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3.23 06:08
개선 멈춘 상장제약·바이오기업 '매출원가비율'…91개사 평균 57.4%
2021년 대비 1.0%p 악화…48개사 줄고 41개사 늘어 악화 기업 평균 4.3%p 증가…셀트리온·SK바이오팜 두 자릿수 높아져
[상장제약기업 2022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던 '매출원가비율'이 지난해에는 다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 기업의 동향에서는 개선된 기업이 악화된 기업보다 많아 다소 차이를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2022년도 실적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매출원가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매출 31조4560억 원 중 매출원가가 18조508억 원을 차지해 평균 57.4%로 집계됐다. 전년도인 2021년 대비 1.0%p 높아진 것으로, 조사 대상 중 48개사는 줄었고 4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3.22 06:08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매출 늘었지만 수익성은 되레 악화
91개사 평균 영업이익률 10.1%·1.1%p 하락…영업이익 증가폭이 매출 증가 못 따라가 49개사는 영업이익률 개선 성공…SK 계열 2개사 영향 커
[상장제약기업 2022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매출 성장이 지난해에도 계속됐지만, 실제 수익률에 있어서는 이전보다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지난해 1000원 어치를 팔아 101원을 남기는 장사를 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11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매출 성장에 비해 영업이익은 더딘 성장을 보인 데 따른 것이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2년도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을 통해 분석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달성한 총매출은 31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3.21 06:09
91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2년 매출 31조4502억 원
전년 대비 14.3% 증가…평균 영업이익 3.5%·당기순이익 10.5% 늘어 매출 감소 기업 단 7곳…두 자릿수 이상 증가 62개사 달해
[상장제약기업 2022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호실적을 이어가는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지난해에도 평균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2년도 실적(일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은 평균 14.3% 증가한 31조4502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3.5% 증가한 3조1775억 원, 당기순이익은 10.5% 증가한 2조4783억 원이었다. 91개사 중 매출이 늘어난 곳이 84개사, 감소한 기업은 7개사로 대부분의 기업이 매출을 끌어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3.20 06:09
상장제약사 오너들 현금배당, 윤석근(일성) 82.9억‥이장한(종근당) 35.5억
강정석(동아) 31.2억, 윤성태(휴온스) 30.6억, 정상수(파마리서치) 23.5억, 조동훈(하나) 22.9억 5억 이상 25명…류기성(경동) 21.5억, 이경하(JW) 20억, 허일섭(GC) 18.3억, 송영숙(한미) 17.5억
상장제약기업 오너 경영인들 가운데 2022년도 결산 배당에서 일성신약 윤석근 회장이 가장 많은 현금배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종근당그룹 이장한 회장, 동아제약그룹 강정석 회장, 휴온스그룹 윤성태 부회장, 파마리서치 정상수 회장, 하나제약 조동훈 부사장, 경동제약 류기성 부회장, JW그룹 이경하 회장, GC녹십자그룹 허일섭 회장, 한미약품그룹 송영숙 회장,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사장, 강덕영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사장, 동국제약 권기범 회장 순이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사 중 2022년도 결산배당을 공시한 기업(지주사 포함)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5억원 이상의 현금배당(보통주 기준)을 받는 오너(재직 &middo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3.16 06:01
상장제약기업, 사외이사 연봉 평균 3,082만원‥삼바 9,400만원
77개사 집계, SK바이오팜 8,200만원, 셀트리온 7,300만원, 유한양행 7,100만원 업체당 2명꼴 175명 선임…33개사 3명, 24개사 1명, 14개사 2명 順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지난해 사외이사들에게 월 평균 256만원 가량의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제약사(지주사와 일부 바이오기업 포함)를 대상으로 `2022년도 사외이사 연간 보수 현황`을 집계한 결과, 업체당 연간 평균 3,082만원을 지급해 전년도에 비해 5.5% 가량 증가했다. 이는 2021년(77개사) 2,927만원, 2020년(77개사) 2,700만원, 2018년(80개사 기준) 2,500만원, 2017년(77개사 기준) 2,600만원, 2016년(73개사 기준) 2,490만원, 2015년(47개사 기준) 2,750만원, 2014년(57개사 기준) 2,640만원, 20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3.14 06:07
동구바이오제약 '역대 최대 매출'…영업이익까지 대폭 확대
