공시한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앞서 체결한 브라질 혈액제제 완제품 수출 공급계약 규모는 1194억원이었다. SK케미칼이 제약 사업부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는 현재 구체적인 조건에 대한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1개월 이내에 재공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3213억원 규모 CMO 계약 체결에 성공

[제약공시 책갈피] 9월 2주차 - 신일제약·대웅·대원제약 外

[제약공시 책갈피] 9월 2주차 - 신일제약·대웅·대원제약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3년 9월 2주차(9.11~9.15)에는 제약업계 주요 공시가 비교적 적었다. 신일제약이 최대주주 변경으로 온전한 경영승계를 이루면서 2세 시대에 접어들었다. 창립자 홍성소 회장은 지분 상당수를 홍재현 사장에게 증여하면서 최대주주 자리를 내줬다. 홍재현 사장은 최근 4년간 대표이사로 경영을 이끌어온 데 이어 최대주주 지위까지 확보하면서 온전한 오너가 됐다. 대웅이 대웅제약 주식 장내매수를 선언한 후 8월부터 30영업일 동안 한 차례 예외 없이 장내매수를 지속했다. 현재까지 투입된 자금은 한도 1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