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카바이오, 美 서지엄바이오와 AAV 벡터 생산 계약

연구개발부터 임상생산까지 의약품 개발 전체 단계에서 전략적인 협력
식물 기반 AAV를 활용한 차세대 유전자 치료 플랫폼 구축
2025년 상반기 100억원 수주…연말까지 수주 목표액 200억원 초과 예상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09 13:58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 Inc., 이하 마티카 바이오)가 美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서지엄 바이오사이언스(Cirsium Biosciences, 이하 서지엄 바이오)와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벡터 개발·생산에 대한 CDMO 계약을 했다.

이번 계약으로 마티카 바이오는 AAV 벡터 개발에 필요한 공정·분석법을 개발하고, 벡터를 생산해 서지엄 바이오에 제공한다. 계약금 등 세부사항은 양사 간 합의에 따라 비공개다.

서지엄 바이오는 식물 기반 일시적 유전자 전달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유전자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치료제 생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이 목표다.

다니엘 깁스(Daniel Gibbs) 서지엄 바이오 대표는 "마티카 바이오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고, 고품질 의약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마티카 바이오와 협력해 유전자 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폴 김 마티카 바이오 대표는 "마티카 바이오는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연관바이러스 관련 자체 플랫폼을 가지고 있어 빠른 시간에 고품질의 벡터를 생산할 수 있다"며 "유전자치료제 신기술을 보유한 서지엄 바이오와 협력해 유전자 치료제의 생산 효율성·확장성·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티카 바이오는 차바이오텍이 미국 CGT CDMO 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2022년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CGT CDMO 시설을 준공했다. CGT의 핵심 원료인 바이럴 벡터(viral vector)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6월에는 자체 세포주 ‘마티맥스(MatiMax)’를 개발해 바이럴 벡터 생산효율을 높였다. 2024년 미국 현지 바이오기업 10곳과 100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했다. 올해는 상반기에 이미 100억원 규모의 수주를 달성해, 연말까지 수주 목표액 200억원을 초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마티카 바이오, 텍사스 A&M 대학과 CGT 연구개발 협력

마티카 바이오, 텍사스 A&M 대학과 CGT 연구개발 협력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가 미국 텍사스 A&M대학교 국립치료제제조센터(National Center for Therapeutics Manufacturing, NCTM)와 세포·유전자치료(Cell and Gene therapy, CGT) 연구개발에 협력한다. 마티카 바이오 제조 역량과 NCTM 연구개발 경쟁력을 결합해 CGT 전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차바이오텍은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

마티카바이오랩스, CGT 개발사 자문·개발지원 한다

마티카바이오랩스, CGT 개발사 자문·개발지원 한다

차바이오텍의 자회사인 마티카바이오랩스(대표 장원규)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주관 '2025년 CMC 전략컨설팅' 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마티카바이오랩스는 세포·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공정 최적화 ▲제형 개발 ▲공정개발 및 CDMO 연계 GMP 시스템 확립 ▲개발 단계별 일정 및 계획 수립 등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CMC(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s)는 연구개발에서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걸쳐서

마티카바이오, 美 희귀소아질환치료제 개발사와 AAV벡터 개발·생산 계약

마티카바이오, 美 희귀소아질환치료제 개발사와 AAV벡터 개발·생산 계약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미국 바이오기업 차일즈 큐어(Child's Cure)와 바이럴 벡터의 포괄적 개발·생산에 대한 위탁생산개발(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마티카 바이오는 희귀 소아질환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공정·분석법을 개발하고,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9) 벡터를 생산해 차일즈 큐어에 제공한다. 차일즈 큐어는 마티카 바이오가 생산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해 GNAO1(뇌병증), CDKL5 연관 질환 등과 같은 희귀 소아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할

마티카바이오, 美바이오사와 소아 뇌종양 치료제 개발

마티카바이오, 美바이오사와 소아 뇌종양 치료제 개발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트레오비르와 단순포진바이러스(HSV) 벡터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했다고 5일 밝혔다. 트레오비르는 종양 용해성 면역 요법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이다. 마티카 바이오에서 생산한 HSV 벡터를 활용해 소아 뇌종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생존율, 안전성, 면역 반응 및 방사선 반응 등을 확인하는 임상 2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개발 중인 치료제는 미국과 유럽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받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패스트트랙 지정 받았다. 마이클 크리스티니(Michael C

마티카 바이오, 美칼리비르와 CDMO 계약의향서 체결

마티카 바이오, 美칼리비르와 CDMO 계약의향서 체결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칼리비르 이뮤노테라퓨틱스와 CDMO 계약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칼리비르는 혁신적인 항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미국 바이오 기업이다. 독자적인 백시니아 바이러스 플랫폼인 VETTM(Vaccinia Enhanced Template)를 보유하고 있다. VETTM는 다수의 유전자를 발현시키고 전신 투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칼리비르는 이 기술을 활용해 암 치료에 최적화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칼리비르의 선두 임상 후보물질인 VET3-TGI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