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5.03.27 12:04
제약기업 9개 지주사들, 성장-수익성 소폭 증가세‥희비 교차
종속회사들의 실적에 따라 울고 웃는 제약기업 지주사들은 지난해 평균 성장성과 수익성 모두 소폭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기업에 따라 희비가 교차됐다. 메디파나뉴스가 9개 제약기업 상장 지주사들이 최근 공시한 2024년도 감사보고서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영업수익)은 평균 6.0%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6.5%, 당기순이익은 23.1% 급감한 성적표를 내놓았다. 지주사에게 영업수익으로 인식되는 매출은 JW홀딩스와 제일파마홀딩스 등 2개사를 제외하고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동아쏘시오홀딩스가 17.8% 성장하면서 유일하게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수익성 부문에서는 7.1% 성장한 2조2,048억 매출의 1위 기업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3.27 11:59
제약·바이오기업들 현금성 자산 줄었다…업체별 변화 눈길
84곳 현금성 자산 7조8844억, 전년比 1.84%↓ 현금성 자산 늘거나 감소한 업체, 42곳으로 같아 셀트리온, 현금성 자산 증가 폭 가장 큰 업체 삼성바이오로직스 현금성 자산, 45% 넘게 줄어 보령 현금성 자산, 9.5배 이상↑…유상증자 영향 현대바이오, 기업 지분 인수로 현금성 자산 감소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⑨현금성 자산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지난해 현금성 자산 합계가 전년 대비 소폭 줄었다. 현금성 자산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기업 비율은 50%로 같았으며, 셀트리온은 지난해 현금성 자산 증가 폭이 가장 큰 기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령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지난해 현금성 자산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같은 기간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다른 기업 지분을 인수하는 데 보유 자금을 활용해, 현금성 자산 감소율이 가장 컸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mi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5.03.26 05:58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총 자산 84조…부채 비율 0.93% ↑
조단위 매출 9개사, 평균 부채비율 29%…재무 건전성 '양호' 매출 2000억~5000억 기업, 부채비율 4.8%p 상승…중견기업 부담 가중 진양제약·SK바사·한국유니온제약 등 3개사, 부채비율 20%p 이상 증가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상장사들의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이 전년 대비 소폭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 규모 기업군에서 부채비율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25일 메디파나뉴스가 주요 제약·바이오 상장사 91개사의 2023~2024년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부채비율은 2023년 31.43%에서 2024년 32.36%로 0.93%p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자본 총계가 평균 6.76% 증가한 반면, 부채 총계는 이보다 높은 11.41% 증가하면서, 외부 차입 의존도가 높아졌기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5.03.25 05:58
제약바이오 직원 연봉 6634만원‥동아H·종근당H 1.3억 '최다'
[95개 상장사 집계] 男 7346만원, 女 5294만원…2천만원 이상 격차 6만102명에 남성 3만9,324명, 여성 2만778명 근무‥ 6.5 : 3.5 비율 근속연수 평균 6.7년…남자 7.2년, 여자 5.8년, 남녀간 1.9년 차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⑦직원연봉 상장제약바이오기업 직원들은 지난해 평균 6,634만원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남녀직원들의 연봉은 2천만원 이상 격차를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주요 95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지주사 포함)의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2024년도 직원 연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직원은 6만102명에 남성 3만9,324명, 여성 2만778명이 근무하고 있어 6.5 : 3.5 비율을 보였다. 근속연수는 평균 6.07년에 남자가 7.02년, 여자가 5.08년을 근무해 남녀간 1.09년의 근속연수 차이를 보였다. 남성들의 평균 연봉은 7,346만원이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5.03.24 05:58
국내 제약·바이오 연구개발비 'TOP10' 지난해 2조원 투자
상장사 96곳 총 연구개발비용 3조6229억원…비율은 9.4% 기록 셀트리온 포함 연구개발비 상위 10개사가 전체 연구개발비 중 62.8% 차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1위는 에이비엘바이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연구개발비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연구개발비가 상위사를 중심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상위 10개사 총 연구개발비는 지난해 2조원대에 진입했다. 1위를 유지 중인 셀트리온은 한 해에만 4000억원을 연구개발 사업에 쏟아부었다. 24일 메디파나뉴스가 96개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연결·별도 재무제표 기준 2024년도 사업보고서를 분석해 연구개발비용 및 매출 대비 비율 증감 현황을 집계한 결과, 96개사의 총 연구개발비용은 3조6229억원으로 전년도 3조4708억원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3.22 05:59
제약·바이오 '영업활동 현금흐름' 확대…4곳 中 3곳 현금 모아
