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국회의원, 홍릉포럼 방문…바이오 R&D 클러스터 논의

오세훈 시장 취임 후 홍릉 일대 바이오 관련 사업 예산 축소
바이오 R&D 클러스터 조성 동력 약화돼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5-09-27 06:00

홍릉포럼은 26일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은 홍릉의 비전과 방향을 설명했고, 김현우 센터장은 바이오산업에서 서울, 특히 홍릉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홍릉은 박사급 인재 7000명, 대학생 약 12만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비롯한 4개 국책 연구기관, 4개 대학병원, 서울바이오허브 등을 갖추고 있다.

김현우 센터장은 홍릉이 R&D 중심의 바이오 클러스터로서 송도나 오송과 차별화된 강점을 갖고 있음을 강조했다.

홍릉이 도시재생 기반 바이오 의료 R&D 거점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고 박원순 시장 영향이 컸다.

당시 서울시는 구 농촌경제연구원 부지에 바이오 의료 R&D 앵커를 조성하고, 오픈형 R&D 구현, 회기로 R&D 스트리트, 우수 바이오기업 및 해외연구소 유치, 주요 대학·병원 연계 클러스터 조성을 실행전략으로 제시했다.

2017년 서울바이오허브의 1단계가 개관했고, 지난해에는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가 문을 열었다. 2019년 9월에는 과기정통부가 홍릉일대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했다.

도시재생 측면에서는 2019년 서울시 도시재생위원회가 홍릉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조건부로 가결했고, 국토부는 서울 최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선정했다.

이를 통해 동대문구 청량리·회기동 일대에 올해까지 약 5000억원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오세훈 시장 취임 후 부지확보 난항, 일부 사업 축소·통합 등 사업비가 5043억원에서 3660억원으로 약 1400억원 줄어들면서 사업추진 동력이 약화됐다.

이에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홍릉 일대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기반, 연구자 생활기반, 연구자 자녀들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외국인 연구자와 유학생들이 홍릉을 떠나는 이유로 낙후된 거주·문화·교육환경이 꼽혔고,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연속성이 필요하다는 점도 부각됐다.

이에 대해 박주민 의원은 "홍릉을 중심으로 서울 동북권에는 대학과 종합병원, 연구기관이 집중돼 있다"며 "대내외적으로 홍릉을 중심으로 한 서울 동북권 역할을 함께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답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