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가켐, 상반기 R&D 최다 투자…'Beyond ADC' 성장 축 강화

연구개발비 772억원 집행, 전년 대비 54%↑…매출 대비 91.8%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 반기 매출 842억원…LCB97·LCB84 임상 가속
STING·이중항체 ADC 등 차세대 파이프라인 확대…"2027년까지 10개 신규 과제 추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03 05:58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리가켐바이오가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R&D) 비용을 전년보다 확대하며, 글로벌 ADC 및 Beyond ADC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갔다.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 기술이전 성과에 힘입은 매출 성장세가 이어졌고, 동시에 절반 이상을 다시 R&D에 투입하며 '투자 중심' 전략을 고수한 모습이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리가켐바이오는 올해 상반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R&D 비용으로 772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전년 동기 502억원 대비 54.0%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영업수익)은 842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619억원 대비 36.2% 증가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가 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매출 대비 R&D 비중은 91.75%로 10.61%p 뛰어올랐다.

리가켐바이오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비 증가는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 추가에 따른 것"이라며 "내년 IND를 준비 중인 파이프라인이 5개 있고, 2027년까지 5개 파이프라인이 더 추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개발비 투자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에도 지금과 같은 증가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사의 연구개발은 기존 ADC에서 Beyond ADC로 확장되는 모습이다. 임상 파트에서는 ▲HER2 ADC 'LCB14' ▲ROR1 ADC 'LCB71' ▲TROP2 ADC 'LCB84' ▲L1CAM ADC 'LCB97' ▲B7-H4 타깃 ADC 'LNCB74' 등 주력 파이프라인들이 글로벌 파트너들과 단계별로 개발되는 중이다. 이 중 'LNCB74'는 글로벌 임상 1상에서 환자 투약이 진행 중이며, 적응증은 난소암·유방암·자궁내막암 등 고형암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임상 파트에서는 ▲STING 작용제 'LCB39' ▲CA242-ADC 'IKS04' ▲LRRC15-ADC 'SOT106' 등 'Beyond ADC' 축이 강화되는 흐름이다. 특히 희귀암군을 타깃으로 한 전임상 과제 중 일부는 2026년 IND 제출을 '넥스트 스케줄'로 제시하고 있어, 내년부터 2027년 사이 파이프라인 외연 확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편, 리가켐바이오는 올해 상반기 재무적으로 연구개발 확대에 따른 손실이 발생했다. 상반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59억원, 당기순손실은 323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현금성 자산 1197억원과 기타 유동금융자산 4522억원을 포함해 총 6238억원의 유동자산을 확보하고 있어, 글로벌 임상 확대와 신규 과제 투자에는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 7월 박세진 리가켐바이오 CFO는 '2025 글로벌 R&D 데이'에서 "회사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5600억원 이상이며, 그간 누적 펀딩 규모는 약 90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임상 및 임상 1상 개발에 파이프라인당 600억~700억이 소요되며, 올해만 해도 R&D 비용은 약 2500억원에 이를 것"이라며 "임상 확대 속도에 맞춰 자금 운용을 탄력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관련기사보기

리가켐바이오, LCB97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리가켐바이오, LCB97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리가켐바이오는 일본 오노약품공업에 기술 수출한 'LCB97(L1CAM-ADC)'의 마지막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를 수령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정확한 수령금액은 양사간 비공개 조건에 따른 비공개다. 다만 회사 측은 단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4년 매출액인 1258억9814만원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앞서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 10월 오노약품공업과 LCB97의 개발 및 상업화를 할 수 있는 전세계 대상 독점적 권리 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리가켐바이오, 2025 WCLC서 'CEACAM5-ADC' 연구성과 발표

리가켐바이오, 2025 WCLC서 'CEACAM5-ADC' 연구성과 발표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바이오')는 9월 6일부터 9일(현지 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세계 폐암학회(WCLC)'에서 자체 개발 중인 CEACAM5-ADC 'LCB58A'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한 초록이 14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LCB58A는 올해 2월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다안바이오')로부터 도입한 CEACAM5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기술 'ConjuALL'을 결합해 개발한 차세대 ADC 후보물질이다. 지난 7월 1일 리가켐바이오가 주최한 'LigaC

리가켐, 글로벌 R&D 전략 공개…"설계형 ADC로 시장 선도"

리가켐, 글로벌 R&D 전략 공개…"설계형 ADC로 시장 선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리가켐바이오가 독자적인 항체-약물 접합체(ADC) 플랫폼과 차세대 면역항암제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항암제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기존 항체 중심의 경쟁을 넘어 payload, 링커, 병용 전략까지 정밀 설계 가능한 '설계형 ADC' 전략을 내세우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는 모습이다. 리가켐바이오는 1일 서울 여의도에서 '2025 글로벌 R&D 데이'를 개최하고, ▲임상 및 개발 로드맵 ▲신규 파이프라인 ▲차세대 면역항암 플랫폼 ▲글로벌 사업개발 전략 ▲재무 안정성 및 성장 기반 등을 공개

리가켐 파트너사 익수다, HER2-ADC 1상 FDA IND 확대 승인

리가켐 파트너사 익수다, HER2-ADC 1상 FDA IND 확대 승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바이오')는 파트너사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 이하 '익수다')로 기술이전한 HER2-ADC 'IKS014'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로부터 글로벌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IKS014는 'best-in-class' 잠재력을 지닌 HER2-ADC로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ConjuALL'과 MMAF 페이로드(DAR=2)가 적용됐다. 현재 IKS014는 용량군별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임상 2상 권장 용량(RP2D

리가켐바이오, ADC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 주목…추가 L/O 기대

리가켐바이오, ADC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 주목…추가 L/O 기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리가켐바이오가 올해 하반기 자사 ADC(항체약물접합체) 파이프라인의 본격적인 임상 성과 발표를 앞두고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핵심 파이프라인인 HER2 ADC 'LCB14'는 중국에서 임상 3상을 진행 중으로, 올해 하반기 중 중국 내 생물의약품허가(BLA) 신청이 예정돼 있다. 글로벌 임상 데이터 발표 역시 예정돼 있어 파이프라인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iM증권은 리가켐바이오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LCB14는 유방암 적응증에서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 대비 유사한 ORR(객관적 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