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23 06:06
GC녹십자, 매출원가율 개선 수익성↑…R&D 확대 기반 확보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원가율 65.9%, 전년비 5%p↓…개선 이어져 제품부문 실적 늘어나 수익성 개선…매출총이익 11.3% 증가 연구개발비 5% 증가 불구 영업익 43% 확대…R&D 전략 순항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GC녹십자가 매출원가율을 낮추면서 연구개발 투자여건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GC녹십자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1조1,703억원, 매출원가는 7,712억원, 이에 따른 매출원가율은 65.9%를 기록했다. 2020년 매출원가율 70.8%와 비교하면 4.9%p(포인트) 낮다. GC녹십자는 2019년 73%에서 연이어 매출원가율을 낮춰가고 있다. 매출원가율 개선은 자체 제품부문 실적 강화에서 비롯된다. 지난해 제품매출액은 6,956억원으로 전체 대비 59.4%다. 2020년 6,697억원으로 54.5%였을 때보다 4.9%p 높아졌다. 반면 상품매출액 비중은 202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22 12:10
안국약품, 3년 만에 매출부진 탈출…높은 제품비중 긍정적
지난해 별도 매출 1,510억, 전년비 14.5%↑…영업 활성화 영향 매출공백 영향은 여전…제품매출 전체 90.5% 차지해 기반 탄탄 올해 전문경영인 체제, 신약개발 사업 추진 등 변화 주목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안국약품이 2년간 이어져온 매출 부진에서 벗어났다. 하락세는 멈췄지만,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에는 갈 길이 멀다. 다만 높은 제품비중, 경영진 변화 등은 긍정적 변수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안국약품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1,510억원으로 전년 1,319억원 대비 14.5% 증가했다. 3년 만에 이뤄진 매출 상승이다. 안국약품 별도 기준 매출액은 2018년 1,801억원을 기록했다가 이후 2019년 1,493억원, 2020년 1,319억원으로 연이어 감소했다. 2년간 이어졌던 매출 부진은 사업 전반에 걸친 매출 감소에 이어 코로나19 악재까지 겹친 결과다. 안국약품은 지난해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2.03.22 06:09
국내 제약기업들 R&D 지속‥68개사, 매출액 대비 평균 8.2% 투자
전기比 0.2%p 늘어… 2조 4,629억 투자해 전기보다 8.6% 증가 삼천당제약 27.9% `최고` 비율‥셀트리온 3,979억 `최다` 금액
[상장제약기업 2021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연구개발(R&D) 투자비율 국내 제약기업들의 R&D 투자액과 투자비율 증가는 지난해에도 계속됐다. 제약업계는 한정된 국내시장의 당면한 위기 극복은 글로벌 진출이고, 글로벌 시장에 나가기 위해서는 신약개발이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어 상장제약기업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지속되어야 한다는 당위성 때문이다. 특히 최근 2년 코로나19 시대에 제약산업의 본연인 치료제 개발에 뛰어든 기업들도 적지 않았다. 메디파나뉴스가 68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사업보고서를 통해 `2021년도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03.22 06:07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부채비율 지속 증가… 평균 55.1%
90개사 전체 평균 0.3%p 증가… 35개사 줄고 53개사 늘어 에이프로젠제약 2.9% '최저'… 코오롱생명과학 192.4%p 대폭 감소
[상장제약기업 2021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9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1년도 부채비율 현황(연결재무제표 기준)' 자료에 따르면 이들의 전체 자본총계는 33조8183억 원, 부채총계는 18조6253억 원으로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55.1%로 집계됐다. 전년도인 2020년 54.8%보다 0.3%p 늘어난 수치다. 2020년 9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에도 2019년 51.5% 대비 1.7%p 늘어난 53.2%로 조사된 바 있는데,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22 06:06
한국파마, 상장 후 미뤄지는 신약 연구개발…낮아지는 수익성