지난해 연결 매출 1950억 원·영업익 170억 원…25.7%·109.4% 증가 비뇨기과·내과·이비인후과 등 상승 견인…투자 손실로 당기순이익 아쉬움 남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동구바이오제약이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신규 수요가 확대되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지난 13일 공시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2년 매출액이 1950억 원을 기록, 전년도인 2021년 1551억 원보다 25.7%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도 2021년 81억 원에서 170억 원으로 109.4% 증가했다. 최근 동구바이오제약의 매출 동향을 살펴보면 2019년 1252억 원에서 2020년 1392억 원으로 11.2% 증가했고, 2021년에는 1551억 원으로 다시 11.4%가 늘었다. 영업이익은 2019년 65억 원에서 2020년 76억 원으로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3.13 06:05
제약바이오업계 `주총시즌` 개막‥24·28·29일 절반이상 몰려 `주총데이`
84개사, 일정집계…24일 19개사, 29일 17개사, 28일 12개사, 30일 10개사 順
코로나19 일상 회복을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 12월말 결산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정기주주총회가 오는 17일(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고려제약 등 2개사를 필두로 본격적인 `주총시즌`을 맞는다. 대부분 기업들은 코로나19 감염 예방 및 차단을 위해 현장 참석보다는 전자투표와 위임장을 활용한 의결권 행사를 권장하고 있으며, 주총장 출입에 마스크 착용은 기본이고, 당일 발열 체크 등을 통해 이상 증세가 있는 주주의 참석을 제한한다.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중 지난 10일까지 정기주총 일정을 공시한 84개사(제약지주사와 일부 바이오사 포함)를 대상으로 일정을 집계한 결과, 넷째주 금요일인 오는 24일 19개사, 29일(수) 17개사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3.10 06:08
'매출 3조' 삼성바이오로직스, 1등 공신은 CDMO 부문
전년 대비 7700억 원 증가…삼성바이오에피스 매출보다 커 영업이익 비중 93%…지속 성장 가능성 높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연결재무제표 기준 3조 원대 실적을 거뒀던 데에는 CDMO 부문의 고성장 영향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MO 부문 매출은 2조3375억 원으로 2021년 1조5680억 원 대비 49.1%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7695억 원이 증가한 수치다. 반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주력 부문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부문의 매출은 6638억 원으로 CDMO 부문 증가폭보다 작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연결 대상 기업으로 편입되면서 연결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그 이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3.06 06:08
상장제약기업들, 올 현금 배당잔치 규모는?‥전년比 11.7%
일성신약 주당 2만원 파격적 효과로 평균치 상향…제외하면 0.8% 증가로 `조촐한 잔치` 50개사 집계, 배당금총액 22개 늘리고, 7개사 줄이고, 16개사 전년과 같은 수준 시가배당율, 일성 22.2% `최고`‥ 경동 4.8%, JW생명과학 4.0%, JW홀딩스 3.2% 順
상장제약기업들의 2022년도 실적에 대한 결산 현금배당이 전년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해 기업에 따라 풍성한 배당잔치를 예고하고 있다. 본격적인 주총시즌을 앞두고 공시한 각 기업들의 결산배당 금액을 보니 전기와 비교해 평균 두자릿수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주주들을 배려했음을 엿볼 수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3일까지 공시한 50개 상장제약기업들(지주사 포함)의 보통주 기준 결산(현금)배당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배당금 총액은 2,908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2,604억원에 비해 11.7% 증가한 금액이다. 이같은 증가폭은 일성신약이 시가배당율 22.2%라는 주당 2만원의 파격적인 배당을 결정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2.20 06:02
잠정실적 공시 50개 상장제약사 성적표는?‥매출-이익 모두 증가세
국내 제약사 가운데 최근까지 잠정실적을 공개한 기업들을 종합해 보니 매출은 물론 수익성 모두 두자릿수 성장세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17일까지 2022년도 잠정실적을 공시한 50개 상장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매출은 평균 13.5%, 영업이익은 28.8%, 당기순이익은 47.7% 증가했다. 이는 SK바이오사이언스와 SK바이오팜 실적을 제외한 것으로 이들 2개사를 포함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두자릿수 감소세로 돌아선다. SK바사는 2021년에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CMO와 CDMO 실적으로 매출과 수익성 모두에서 급성장을 가져왔으나 지난해 이같은 특수가 사라지면서 매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2.09 06:09
영업실적 대폭 끌어올린 JW중외제약, 비결은 '리바로패밀리'
지난해 매출액 6844억 원·12.82% 증가…리바로 제품군 매출 '1000억 이상' 주원료 자체 생산으로 수익성 향상…R&D 투자 늘려 신약 성과 확대 계획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JW중외제약이 최대 주력제품인 '리바로 패밀리'(제품군)의 집중 성장 전략에 힘입어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익까지 큰 폭으로 개선돼나가고 있다. JW중외제약은 8일 공시를 통해 2022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2.82% 증가한 6844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06.55% 증가한 644억 원, 당기순이익은 14억 원 적자에서 335억 원 흑자로 전환됐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해 3분기까지의 영업이익이 누적규모 300억대에 그쳐 시장의 이익 기대치를 살짝 벗어났던데서 마지막 4분기에 한번에 300억대 이상의 영업이익을 실현, 전년대비 2배의 성장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1.31 10:40
