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브로리진', 기계적 혈전제거술과 병용치료 연구 연이어 발표

출혈성 합병증 위험 줄이고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독립성 높여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19 09:02

삼오제약이 국내에서 판매하는 '세레브로리진(Cerebrolysin®)'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표준 치료인 기계적 혈전제거술과 병용할 경우, 출혈성 합병증 위험을 줄이고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 주목받고 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세레브로리진을 투여한 환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신경학적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회복 속도 또한 빨랐다.

세레브로리진은 돼지뇌에서 추출한 뇌가수분해물로 정제된 신경펩티드 제제이다. 전 세계 약 50여 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뇌졸중 후 뇌기능장애, 외상성 뇌손상,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및 혈관성 치매)에 처방되고 있다.

세레브로리진은 뇌졸중 후 상지운동기능 개선효과로 오스트리아(2018), 독일(2020), 캐나다(2020) 신경재활학회, 유럽신경과학회(2021), 대한뇌신경재활학회(2022), 독일 신경과학회(2023) 임상진료지침에 등재됐으며, 외상성 뇌손상 후 집중력 개선 효과로 캐나다 ERABI(2022)에 등재되고, 인지 수행능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INCOG2.0(2022)에 소개됐다.

최근 뇌졸중 급성기 표준치료인 혈전용해제와 혈전제거술과의 세레브로리진 병용치료에 대한 여러 논문(Poljakovic et al., 2021; Khasanova et al., 2023; ElBassiouny et al., 2025)들이 발표되며 세레브로리진이 뇌졸중 급성기 표준치료시 출혈성 합병증을 줄이고, 환자들의 신경학적 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앞서 언급된 연구에 이어 최근 발표된 Staszewki et al. 20251) 연구논문을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Staszewki et al. 2025)는 기초 NIHSS가 5점 이상인 중등도-중증 뇌졸중 환자, 혈전제거술에 성공한 환자(mTICI 2b-3), 측부순환이 좋은 환자(CTA-CS 2-3) 100명이 포함됐다. 세레브로리진군 50명은 전향적으로 모집됐고 50명은 PMS (Propensity Matching Score)의 1:1매칭을 통해 의무기록을 통해 대조군 (Historical control)으로 수집됐다. 

세레브로리진군은 세레브로리진 30ml를 생리식염수 250ml에 희석하여 하루에 1회, 21일간 정맥으로 투여했고, 회복기에 69-90일째 2차 치료를 했으며, 하루에 1시간 재활 치료를 병행했다. 약물 투여는 뇌졸중 증상발현 8시간 이내에 시작됐다. 일차평가항목은 90일째 신경학적 기능 개선율(mRS 0-2)이며, 이차평가항목은 7일째NIHSS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 30, 90일째 Barthel Index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평가척도), 안전성 평가로는 출혈성 합병증 발생률로 계획됐다. 

일차평가 결과인 90일째 mRS 0-2 비율이 세레브로리진군은 68%, 대조군은 44%로 세레브로리진군이 유의한 신경학적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p<0.016). 이차평가 결과, 7일째 NIHSS (p<0.01), 30일째 BI (p<0.03), 90일째 BI (p<0.01) 모두 세레브로리진군에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즉, 세레브로리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혈전제거술 후 대조군에 비해 좀 더 빠르게 회복됐음을 알 수 있다. 안전성 평가 결과인 출혈성 합병증(secondary ICH)은 세레브로리진군이 14%, 대조군은 40%로 세레브로리진군에서 출혈성 합병증의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다(p<0.02).

종합하면,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혈전제거술과 세레브로리진 병용 치료는 출혈성 합병증 위험을 낮추고, 환자들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유의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세레브로리진은 급성기 및 회복기 뇌졸중 치료와 재활에 도움을 주는 근거 기반 약물임이 입증됐다. 

세레브로리진주의 제조사는 오스트리아의 Ever Neuro Pharma이며, 국내에서는 삼오제약이 독점 판매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삼오제약, CPHI/Hi Korea 성료…혁신 원료 시장 입지 강화

삼오제약, CPHI/Hi Korea 성료…혁신 원료 시장 입지 강화

삼오제약은 지난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CPHI/Hi Korea 2025' 박람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삼오제약이 혁신적인 건강기능식품 및 제약 원료 공급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국내외 바이어들과의 협력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삼오제약은 ▲뼈 건강 기능성을 인정받은 프리미엄 비타민 K2 'MenaQ7, VitaMK7' ▲체내 흡수율을 극대화한 활성형 엽산 'Quatrefolic' ▲숙취 해소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은 정향꽃봉오리 추출물 'Cl

삼오제약, 25 CPHI/Hi Korea 참가…혁신적 원료 시장 주목 예고

삼오제약, 25 CPHI/Hi Korea 참가…혁신적 원료 시장 주목 예고

삼오제약이 8월 CPHI/Hi Korea 박람회에 참가해 비타민 K2(MenaQ7, VitaMK7), 활성형 엽산(Quatrefolic), 숙취해소 원료인 정향꽃봉오리 추출물(Clovinol) 그리고 국내 유일하게 지방소화 내용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아티초크 추출물 등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및 제약 원료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삼오제약은 이번 박람회에서 천연 유래 원료 가운데 글로벌 인지도가 높고 기능성이 입증된 프리미엄 소재들을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해 국내 바이어들과의 실질적인 협력 가능성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이는 삼오제약이 시장에

삼오제약, "세레브로리진, 실어증 치료서 새 가능성 제시"

삼오제약, "세레브로리진, 실어증 치료서 새 가능성 제시"

지난해 10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세계뇌졸중학회(WSC 2024)에서는 '세레브로리진'이 뇌졸중 후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ECASS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주목을 받았다. 세레브로리진과 언어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은 위약군보다 더 빠르고 뚜렷한 회복을 보여, 실어증 치료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이어, 최근 STROKE 학술지에는 세레브로리진이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에서도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새로운 임상연구가 게재됐다. 이번 기사에서는 해당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세

삼오제약 '세레브로리진', 뇌졸중 혈전제거술 병행 시 효과적

삼오제약 '세레브로리진', 뇌졸중 혈전제거술 병행 시 효과적

삼오제약은 뇌기능 개선제 '세레브로리진'이 뇌졸중 급성기 치료인 혈전제거술과 병행 시 유의미한 신경학적 기능 개선과 합병증 감소를 보이는 것이 입증됐다고 25일 밝혔다. 세레브로리진은 돼지뇌에서 추출한 뇌가수분해물로 정제된 신경펩티드 제제다. 세계 약 50여 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뇌졸중 후 뇌기능장애, 두개골의 외상,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및 혈관성)에 처방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해당 연구(Elbiassiouny et al. 2025)에는 대혈관 폐색, 심장색전 뇌졸중 환자, 기초 NIHSS 점수가 10 이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