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바티스, '키스칼리' 9월 초 급여 신청…접근성 강화 박차

선택지 늘어난 HR+/HER2- 조기 유방암, 치료 접근성이 관건
NATALEE 연구 결과, 림프절 전이 유무 관계없이 재발 위험 낮춰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8-28 11:54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한국노바티스가 자사 CDK4/6 억제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에 도전한다. 키스칼리가 최근 HR+/HER2- 조기 유방암으로까지 국내 적응증을 확장하면서다.

28일 한국노바티스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9월 초쯤 (키스칼리의) 보험급여 신청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조기유방암 치료의 급여 등재 절차에서 요구되는 관련 검토 자료를 면밀히 준비 중이다.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가능한 신속하게 급여 검토 절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키스칼리는 지난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 위험이 높은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eBC, 암이 겨드랑이 근처 림프절에서만 발견, 전이되지 않은 상태) 환자에서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병용하는 보조요법으로 새로운 적응증을 승인받았다.

국내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들로선 치료 옵션이 하나 더 추가됐다. 

조기 유방암 적응증을 가진 CDK4/6 억제제는 키스칼리 보다 먼저 허가를 받은 한국릴리 '버제니오(아베마시클립)'를 포함해 총 2품목이다. 하지만 버제니오는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암질심)에서 세 번 도전했음에도 모두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업계에서는 HR+/HER2- 조기 유방암에서 치료 옵션이 추가된 만큼, 키스칼리와 버제니오가 함께 급여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약제들이 보험 급여 확대를 노리는 까닭은 치료 예후에 있다. 관련 환자들은 기존 치료를 유지하더라도 여전히 재발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HR+/HER2- 조기 유방암 단계에서 암이 재발하면 원격 전이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환자에겐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이에 전문의들은 재발 시 치료 예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암 생존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암의 진행을 막으려면 조기 유방암 단계에서 적극 개입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연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키스칼리는 NATALEE 연구를 통해 림프절 전이 유무와 관계없이 광범위한 환자군에서 재발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며 "저용량 설계를 통한 우수한 내약성까지 함께 확인한 것은 임상 현장에서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말했다.

키스칼리의 HR+/HER2- 조기 유방암 적응증 확대의 근거가 된 글로벌 3상 임상시험 NATALEE 연구 결과에 따르면, 1차 평가변수인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은 4년 시점에서 키스칼리 병용요법이 88.5%로 내분비요법 단독군인 83.6% 보다 4.9%p 높았다. 

이에 앞선 3년 시점에서는 각각 90.8%, 88.1%로 2.7%p 차이를 보여, 시간 경과에 따라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키스칼리 병용요법군의 침습적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은 내분비요법 단독군보다 28.5%(HR=0.715, 95% CI 0.609-0.840, P<0.0001) 감소했으며, 림프절 전이 여부와 관계없이 일관된 효과가 관찰됐다.
 

관련기사보기

키스칼리 적응증 확대…재발 위험 높은 조기 유방암 보조요법

키스칼리 적응증 확대…재발 위험 높은 조기 유방암 보조요법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22일자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CDK 4/6 억제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가 재발 위험이 높은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eBC) 환자의 보조요법에 대한 새로운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키스칼리는 기존의 진행성 및 전이성 유방암에 이어, 조기 유방암 치료 영역까지 적응증을 확장하며 치료 옵션의 폭을 넓히게 됐다. 재발 위험이 높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hormone receptor,

HR+/HER2- 유방암 치료서 키스칼리 사망 위험 31% 감소

HR+/HER2- 유방암 치료서 키스칼리 사망 위험 31% 감소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진행성∙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가 MONALEESA-2,3,7 임상 연구의 통합 분석 결과, 고령의 HR+/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도 전체생존기간과 무진행생존기간을 연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는 지난 12월 5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 미국 샌안토니오 유방암 학술대회(SABCS 2023,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에서 발표됐다. 키스칼리는 이번 발표된 통합 분석 결과를 통해 고령의 환자에서도 이전 연구

재발 위험 감소 '키스칼리'‥조기 유방암 치료서 영향력 더욱 확대

재발 위험 감소 '키스칼리'‥조기 유방암 치료서 영향력 더욱 확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진행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가 조기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암 재발 위험을 감소시켰다. 14일 현지시간 노바티스는 유럽종양학회(ESMO) 온라인 총회에서 3상 임상시험(NATALEE)을 통해 새로운 환자 보고 결과(PRO) 데이터를 발표했다. 그 결과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간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HR+/HER2-)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EBC) 환자군은 키스칼리와 내분비 요법(ET)을 병용하는 치료 기간 동안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을

'키스칼리' 유방암 재발위험 25% 감소

노바티스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노바티스의 진행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Kisqali, ribociclib)가 유방암 재발위험을 25%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바티스는 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3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연례 학술회의에서 3상 임상시험(NATALEE 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임상시험은 2기 및 3기 에스트로겐수용체(ER) 양성이면서 인간표피성장인자 수용체2(HER2) 음성인 초기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키스칼리와 호르몬요법제를 병용한 그룹과 호르몬요법제만 투여한 대조그룹을 비교

'ASCO 2023'서 새 데이터로 주목 받은 키스칼리·키트루다

'ASCO 2023'서 새 데이터로 주목 받은 키스칼리·키트루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3)' 연례학술대회에서는 올해도 획기적인 새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기대를 모았던 노바티스 '키스칼리(리보시클립)'가 광범위한 조기 유방암 환자군에서 재발 위험을 25% 감소시켰다는 결과를 발표하면서 청중들로부터 박수를 받은 것이다. ASCO 2023에서는 키스칼리와 여보이(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이 여보이 단독요법 대비 조기 유방암 환자군에서 암 재발 위험을 25.2% 낮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조기 유방암 환자 치료서 근

'엔트레스토'·'키스칼리' 등 매출 호조…노바티스, 어닝 서프라이즈

'엔트레스토'·'키스칼리' 등 매출 호조…노바티스, 어닝 서프라이즈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노바티스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사쿠비트릴+발사르탄)'와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케심타(오파투무맙)' 등이 1분기 회사 매출을 견인했다. 이에 노바티스는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해 올 한해 총 매출 전망을 밝게 했다. 노바티스는 25일(현지시간) 2023년 결산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올해 전체 그룹 전망치를 한 자릿수 초중반 성장에서 한 자릿수 중반 성장으로 상향 조정했다. 실적에 따르면 노바티스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