화일약품, 상신리공장 화재 손실에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 못 피해
64억 원 적자 기록…손실 규모 100억 원 육박 영향 2000년대 이후 첫 적자 기록…매출액 1321억 원·영업이익 48억 원 '순항'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화일약품이 지난해 9월 상신리 공장 화재사고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화일약품의 지난 30일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64억 원의 적자를 기록, 전년도인 2021년 28억 원의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서게 됐다. 화일약품은 당기순이익 적자와 관련 "2022년 9월 30일 상신리공장 화재 발생에 따른 재해손실을 기타비용 반영으로 인한 법인세비용차감전 및 당기순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화일약품은 지난해 3분기 보고서를 통해 상신리 공장 화재로 인한 재고자산 및 유형자산 손실을 포함한 재해손실이 약 99억6800만 원에 달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러한 손실이 당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1.20 06:06
역대 최대 매출 달성한 삼일제약, 올해 매출 2000억 원 가시화
2022년 매출 1797억 원…전년 대비 33.8% 증가 성장률 유지 시 2400억 원까지 성장 가능…아멜리부·레바케이로 추가 성장 여력 있어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2022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삼일제약이 올해에는 2000억 원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삼일제약은 19일 공시를 통해 2022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이 1797억 원으로 2021년 1342억 원 대비 33.8%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삼일제약의 매출을 살펴보면 2018년 매출은 946억 원이었으며, 이어 2019년에는 1211억 원을 기록해 2009년 이후 처음으로 1000억 원대에 복귀했다. 이후 2020년 1230억 원, 2021년 1342억 원으로 증가 추세를 이어왔으며, 여기에 지난해에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면서 단숨에 1800억 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1.17 06:08
에스티팜, 2022년 대폭 성장…5년만에 '2000억 원대' 매출 복귀
전년 대비 50.4% 증가…영업이익 179억 원·순이익 168억 원 달성 렉비오·올리고 매출 등으로 순항…올해 추가 성장 가능성 높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에스티팜이 지난 2022년 영업실적을 대폭 끌어올리면서 2000억 원대의 매출을 회복했다. 에스티팜은 지난 16일 별도재무제표 기준 2022년도 잠정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0.4% 증가한 2093억 원, 영업이익은 293.4% 증가한 179억 원, 당기순이익은 236.5% 증가한 168억 원이었다. 에스티팜의 매출은 지난 2016년 2004억 원, 2017년 2026억 원으로 2000억 원대를 기록했으나, 2018년 973억 원으로 대폭 줄었고, 2019년에는 930억 원으로 더 위축됐다. 하지만 2020년 1090억 원으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2021년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1.12 06:07
단숨에 뛰어오른 현대약품, 지난해 매출 1600억 원 돌파
전년 대비 16.37% 증가…1300억 원대 벗어나며 대폭 성장 영업이익·순이익 흑자전환…이상준 사장 단독 경영 2년만의 성과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현대약품이 지난해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일궈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약품은 11일 공시를 통해 2022년 16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도인 2021년 1398억 원보다 16.37% 증가한 수치다. 현대약품의 매출은 지난 2016년 1186억 원에서 2017년 1276억 원, 2018년 1308억 원으로 꾸준하게 증가해왔다. 1300억 원대에 진입한 이후로는 다소 더딘 성장을 보였다. 2019년에는 13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2020년에는 1330억 원을 되레 줄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021년 1398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로 돌아섰고, 여기에 지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12.29 06:06
적자 시달리던 명문제약, 제품비중 개선으로 흑자전환 성공하나
3분기 누계 영업이익 43억 원 '흑자'…3년 연속 적자서 탈출 기대 제품 매출 늘고 상품 매출 줄어…제품비중 8.7%p 개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최근 3년간 영업적자에 시달렸던 명문제약이 제품비중을 높이면서 수익성을 개선, 올해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명문제약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별도재무제표 기준 누적 영업이익은 43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4억1300만 원 대비 약 930% 가량 증가했다. 명문제약의 영업이익은 지난 2017년 81억 원에서 2018년 67억 원으로 줄었고, 2019년에는 10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이후 2020년에는 적자 규모가 264억 원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73억 원으로 적자폭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올해에는 3분기까지 40억 원대의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2.12.20 06:07