개량신약 연구과제 2종, 발매예정시기 연기…2종 삭제 이어 계획 수정 상장 후 연구개발 성과 부진…연구개발비 49억, 전년 대비 하락조정 매출원가율 늘어나 수익성 저하…연구개발 성과 확보 부담 커져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한국파마 연구개발 계획이 미뤄지고 있다. 매출원가율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연구개발 부담은 커지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파마가 추진 중인 개량신약 연구과제 ‘KP201’은 발매 예정 시기가 지난해에서 올해로 변경됐다. 파킨슨병 개량신약 연구과제 ‘KP172’는 발매 예정 시기가 2025년에서 2026년으로 미뤄졌다. 한국파마는 2020년 8월 상장 직후 사업보고서에서 8개 개량신약 연구과제 개발계획을 공개하면서, 기존 파이프라인을 확대·강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품목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8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2.03.21 11:54
제약기업 지주사들, 지난해 수익성 확보 어려움‥기업 따라 `희비교차`
9개 집계… 매출 7.4% 성장, 영업이익 0.9% 늘고, 순이익 62.9% 감소
종속회사들의 실적 여부에 따라 울고 웃는 제약기업 지주사들은 지난해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수익성을 올리는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대웅을 비롯한 9개 제약기업 상장 지주사들의 2021년도 감사보고서(연결 기준, 녹십자홀딩스와 JW홀딩스 등은 잠정 실적)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영업수익)은 평균 7.4% 성장했고, 영업이익 0.9% 늘어 났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62.9% 감소하는 성적표를 내놓았다. 영업수익(매출) 면에서는 JW홀딩스와 일동홀딩스만이 1% 내외의 소폭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한미사이언스, 동아쏘시오홀딩스, 대웅, 휴온스글로벌 등 4개사는 두자릿수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GC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21 06:08
휴온스, ‘매출 4,000억-원가율 40%’ 진입…성장·수익 고속행진
지난해 별도매출 4,036억, 전년비 10.2%↑…2010년 1,000억 후 11년만 매출원가율 11년 새 61%→41%…사업다각화 성장전략 통해 수익성 높여 높은 성장성, 수익성 확보…영업이익 흑자, 연구개발비 확대 병행 이뤄내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휴온스가 짧은 시기에 고성장, 고수익 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매출은 4,000억원을 넘어섰고, 안정적 수익구조는 연구개발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휴온스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4,036억원으로 전년 3,662억원 대비 10.2% 증가했다. 휴온스가 연 4,000억원대 매출액을 달성한 것은 휴온스글로벌로부터 분할설립되기 이전까지 포함해 이번이 처음이다. 2018년 3,134억원으로 처음 3,000억원대 매출액을 달성한 지 3년 만이다. 휴온스는 지난 10여년간 비교적 빠른 매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2010년 1,009억원으로 처음 1,000억원대에 올라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8 11:53
서울제약, 연구개발 규모 2배 이상 급증…사업전략 변화 두각
지난해 개별기준 연구개발비 67억, 전년비 148.8%↑ 일반약·건기식 등에 구강붕해필름 제형 적용 연구 착수 고지혈증·위식도역류질환 개량신약, 당뇨약 퍼스트제네릭 개발도 2020년 경영진 교체 후 변화 본격화…영업적자 직면 과제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서울제약이 지난해 연구개발 규모를 전년 대비 2배 이상으로 급격하게 끌어올렸다. 최대주주·경영진 교체 후 사업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제약 개별재무제표 기준 연구개발비는 67억원으로 전년 27억원 대비 148.8% 증가했다. 서울제약 연간 연구개발비가 60억원대를 기록한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지난 수년간 서울제약 연간 연구개발비는 20억원 내외를 유지했다. 이는 연구개발 사업 전략 변화에 따른다. 서울제약은 지난해부터 전문의약품 외에 일반의약품,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에도 구강붕해필름 제형을 적용시키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를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2.03.18 06:09
상장제약바이오기업 연봉킹?‥ 씨젠 천종윤 대표 60억 `최다`
서정진 명예회장 퇴직금(113억) 포함 셀트리온 3사에서 134억 수령 코로나시대 급성장한 진단기업 씨젠 임원진들 순위에 이름 올려 눈길