49곳, 2023년에 이어 지난해까지 영업활동서 현금 유입 주요 제약·바이오, 당기순이익 등 변화로 현금 유입 기여 SK바이오팜 등 14곳, 2023년 현금 유출서 유입으로 변화 당기순손실 등 여러 요인에 따라 현금 유출 나타나기도 2023년과 지난해 영업활동 현금 유출이 이어진 기업 있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영업활동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지난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전년과 비교해 12%가량 늘었다. 84개 업체 중 63곳은 영업활동 현금흐름 유입이 나타났으며, 영업활동 현금흐름 유입이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어진 업체는 49곳이었다. 아울러 SK바이오팜 등 14개 업체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2023년 유출에서 지난해 유입으로 변하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영업활동 현금흐름 확대에 기여했다. 반면, 2023년에 이어 지난해까지 영업활동 현금흐름 유출이 이어진 기업도 있다.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3.21 11:59
제약·바이오 78개사 판관비율 1.11%p↑…업체 절반은 증가
지난해 78곳 판관비 10조6537억, 전년比 16.52% 늘어 매출 12.33% 증가했으나, 판관비 대비 증가 폭 낮아 SK바이오팜, 지난해 판관비율 감소 폭이 가장 큰 업체 업체 27곳, 판관비율 30% 이하…구간별 비중 가장 높아 판관비율 커질수록 업체 수 줄어…60% 초과 기업, 5곳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 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78곳 판매·관리비율이 전년 대비 소폭 늘었다. 매출액이 두 자릿수 이상 늘었으나, 판매·관리비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아울러 판관비율이 감소한 기업과 증가한 업체 수는 39곳으로 같았다. 구간별로 구분 시, 판관비율이 30% 이하인 업체 비중이 높았고 60%를 초과한 업체 수가 가장 적었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78곳 판매·관리비(연결&middo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5.03.21 05:59
삼바 존림, 연봉 79억 '최다'‥삼진 최승주-조의환, 퇴직금 217억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43.7억, 삼바 김태한 고문 33억, 엑세스 최영호 대표 28.8억 順 토종기업 중 종근당 이장한 회장 19억‥유나이티드 강덕영 대표, GC 허일섭 회장 순
상장 제약·바이오-의료기기-진단 기업, 5억 이상 개인별 보수현황 집계 삼성바이오로직스 전문경영인 존림 대표가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의료기기-진단 분야 기업 경영·임원진 중 지난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아 연봉킹에 올랐다. 이어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삼성바이오로직스 김태한 고문, 23년도 최다 연봉을 받았던 엑세스바이오 최영호 대표 순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20일까지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개인별 보수현황'을 집계한 결과, 삼바 존림 대표가 63억원 규모의 성과연계인센티브 등과 급여 13.8억원을 포함해 총 79억원을 받았다. 이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3.20 11:56
5대 제약사, 해외 매출 1조 시대 실현…업체·품목별 변화 눈길
지난해 해외 매출, 1조2585억…2015년 이후 두 번째로 1조↑ 레이저티닙 미국 FDA 승인 등 성과, 해외 매출 확대에 영향 제약사 5곳 '해외 매출', 증가 흐름…대웅제약·GC녹십자 견인 한미약품, 2023년에 2019년 실적 회복…종근당 실적 증가세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기술 이전 성과에 따라 실적 증감 확인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연결·별도 매출액 기준) 지난해 해외 매출액 합계가 10년 만에 재차 1조원을 넘어섰다. 업체별로 해외 매출액 확대에 기여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개별 품목은 기업별 해외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5개 국내 업체 지난해 해외 매출액 합계는 1조258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기술 이전 계약금, 마일스톤을 포함한 금액으로, 전년 9574억원 대비 약 31.5%(3012억원) 증가한 규모다. 국내 제약사 5곳 해외 매출액 합계가 1조원을 상회한 건 이번이 두 번째다. 2015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5.03.20 05:59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매출원가율 56.5%…47곳 전년比↑
91개사 지난해 매출원가율 56.53%, 전년比 0.08%p ↓ 47개사 매출원가율 증가…기업 중 절반 이상이 매출원가가 매출 절반 상회 SK바이오팜, 7.87%로 유일한 한자리수 매출원가율…휴젤·파마리서치 등 뒤이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매출원가율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다만, 매출원가율이 증가한 업체 수가 감소한 곳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되며, 업계에 매출원가 부담이 지난해보다 커진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지난해 사업보고서 연결·개별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매출원가는 21조2391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총 매출액은 37조5710억원으로 평균 매출원가율은 56.53%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매출원가율 56.61% 대비 0.0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5.03.19 11:59
