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만료 앞둔 '자디앙듀오' 제네릭 허가↑…미등재 특허 변수

이달 들어 31개 제네릭 허가…전체 허가 품목 中 60.78%
2021년 첫 번째 제네릭 허가…최근까지 제네릭 허가 지속
자디앙듀오 처방실적, 제네릭 허가 이어지는 이유 설명
미등재 특허, 제네릭 출시 여부에 영향 미칠 수 있어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7-10 05:55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오리지널 특허만료를 앞두고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듀오' 제네릭으로 허가받은 품목이 늘고 있다. 제약업계에선 미등재 특허를 제네릭 출시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보고 있다.

9일 '엠파글로플로진'과 '메트포르민'을 주성분으로 만든 전문의약품 18개 품목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품목은 베링거인겔하임이 특허를 보유한 '자디앙듀오(엠파글리플로진, 메트포르민)' 제네릭이다.

이달 들어 자디앙듀오 제네릭으로 식약처 허가 심사를 통과한 품목은 31개다. 비율로 나타내면,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식약처 허가 목록에 오른 51개 품목 가운데 60.78%가 자디앙듀오 제네릭이다.

31개 품목은 제형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일동제약 등 4개 업체가 자디앙듀오와 동일한 제형으로 허가받은 15개 품목과 GC녹십자, 동아에스티, 동국제약 등 4개 업체가 오리지널에 존재하지 않는 서방형 제제로 허가 심사를 통과한 16개 품목이다.

이번에 31개 품목이 늘면서, 자디앙듀오 제네릭은 9일 기준 255개로 증가했다. 2021년 종근당이 자디앙듀오 첫 번째 제네릭 '엠파맥스엠정'을 허가받은 데 이어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허가 품목이 늘고 있다.

자디앙듀오 결정형 특허를 회피한 업체는 올해 10월로 다가온 물질 특허 만료를 기다리고 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디앙듀오 처방실적은 400억원 수준이며 올해 1분기엔 처방실적이 1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네릭 출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는 미등재 특허다. 오리지널을 개발한 베링거인겔하임은 특허청에 등록했으나 식약처 특허 목록에 등재하지 않은 특허를 보유 중이다.

미등재 특허는 식약처 허가와 관련 없으나, 제네릭 개발 업체가 해당 품목을 출시하는 경우에 특허 침해 여부를 다투게 하는 요인이다. 오리지널 개발 업체는 제네릭 출시를 늦추기 위해 전략적으로 특허를 식약처에 등재하지 않을 때가 있다.

제약업계에선 자디앙듀오 제네릭을 허가받은 기업이 제네릭 출시를 강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른 제품과 마찬가지로 미등재 특허를 회피하거나 무효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어서다.

관련기사보기

당뇨·심·신 통합 관리 10년 자디앙…주요 연구 성과는?

당뇨·심·신 통합 관리 10년 자디앙…주요 연구 성과는?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은 자사 SGLT2억제제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의 EMPA-REG OUTCOME 연구 발표 10주년을 기념해 지난 10년간의 연구 성과를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17일 공개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이번 인포그래픽에 자디앙이 당뇨병-심장-신장 영역에서 수행한 임상 연구의 주요 성과와 치료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인포그래픽에서는 EMPA-REG OUTCOME을 비롯해 2형당뇨병을 넘어 만성심부전과 만성콩팥병 적응증 확대를 이끈 주요 랜드마크 임상 연구를 중심으로

유한양행, 당뇨병약 '트라젠타-자디앙' 시장 판도에 희비

유한양행, 당뇨병약 '트라젠타-자디앙' 시장 판도에 희비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유한양행이 판매 중인 당뇨병 치료제 '트라젠타'와 '자디앙'에 대한 희비가 엇갈린다. 트라젠타는 특허 만료에 따라 제네릭 판매가 본격화되고 있는 반면, 자디앙은 경쟁 약물인 '포시가'가 국내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하면서 추가적인 매출을 노릴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이대로라면 현재 트라젠타 매출이 앞서고 있지만 하반기에는 자디앙 매출이 트라젠타를 역전할 수도 있을 전망이다. 20일 유한양행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기준으로 DPP-4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 트라젠타의 매출은 253억원을 기록했다

베링거인겔하임, 자디앙 효자 노릇 톡톡…연매출 30.6조 달성

베링거인겔하임, 자디앙 효자 노릇 톡톡…연매출 30.6조 달성

베링거인겔하임은 2023년 실적 발표를 통해 인체의약품 사업부에서 지난해 연간 순매출 208억 유로(약 30조6000억원) 올렸다고 밝혔다. 제2형 당뇨병 및 심부전 치료제인 자디앙의 선전 덕분이다. 지난해 자디앙 매출은 전년 대비 31% 신장한 74억 유로를 기록하며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발성폐섬유화증(IPF)와 특정 진행성 섬유성 간질성폐질환(PF-ILD) 치료제인 오페브®(OFEV®)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8% 성장한 35억 유로를 기록했다. 또한 자디앙®은 유럽과 미국에서 만성신장질환으로 세

확대되는 당뇨병 치료제 경쟁…자디앙 '미등재특허'에 도전장

확대되는 당뇨병 치료제 경쟁…자디앙 '미등재특허'에 도전장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베링거인겔하임의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의 제네릭 출시에 도전하는 제약사들이 바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종근당과 제뉴원사이언스는 자디앙에 적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치료 방법 및 이의 용도' 특허(2034년 4월 16일 만료)에 대해 무효심판을 청구했다. 이어 이달 12일에는 한국프라임제약이, 13일에는 보령이 심판을 청구하며 대열에 합류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특허목록에 등재된 자디앙의 특허는 '글루코피라노실-치환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