국내 상장제약바이오기업 경영인 중 최다연봉을 받은 씨젠 천종윤 대표(좌)와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우). 사진출처 : 각사 홈페이지 국내 상장제약·바이오기업 경영·임원 가운데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명예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17일까지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개인별 보수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월 26일부로 퇴임한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명예회장이 셀트리온 3사에서 총 134억4,500만원을 받았다. 셀트리온에서 63억7,500만원을 비롯해 셀트리온헬스케어 53억200만원, 셀트리온제약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8 06:08
일양약품, 20년 만에 100억 영업익 재현…투자-이익 균형 확보
지난해 별도기준 영업익 116억, 전년비 75%↑…2000년 이후 첫 100억대 매출증가 불구 연구개발 확대로 증감 반복…안정적 수익구조 확보 방증 매출원가율 전년비 4.4%p 낮아져 수익성 개선…내수 의약품 성장 영향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일양약품이 20년 만에 영업이익 100억원대를 재현했다. 연구개발 투자와 영업이익 확대 사이에 균형이 확보됐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양약품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116억원으로 전년 66억원 대비 75% 증가했다. 일양약품이 별도 기준으로 100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2000년 108억원을 기록한 이후 21년 만이다. 이 사이 매출이 부진했던 것은 아니다. 일양약품은 최근 10년 이상 꾸준히 매출액을 늘려왔다. 일양약품 별도재무제표 기준 연간 매출액은 2009년 1,146억원에서 지난해 2,303억원까지 단 한 차례도 빠짐없이 증가했다. 그럼에도 매출과 달리 영업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7 11:55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개발사업 확대 두각…인력 3년 새 ‘2배’
지난해 말 기준 연구개발 인력 211명, 전년 154명보다 57명 증가 2018년 분할설립 후 112명서 지속 확대…조직도 매해 변경·확대 지난해 연구개발비 996억, 전년비 207%↑…핵심사업 자리매김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연구개발 사업 규모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분할설립된 후 3년 만에 연구인력은 약 2배가 됐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일 기준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개발 인력은 박사급 17명, 석사급 143명 등 총 211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0년에 총 154명이었던 것보다 57명 더 늘어난 수준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18년 SK케미칼로부터 분할설립된 이후 지난해까지 줄곧 연구개발 인력을 늘려오고 있다. 이에 연구인력 수는 2018년 말일 기준 112명에서 지난해 211명으로 3년 만에 약 2배로 증가했다. 인력 확대와 함께 연구개발 조직은 매해마다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03.17 06:09
상장제약기업 '매출원가비율' 개선 지속…88개사 평균 54.6%
2020년 대비 1.9%p 개선…48개사 늘고 38개사 줄어 SK바이오팜 '한 자릿수'…두 자릿수 개선 기업 4곳
[상장제약기업 2021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매출원가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꾸준하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88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2021년도 실적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매출원가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매출 28조6032억 원 중 매출원가가 15조6142억 원을 차지해 평균 54.6%로 집계됐다. 전년인 2020년 대비 1.9%p 낮아진 것으로, 조사 대상 중 48개사는 늘어났고 38개사는 줄었으며 2개사는 변화가 없었다. 전체 매출이 13.4% 늘어나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7 06:05
영진약품, 코로나 이후 도입상품 의존도 급증…반전 이뤄낼까