제약바이오 기업 시가배당률, 1위는 안국약품 6.6%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현금·현물배당결정' 공시 기준 집계 시가배당률 높을수록 배당 통한 수익률 높아…다른 요소 함께 살펴야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올해 시가배당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안국약품으로 확인됐다. 메디파나뉴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공시한 현금·현물배당결정 보고서를 바탕으로, 보통주 배당금과 시가배당률을 집계했다. 그 결과, 코스닥 기업인 안국약품이 6.6%로 가장 높은 시가배당률을 기록했다.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배당금/배당기준일 주가 혹은 배당기준일 2거래일 전 일주일간 시장에서 형성된 종가의 산술평균가격x100)로, 투자자가 배당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뜻한다. 즉, 시가배당률이 높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3.19 05:59
제약·바이오, 수익성 소폭↓…89개 업체 中 39곳 영업이익률↑
89개 업체 지난해 영업이익률, 8.95%…전년比 약 1%↓ 지난해 매출, 대폭 증가…영업익 증가 폭, 0.44%에 그쳐 부광약품, SK바이오팜 등 39개 기업, 영업이익률 증가 영업이익률 0% 이상 10% 미만 구간에 46개 업체 분포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 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89개 업체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1%가량 줄었다. 매출액이 영업이익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증가한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감소한 기업 보다 적었고, 89개 기업 중 절반이 넘는 업체는 영업이익률 0% 이상 10% 미만 구간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메디파나뉴스가 집계한 상장 제약·바이오 89개 업체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8.95%다. 이는 전년 영업이익률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5.03.18 11:59
"불참은 했어도 반대는 없었다" 제약기업 사외이사 연봉은?
86개 상장사 집계, 지난해 1인당 평균 3,496만원‥전기比 7.3% 증가 전체 226명, 기업당 3명꼴…32개사 3명, 22개사 2명, 16개사 1명 SK바사 1억600만원 '최다'‥삼바 1억300만원, 셀트리온 8,400만원 順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지난해 사외이사들에게 월 평균 291만원 가량의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86개 상장제약사(지주사와 일부 바이오기업 포함)를 대상으로 '2024년도 사외이사 연간 보수 현황`을 집계한 결과, 업체당 연간 평균 3,496만원을 지급해 전년도에 비해 7.3% 가량 늘어났다. 이는 2023년(86개사) 3,259만원, 2022년(83개사) 3,132만원, 2021년(77개사) 2,927만원, 2020년(77개사) 2,700만원, 2018년(80개사 기준) 2,500만원, 2017년(77개사 기준) 2,600만원, 2016년(73개사 기준) 2,490만원, 2015년(47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5.03.18 05:59
93개 상장 제약·바이오, 지난해 매출 37조6281억원…11% ↑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社, 지난해 매출 11.39% 성장…빈익빈 부익부 심화 삼성바이오·셀트리온 등 상위 10개社, 전체 매출의 절반 차지 영업이익 감소 기업 증가…적자 지속 및 흑자전환 기업 명암 엇갈려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 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매출이 지난해 두자릿 수 외형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매출 기준 상위기업과 하위기업이 빈익빈 부익부의 모습을 보였으며, 하위기업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17일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93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 실적을 집계한 결과, 이들의 매출 총합은 37조628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3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3조3170억원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으며, 당기순이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5.03.17 05:59
상장 제약바이오사 배당성향, 1위는 국전약품 619.9%
동화약품·대화제약·동구바이오제약·경동제약 등 100% 초과 배당성향 한독·동아에스티·알리코제약·녹십자·삼천당제약·현대약품 등은 적자에도 배당 배당성향, 높으면 주주환원형·낮으면 성장지향형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제약·바이오 기업 중 올해 가장 높은 배당성향을 기록한 기업은 국전약품으로 확인됐다. 메디파나뉴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15일까지 공시된 제약·바이오 기업의 현금 배당총액과 2024년 당기순이익을 집계해 배당성향(배당금 총액/순이익x100)을 계산했다. 그 결과, 코스닥 기업인 국전약품이 619.9%로 가장 높은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배당지급률 또는 사외분배율이라고도 부르는 배당성향은 기업이 영업 등을 통해 벌어들인 순수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뜻한다.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은 순이익의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5.03.12 05:59
상장제약사 배당, 정상수(파마리서치) 39억 · 이장한(종근당) 38억
허일섭(GC) 29억, 강정석(동아) 26억, 어진(안국)-이경하(JW) 24억 順 3억원 이상 현금배당 받는 오너 경영인(2~3세 포함) 모두 40명
국내 토종 상장제약기업 오너 경영인들 가운데 2024년도 실적에 따른 결산 배당에서 파마리서치 정상수 회장이 가장 많은 현금배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종근당그룹 이장한 회장, GC그룹 허일섭 회장, 동아쏘시오그룹 강정석 회장, 안국약품 어진 부회장, 삼아제약 허준 회장, JW그룹 이경하 회장, 하나제약 조동훈 부사장, 일성아이에스 윤석근 회장,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분쟁과정에서 개인 최대주주로 부상한 신동국 기타비상무이사(한양정밀 회장),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강덕영 사장, 동국제약 권기범 회장 순이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사 중 2024년도 결산배당을 공시한 기업(지주사 포함)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3억원 이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5.03.10 05:59
