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관련 용어, 인식에 따라 심리적 영향 달라져

가천대 길병원 김경교 교수 연구팀, 의료진·비만인 대사 연구 결과 발표
진료 현장 언어 변화…치료 효과에 긍정적 영향 기대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7-10 15:46

비만을 지칭하는 용어들 중 '건강체중 초과'와 비만인을 지칭하는 용어 중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이 비만 여성들과 의료진에서 선호도가 높은 용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김경곤,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현 연구팀은 우리 사회에서 비만인들이 겪는 심리적 상처가 '비만 관련 용어'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로, 의료 현장에서 환자 중심의 언어 사용이 왜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운 사례로 평가된다.

김경곤 교수는 "비만은 우리 몸에 내재된 체중 조절 중추와 갑작스럽게 변한 생활환경 사이의 불일치 때문에 발생한 질병"이라며 "비만을 비만인 개인의 책임으로 바라보는 견해는 비만인에 대한 편견이며 그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영어권에서는 사회의 편견이나 낙인을 줄이기 위한 비만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가 이미 많이 진행된 바 있다. 

비만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람 중심 용어, 사람 우선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시행되지 않아서 영어권의 용어를 차용해서 쓰는 것이 타당한지조차 알 수 없는 상태였다.

비만대사연구학회(SOMS) 소속으로 연구를 수행한 김경곤 교수(제1저자)와 강지현 교수(교신저자)는 전국 10개 병원에서 모집한 체질량지수(BMI) 30kg/m² 이상 성인 비만 여성 321명과 '하이닥' 소속 의사 회원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비만'을 지칭하는 9개의 질병 관련 용어와 '비만인'을 지칭하는 14개의 환자 관련 용어에 대해 표현의 주관적 인식도와 적절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비만병'과 '비만병환자'라는 용어는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건강체중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과 같은 표현은 낙인감을 줄여주는 긍정적인 용어로 평가됐다.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된 용어를 선택한 이유로 '일반적이며 무난한 건강 관련 용어', '체중 및 건강 상태 개선 가능성을 강조하는 표현', '부정적인 뉘앙스를 최소화한 표현'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반면 '비만병'이라는 표현은 '병으로 낙인찍히는 느낌이 불쾌하다'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했다.

또한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긍정적 용어로 선택한 이유로 응답한 비율은 비만 여성이 69.5%로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의료진은 12.3%에 그쳤다. 반대로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선호한 비율은 의료진이 48%로 높았고, 비만 여성은 7%에 불과했다.

김경곤 교수는 "진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비만 관련 용어를 바꿔도 환자들에게 불필요한 낙인을 덜어주고 치료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며 "한국어에서 비만에 대한 다양한 용어에 대해 객관적 설문을 통해 각 용어의 적절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비만관련용어의 인식 차이를 확인한 것으로 비만대사연구학회지 최근 호에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비만 낙인 완화를 위한 언어적 접근'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