지난해 상품매출 739억, 전체 중 37.7%…수년간 증가 거듭해 최고치 상품 호조, 제품 수출부진 ‘대조적’ 원인…수익성 악화 100억대 적자 올해 사업목표, 제품중심 성장에 영업 집중키로…신사업 발굴도 추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영진약품 매출 구조가 코로나19 이후 악화되고 있다. 도입상품 매출 비중은 한 해만에 10%p(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영진약품 개별재무제표 기준 상품매출은 739억원으로 전체 매출 1,960억원 중 37.7%를 차지했다. 지난해 상품매출 비중은 2020년 27.8%보다 9.9%p(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영진약품 상품매출 비중이 3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진약품 상품매출 비중은 지난 수년간 대체로 증가를 거듭해왔다. 2017년 17.3%에서 2018년 26%로 급증한 후, 2020년 27.8%를 거쳐 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03.16 06:09
SK바이오사이언스 '매출 절반이 이익'…영업이익률 51% 기록
89개 상장 제약사 평균 13.2%로 2%p 상승…영업이익률 상승 기업 34개사 불과 소수 기업이 평균 끌어올려…바이오 기업 강세 영향
[상장제약기업 2021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바이오 기업들이 높은 영업이익을 보여주는 가운데 SK바이오사이언스가 매출의 절반 이상을 이익으로 남긴 것으로 조사됐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지난해 1000원 어치를 팔아 132원을 남기는 장사를 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20원 가량 늘어난 금액으로, 특히 대형 바이오 기업이 이러한 성장세를 이끌었다. 메디파나뉴스가 89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1년도 연결기준 실적을 통해 분석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달성한 총매출은 28조6754억 원으로 전기 25조2838억 원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6 06:04
진양제약, 이례적 성장률-최대 실적 달성…전성기 개시 예고
지난해 별도매출 628억, 증가율 26.9% 기록…지난 20년 중 가장 높아 2009년 후 지속된 매출 정체와 대조적…기타·상품 부문매출 증가 주효 매출 급증에 영업익 70억, 전년비 63.4%↑…2년 연속 영업흑자 이례적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진양제약이 지난 수십년 간 없던 이례적인 성장률을 달성하면서 전성기 시작을 예고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진양제약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628억원으로 전년 495억원 대비 26.9%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 증가율은 2001년 이후 지난 20년 간 기록 중에서 가장 높다. 진양제약은 2002년 매출액 250억원으로 전년 203억원 대비 23.5% 증가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가파른 성장을 이뤄낸 바 있다. 2009년에도 전년 매출액 423억원보다 19.2% 늘어난 504억원을 거뒀지만, 이전 기록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후 2020년까지는 매출 증감이 반복됐고, 매출 증가율은 1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2.03.15 06:09
89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 지난해 매출 28.7조, 13.4%↑
고성장 행진 지속…평균 영업이익 33.2%·당기순이익 45.8% 증가 상위사 대부분 매출 확대 성공…바이오기업 강세 여전
[상장제약기업 2021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88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 기준 2021년도 실적(일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은 평균 13.4% 증가한 28조6754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3조7780억 원으로 33.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5.8% 증가한 2조7866억 원을 기록하면서 매출액보다 더 큰 폭으로 늘었다. 89개사 중 매출이 늘어난 기업은 74개, 줄어든 기업은 15개로 대부분의 기업이 매출을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5 06:08
이연제약, R&D도 급증…공장 증축 등 경영승계 후 변화 지속