69개 상장 제약바이오, 지난해 외형성장 실현…수익성 소폭↑
삼성바이오·셀트리온 매출 견인…집계 대상 기업 중 2/3가 전년 대비 외형 성장 기록 SK바이오팜·종근당바이오·경동제약 등 흑자 전환 성공…일부 기업은 적자 지속돼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사들이 지난해 외형 성장세를 이어간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 면에서는 기업별로 엇갈린 실적을 기록했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7일까지 2024년도 잠정실적을 공시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69개 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의 지난해 매출 합계는 33조821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06%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40%, 3.96% 증가하는 데 그쳐 수익성 개선에는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최대 매출을 기록한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지난해 전년 대비 23.08% 성장한 4조547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
경영실적분석
장봄이 기자
25.02.18 05:58
휴온스, 수출감소에도 내수ETC 성장세…올 매출 6560억 목표
지난해 매출 7% 증가한 5902억원 기록 2020년 3662억에서 4년새 61% 상승, 외형 성장세 지속 ETC 및 뷰티·CMO 등 전 부문 일제히 증가세 이어가 내년 10% 성장 제시…주사제 美 추가 승인 및 2공장 가동 기대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휴온스가 지난해 주사제 등 전문의약품(ETC)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내수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면서 외형 확대를 지속했다. 수탁(CMO) 사업부문도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휴온스는 올해 수출 규모를 확대하면서 매출 6560억원을 넘어서겠다는 목표다. 17일 회사 및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휴온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5902억원, 영업이익 39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7% 증가, 28.7% 감소한 것이다. 당기순이익도 34.2% 감소한 3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1466억원이었고, 영업이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5.02.14 05:59
국내 제약·바이오社, 잇단 결산 배당 결정…주주환원 정책 강화
28개 기업 중 10곳 배당 확대, 6곳 축소…13일 기준, 28개사 총액 3247억원 기록 1주당 배당금 최대 GC녹십자 1500원…시가배당률은 JW중외제약 4.4%로 1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잇따라 결산 배당을 공시하며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지난해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배당 성향을 확대하며 주주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지주사를 포함해 13일까지 공시한 28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보통주 기준 결산 현금배당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배당금 총액은 3247억원으로 2023년도 2603억원 대비 24.7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셀트리온이 전년도 1036억원 대비 48.43% 증가한 1538억원을 현금배당하며 배당금총액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1.31 11:59
경보제약, 영업이익률 2020년 수준 회복…완제 등 매출액↑
지난해 영업이익률 4.4% 기록…전년 2.6% 대비 1.8%p 증가 영업이익률 4%대, 2020년 이후 4년만…2021년엔 영업손실 영업익 증가율, 영업이익률↑견인…매출액 증가율보다 높아 2023년 매출액 증가분, 매출원가 및 판관비 증가분 대비 커 '멕시제식주' 등 완제의약품, 경보제약 매출액 확대 기여 중 완제의약품 매출액 비중 늘어…지난해 3분기에 40% 육박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이 4년 만에 4%대로 올라섰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영업이익률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최근 매출액 증가분은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증가분보다 컸으며, 완제의약품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은 개별 재무제표(잠정 실적) 기준으로 4.4%다. 이는 전년 2.6% 대비 1.8%p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이 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회사는 2022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 후 2023년에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1.9%p 증가한 바 있다. 또한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내사 울고 외자사 웃고"…CRO 기업 작년 실적 희비
2
원료의약품 업체 절반은 수익성 개선…8개사 영업익 대폭↑
3
의대생·전공의 복귀 여부, ‘박단’ 아닌 ‘조직’에 촉각 기운다
4
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감량효과 확인
5
내년 의대 증원 '동결' 됐지만…의정갈등은 '현재진행형'
6
원료약 생산업체 매출 '부익부 빈익빈'…영업익도 영향받아
7
민병욱 병원장 "중증 환자 특화 상급종합병원 위상 높일 것"
8
"전이성 신세포암 치료서 국내도 최신 가이드라인 적용해야"
9
급여문턱 높은 안과 신약…환자·학계 요구에 정부 '화답'
10
의약품유통업, 영업이익률·순이익률 여전히 1%대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