가파른 성장세 보인 동구바이오제약, 올해 2,000억 고지 '코앞'
올해 3분기 누계 매출 1,465억원…분기매출 504억원 달성 2021년 이어 올해도 최대 실적 예고…영업이익도 고성장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동구바이오제약이 올해도 분기 매출을 계속 경신하고 있어 올해도 최대 매출을 예고했다. 특히 현재까지의 분기 매출의 성장세를 유지할 경우 매출 2,000억원이 가시화 될 것으로 보여 향후 흐름이 주목된다. 동구바이오제약이 지난 11월 제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별도재무제표 기준 3분기 누적 매출액이 1,465억 원으로 전년 동기 1,149억 원 대비 27.4% 증가했다. 3분기 매출액은 504억 원으로 전년 동기 404억 원 대비 24.9%가 증가했다. 이에 4분기에도 3분기 매출액을 유지할 경우 1,9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도 1,551억원의 매출을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12.17 06:08
최대매출 경신 다시 이어가는 대한약품, 올해 1800억 원 넘는다
3분기 누계 매출 1364억 원…분기 매출 487억 원 달성 2020년 역성장 딛고 2년 연속 최대매출 경신 기대감…300억 원대 영업이익 회복 가시권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잠시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였던 대한약품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최대매출을 다시 경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약품이 지난 11월 제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별도재무제표 기준 3분기 누적 매출액이 13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1268억 원 대비 7.6% 증가했다. 3분기 매출액은 4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447억 원 대비 8.9%가 증가했다. 만약 4분기에도 3분기 수준의 매출을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대한약품의 올해 매출은 1800억 원대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올해 대한약품의 매출이 1분기 413억 원, 2분기 46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12.13 06:06
상장 이후 성장 이어가는 위더스제약, 수탁 사업 '성공적'
올해 600억 원대 매출 달성 전망…CMO 부문 실적 두 자릿수 증가 매출 비중 20%대…제네릭 위수탁 규제 강화 불구 성과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2020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위더스제약이 수탁 사업 성과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더스제약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500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428억 원 대비 16.8% 성장했다. 여기에 영업이익은 54.4% 증가한 63억 원, 당기순이익은 40.0% 증가한 41억 원으로 수익은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모습이다. 3분기 매출액도 170억 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위더스제약의 올해 매출액은 600억 원을 여유있게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위더스제약의 이 같은 성장세는 전체 매출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CMO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11.30 11:36
매출 성장 이어가는 국제약품, 영업이익·순이익 대폭 성장
개별 기준 3분기 누계 매출 933억 원…영업이익 163%·순이익 153% 증가 항생제·안과영역 성장 견인…큐알론점안액 매출 두 자릿수 확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제약품의 성장세가 지난 3분기에도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약품의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개별재무제표 기준 국제약품의 3분기 누계 매출액은 933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840억 원 대비 11.0% 증가했다. 이에 더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3.0% 증가한 56억 원, 당기순이익은 153.4% 증가한 45억 원으로 세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도 매출액이 10.1% 증가한 957억 원, 영업이익은 144.7% 증가한 54억 원, 당기순이익은 167.2% 증가한 48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제약품은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마스크 생산 리스크로 인해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내 유방암 치료 지형 바꾼 '엔허투' 급여 확대 이뤄낼까
2
비상장 제약사, 지난해 인건비 6120억원…평균 부담율 8.0%
3
"종근당 천안공장, AI 스마트 팩토리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4
의협 "대체조제 간접통보는 위법이자 환자 위협"‥약사법 철회 촉구
5
바이오코리아 2025, '비즈니스 중심 플랫폼'으로 구조 전환
6
"수급추계위 구성, 법적 근거 불명확"‥대전협 비대위도 복지부 강력 비판
7
포말리도마이드 중대 약물이상반응↑…허가사항 변경 마련
8
3차 암질심, 발베사·팁소보 급여기준 통과‥'엔허투'는 고배
9
"다발골수종 2차 치료서 3제요법 치료 환경 조성돼야"
10
'수면 중 다음 기억 준비한다'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