지난해 연구개발비 100억, 전년비 49%↑…최근 10년 투자와 대조적 오너 2세 유용환 사장 취임 후 본사이전, 공장증축, 계약확대 등 급변 연구개발비 급증도 일환…오픈이노베이션 통해 연구과제 12개로 늘려 단 대다수는 비임상단계…최대 매출액 경신 불구 영업이익 부진 여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이연제약이 연구개발(R&D) 규모를 100억대로 늘리면서 그간 이뤄진 투자 방식에 변화를 줬다. 경영승계 이후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연제약 별도재무제표 기준 연구개발비는 100억원으로 전년 67억원 대비 48.7% 증가했다. 이연제약이 연구개발에 연간 100억원을 투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10년간 연구개발비를 살펴보면 60억원 내외에서 증감을 반복했다. 2017년과 2019년에는 30억원대로 낮아지기까지 했다. 이를 고려하면 지난해 1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한 것은 다소 의미있는 변화다. 연구개발 투자 확대는 오너 2세인 유용환 대표이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2.03.15 06:06
상장제약사, 사외이사 연봉 평균 2,900만원 ‥ 삼바 8,900만원 `최다`
74개사 평균 2명꼴 170명 선임…셀트리온 7,200만원, 유한양행 6,300만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지난해 사외이사들에게 월 평균 240만원 가량의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4개 상장제약사(지주사와 일부 바이오기업 포함)를 대상으로 `2021년도 사외이사 연간 보수 현황`을 집계한 결과, 업체당 연간 평균 2,900만원을 지급해 전년도에 비해 7.2% 가량 증가했다. 이는 2020년(77개사) 2,700만원, 2018년(80개사 기준) 2,500만원, 2017년(77개사 기준) 2,600만원, 2016년(73개사 기준) 2,490만원, 2015년(47개사 기준) 2,750만원, 2014년(57개사 기준) 2,640만원, 2013년(45개사 기준) 2,3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2.03.14 12:00
상장제약 현금배당, 이장한(종근당) 35억 `최다`‥윤성태(휴온스) 29억
허일섭(GC), 조동훈(하나), 류기성(경동), 정상수(파마리서치) 20억대 이경하(JW), 권기범(동국), 송영숙(한미) 順…5억원 이상 오너家 20명
상장제약기업 오너 경영인들 가운데 2021년도 결산 배당에서 종근당그룹 이장한 회장이 전기에 이어 이번에도 가장 많은 현금배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동아제약그룹 강정석 회장, 휴온스그룹 윤성태 부회장, GC녹십자그룹 허일섭 회장, 하나제약 조동훈 부사장, 경동제약 류기성 부회장,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정상수 회장, JW그룹 이경하 회장, 동국제약 권기범 회장,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 강덕영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사장 순이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사 중 2021년도 결산배당을 공시한 기업(지주사 포함)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5억원 이상의 현금배당(보통주 기준)을 받는 오너(재직 · 2~3세 포함)는 모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2.03.14 06:08
알리코제약, R&D·시설 투자 1년 새 급증…오너 경영 후 주목
지난해 별도기준 연구개발비 86억, 전년비 105%↑…증가 폭 ‘뚜렷’ 지난 2월엔 100억 전환사채 발행…공장 증축, 기계장치 도입 추진 지난해 오너 이항구 단독 경영 개시 후 급변…영업이익 2년 감소세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알리코제약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 오너 경영 체제가 본격화된 이후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알리코제약 별도재무제표 기준 연구개발비는 86억원으로 전년 42억원 대비 104.6% 증가했다. 알리코제약은 지난 수년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꾸준히 늘려왔지만, 한 해 만에 2배 이상으로 늘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알리코제약 연구개발비는 2016년 14억원에서 2018년 20억원으로 소폭 늘었다가, 2019년 33억원, 2020년 42억원으로 최근 3년 새 증가 폭이 커졌다. 알리코제약은 지난해까지도 연이어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유바이오로직스, 전세계 유일 콜레라 백신 공급…고성장 전망
2
제약·바이오주 훈풍에 외국인도 웃었다…투자규모 8.7% 'UP'
3
제약업종도 성장세 전환…시총 규모 7.6% 확대
4
광동제약, 비엘헬스케어 최대주주 오른다…지분 58.74% 매수 나서
5
통합협회로 일원화 한 체외진단기기 업계…"IVDR 적극 대응"
6
TPN 경쟁 확대 속 HK이노엔 '오마프플러스원' 차별화 노린다
7
진원생명과학, 증권신고서 제출만 5회째…자금 조달은 언제쯤?
8
"의대정원 확대, '0'에서 시작 불가…'정책 패키지' 의지 명확"
9
GLP-1서 또 실패 맛본 화이자 "1일 2회 경구제제 연구개발 중단"
10
3차병원조차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항생제 스튜어드십'은 어디에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