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현금성 자산' 반년 간 2.6%↓…삼성바이오 최다

GC녹십자 273% 증가…보령·대웅제약도 뚜렷한 확대 흐름
셀트리온·SK바사·종근당 등은 현금자산 감소해
유한양행 전통 제약사 중 1위…파미셀·영진약품 2배 이상 확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23 05:58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현금성 자산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현금성 자산이 전기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보유 규모는 줄었지만, 기업별 자금 운용 전략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일하게 1조6000억원대를 돌파하며 업계 최다 보유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22일 메디파나뉴스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92개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현금성 자산 총합은 8조8522억원으로 지난해 말 9조866억원 대비 2343억원(2.5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92곳 중 39곳은 전기 대비 증가, 53곳은 감소했다.

이번 분석에서 메디파나뉴스가 집계한 현금성 자산 범위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비롯해 '단기 금융상품', '단기 투자자산', '유동성 매도 가능 증권', '만기 보유 금융자산' 등 여러 유동자산을 포함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반기 1조6163억원을 기록하며 현금성 자산 '최다 보유' 타이틀을 유지했다. 전기 대비 3177억원(24.5%) 증가한 수치로, 전체 조사 기업 중 절대 금액 기준으로도 증가폭이 가장 컸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3912억원에서 7095억원으로 확대된 것이 주요 요인이며, 단기 금융상품은 9074억원에서 9068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이러한 현금 보유 확대는 CDMO(위탁개발생산) 수주 증가와 자체 사업에서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1조968억원을 보유했으나, 전기 대비 613억원 감소(-5.3%)하며 감소 흐름에 속했다. 셀트리온은 현금성 자산 8287억원으로 전기 대비 3144억원 줄어 전체 기업 중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단기 금융상품과 현금 보유 모두 감소한 영향이 컸다.

이 밖에 SK바이오팜(-31.4%), 종근당(-25.8%), 동아에스티(-40.1%), 한미약품(-29.7%) 등 전통의 상위 제약사 다수가 현금성 자산을 줄이며 하락세를 나타냈다.

GC녹십자는 상반기 기준 842억원으로 전기(226억원) 대비 273.1%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보령은 1918억원에서 2392억원으로 474억원 늘며 24.7%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해 11월 약 1750억원 규모로 진행한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자금이 상반기까지 일부 잔존하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대웅제약은 1080억원에서 1642억원으로 52.0%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셀트리온제약은 696억원에서 1028억원으로 47.7%, 동국제약은 908억원에서 1097억원으로 20.7%, 광동제약은 1655억원에서 1946억원으로 17.6% 증가했다.

중견·중소 제약바이오 기업 중에서는 파미셀(83억원→290억원, +250.8%), 영진약품(34억원→110억원, +219.9%), 안국약품(181억원→393억원, +116.9%),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123억원→257억원, +109.1%)가 2배 이상 확대되며 뚜렷한 유동성 확보 흐름을 보였다.

전통 제약사 중에서는 유한양행이 전기 대비 7.9% 증가한 3567억원으로 가장 많은 현금성 자산을 보유했다. 종근당은 3010억원에서 2234억원으로 감소했지만 상위권을 유지했고, 한미약품은 1924억원에서 1353억원으로 571억원 감소했다.

국전약품은 468억원에서 84억원으로 82.0% 급감했으며, 동구바이오제약(-76.6%), 진양제약(-79.1%), 현대약품(-54.6%), 삼성제약(-41.4%) 등도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관련기사보기

92개 제약·바이오, R&D 비율 9%대 유지…투자금액 8.9% ↑

92개 제약·바이오, R&D 비율 9%대 유지…투자금액 8.9% ↑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⑦연구개발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을 9%대 중반 수준에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매출 성장세가 연구개발비 증가 속도를 앞서면서 R&D 비율은 소폭 하락했다. 21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를 집계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구개발비율은 9.45%로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50% 육박…재무 건전성 변화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50% 육박…재무 건전성 변화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이 50%에 가까워졌다. 자본 합계가 증가했으나 부채 합계가 더 큰 폭으로 늘어서다. 91곳 중에서 50곳은 부채비율이 상승했고, 재무 건전성 변화가 큰 업체가 눈길을 끌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은 지난 6월 말 기준 49.01%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46.32%

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현금흐름 2.3조…삼성바이오 '원톱'

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현금흐름 2.3조…삼성바이오 '원톱'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영업활동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2곳 중 66곳이 영업활동을 통해 순현금 유입을 기록하며, 전체의 약 72%가 본업 중심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도 유출이었던 16개 기업이 유입 전환에 성공하면서 업계 전반의 재무 회복세가 감지됐다. 반면, 일부 기업은 유입에서 유출로 돌아서며 명암이 엇갈렸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판매관리비율(판관비율)이 전년 대비 낮아졌다. 전체 매출 증가율이 판관비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비용 효율이 개선된 것이다. 다만 기업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반반으로 갈리며, 구조적 차이는 뚜렷한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을 분석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매출원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하며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업 절반 이상은 여전히 매출 절반 이상을 원가로 지출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매출보다 원가가 더 큰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등 업계 내 양극화가 나타났다. 18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