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유영제약, 'ISO45001' 사후관리 심사 통과‥ 안정성 입증
유영제약(대표 유주평)은 지난 9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진행된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사후관리심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ISO 45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안전보건 분야 국제 규격으로,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관리시스템을 갖춘 기업에 부여된다. 이번 사후관리심사는 인증기관인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KCCA)이 유영제약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안전보건 관리 체계, 위험성 평가, 임직원 교육 운영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했다. 그 결과, 회사의 안전보건경영
약정원 '팜리뷰', 항생제 적정 사용 관련 최신 정보 제공
약학정보원(원장 유상준)은 올해 9월 '팜리뷰'를 통해 항생제 사용과 관련된 원고 2편을 연재했다. 9월 1회차 원고(9.12. 게재)는 영남대학교 약제부 권기정 학술위원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 감염증' 사례에 대한 최신 항생제 사용 지침(2024)의 내용을 소개했다. 2회차 원고(9.29. 게재)에서는 한양대학교의료원 우수빈 학술위원이 지난해 11월부터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일환으로 시범적으로 시행 중인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 프로그램(ASP,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수첩] AI·디지털 신약개발…'도약'과 '현실' 사이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AI는 단순히 시간을 줄이는 도구가 아닙니다. 신약개발 전략 자체를 바꾸고 있습니다." 최근 학회와 기업설명회에서 자주 들리는 말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 삼진제약, 딥노이드 등 국내 기업도 AI·디지털 기반 신약개발을 전면에 내세운다. 하지만 현장 속도와 투자자 기대 사이에는 여전히 간극이 있다. AI는 후보물질 발굴 기간을 4~5년에서 1~2년으로 단축하고, 임상 설계 최적화 및 실제 진료 데이터(RWD) 기반 환자 선별까지 가능하게 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플랫폼, 삼진제약의 AI
-
복지부-국방부, '공보의 복무기간' 입장차 확고…"대안 없어"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공보의 복무기간을 두고 정부 부처 간에 의견 차가 확고한 것으로 확인된다. 28일 보건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국방부는 공보의 복무기간 단축을 두고 입장차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먼저 복지부는 의과 공보의
-
"환자안전 외면한 입법"‥대개협 '비대면·대체조제·성분명' 반발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국회와 정부가 접근성과 편의성을 앞세운 의료제도 개편을 밀어붙이자 의료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대면 진료 제도화, 공적 전자처방전 도입, 대체조제 사후통보 간소화, 성분명 처방 의무화까지 의료 현장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법안들이
-
안과 기반 성장세 삼천당제약…'비젠프리' 시너지 기대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삼천당제약이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비젠프리(SCD411)'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안과 시장에서 입지를 키우며 성장 중인 회사 상황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
"수가협상 구조 개혁 없인 일차의료 없다"‥대개협의 경고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개원의협의회가 2027년도 환산지수 연구용역에 의료계 추천 연구자를 포함시키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처음 받아냈다. 그동안 환산지수 연구는 건강보험 재정의 핵심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의료계 의견이 공식적으로 반영된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ㅇ*2025.09.26 20:55:31
리베이트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