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의원 '혈액암 환자 보장성 강화' 정책 토론회 개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등 혈액암 환자의 조기치료 필요성 지적
혈액암 환자들의 건강권 보장 위한 혁신 치료제 급여화 방안 모색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9-24 17:47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3일 대한혈액학회, 한국백혈병환우회와 함께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혈액암 환자 보장성 강화 방안 정책토론회-혁신적 치료제 조기 사용 필요성'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국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등 혈액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에 대한 한계를 짚어보고, 중증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혁신 치료제 급여화 방안이 논의되었다. 

좌장은 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터 권용진 교수가 맡았으며,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윤덕현 교수와 한국백혈병환우회 이은영 공동대표가 의료진과 환자단체 시각에서의 제한적인 치료 현황과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학계, 정부, 환자단체, 미디어에서 패널로 참여해 혈액암 환자의 조기 치료를 위한 정책 방안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대한혈액학회 김석진 이사장(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지현 교수(동아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보건복지부 김연숙 보험약제과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숙현 신약등재부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DLBCL은 가장 흔한 림프종 혈액암으로, 50대부터 유병률이 급증하여 매년 국내에서만 약 2400명이 새롭게 DLBCL을 진단받는다. DLBCL 질환은 재발률이 높아 1차 치료 이후 환자의 40%가 재발한다. 재발 환자의 2차 치료 약제는 세포독성 항암제가 유일하나 치료 효과가 낮고 골수 기능 감소로 인한 감염 위험 증가 등 부작용이 강하다.

토론회를 공동 주관한 대한혈액학회의 이사장 김석진 교수(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전 세계적으로 1년 이내 재발, 불응성 미만성 DLBCL 질환에서의 CAR-T 세포 치료가 표준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완치 목적의 치료로 환자의 장기 생존을 기대하게 됐다"며 "글로벌 표준 치료인 미국 국립종합암네트워크(NCCN)의 지침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CAR-T 세포 치료가 DLBCL의 2차 치료로 쓰일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이은영 공동대표는 "DLBCL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50대는 가장으로서 생계를 지탱해야 하는 시기에 치료로 직장을 떠날 수 밖에 없고, 3차 치료로 CAR-T를 사용하기 위해 2차 치료의 극심한 부작용을 견디다 결국 기회를 잃기도 한다. 이는 환자 입장에서 희망고문"이라며 비판했다.

또 "미국, 일본 등 외국에서 수년간 2차 치료에 쓰인 치료제의 급여화를 통해 우리나라 DLBCL 환자들도 조기에 치료받고 완치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김연숙 보험약제과장은 "희귀·중증난치성 질환 환자가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조기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치료 받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더불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며 "특히 생존율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혁신 신약의 경우, 급여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남인순 의원은 "민주당은 희귀·중증난치성 질환의 치료제에 대한 신속한 건강 보험 적용을 추진하여 환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한다"며 "특히 CAR-T 치료제와 같이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제는 빠르게 보험 등재해 조기 치료를 통해 200명 이상의 DLBCL 환자가 추가로 완치될 수 있도록 보장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더 빨리 환자들의 생명을 살려 건강권을 보장하고, 질환으로 인한 가정 붕괴, 직장 이탈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손실을 감축하여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