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4.03.08 11:40
상장제약기업들, '조촐한 배당잔치' 예고‥전년比 5% 감소
53개사 집계…배당금 총액 22개사 늘리고, 13개사 줄이고, 18개사 전년 수준 유지 시가배당률, 경동 5.9% '최고'‥일성 5.8%, 삼아 4.5%, JW생과 3.8%, 삼진 3.7%
상장제약기업들이 본격적인 주총시즌을 앞두고 공시한 2023년도 실적에 대한 결산 현금배당을 보니 전년도에 비해 소폭 감소하는 '조촐한 배당'을 예고됐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7일까지 공시한 53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지주사 포함)의 보통주 기준 결산(현금)배당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배당금 총액은 287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3024억원에 비해 5.0% 감소한 금액이다. 이같은 감소폭은 지난해 일성신약이 시가배당율 22.2%라는 주당 2만원의 파격적인 배당을 결정하면서 전체 평균을 끌어 올려 놓은 기저현상 때문이다. 일성신약의 전기 배당금 총액은 296억여원이나 이번에는 주당 1500원(시가배당율 5.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4.03.08 06:05
성장동력 확대해가는 삼일제약, 수익성 대폭 개선 성공
별도 매출 1963억 원·영업이익 114억 원…영업이익률 5.8%로 2.3%p 개선 2021년 악화 영향 완전히 회복...추가 성장동력으로 지속 개선 기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삼일제약이 지난해 수익성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에 따르면 삼일제약의 지난해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19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 여기에 영업이익은 83.7% 증가한 114억 원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5.8%로 조사됐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년도인 2022년보다 2.3%p 개선된 수치다. 삼일제약의 영업이익률은 2019년 4.1%에서 2020년 5.5%로 늘었으나 2021년 영업이익이 대폭 줄어들면서 0.7%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듬해인 2022년 3.5%까지 끌어올렸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4.03.07 12:19
제약업계, 15일부터 '주총시즌' 개막‥22·28일 절반이상 몰려 '주총데이'
57개사 일정 집계… 28일 16곳, 22일 15곳, 26일 7곳, 25·29일 각 6곳, 27일 5곳 順
12월말 결산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정기주주총회가 오는 15일(금) 대표적 제약-바이오기업인 유한양행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2개사를 필두로 본격적인 `주총시즌`을 맞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기업들은 코로나19 감염 예방 및 차단을 위해 현장 참석보다는 전자투표와 위임장을 활용한 의결권 행사 권장과 마스크 착용, 발열 체크 등을 통해 이상 증세 주주의 참석을 제한했으나 코로나 일상 회복 팬데믹 이후 첫 진행되는 이번 정기 주총에서는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4)의 적극적인 활용만을 알렸다.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중 지난 7일까지 정기주총 일정을 공시한 57개사(제약지주사와 바이오사 일부 포함)를 대상으로 일정을 집계한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4.03.04 06:09
66개 상장제약사 잠정실적 보니?‥ 수익성 확보에 전반적 어려움
매출 평균 6.2% 성장에 영업이익 8.4% 늘고, 순이익 4.1% 감소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은 지난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달 29일까지 2023년도 잠정실적을 공시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66개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은 평균 6.2% 성장에 영업이익은 8.4% 늘어났으나 당기순이익은 4.1% 감소했다. 매출 부문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전기대비 23.1% 성장한 3조 6945억 원으로 1위를 지켰다. 1-3공장의 안정적인 Operation 및 4공장의 성공적인 Ramp-up, 연결 자회사는 편입 후 온기 반영에 따른 실적 개선을 가져왔다는 설명이다. 이어 셀트리온이 4.7% 감소한 2조 1764억 매출을, 유한양행 4.7% 성장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4.02.27 11:39
3년만에 2000억 원대 회복한 경보제약, 수익성 대폭 개선 성공
지난해 매출 2164억 원…2020년 이후 3년만에 2000억 원대 달성 영업이익 55억 원·298.1% 증가…전년 대비 영업이익률 1.9%p 개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경보제약이 2020년 이후 3년만에 2000억 원대의 매출을 회복했다. 여기에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큰 폭으로 개선돼 안정세를 되찾은 것으로 보인다. 경보제약이 지난 26일 공시한 주주총회소집공고에 따르면 지난해 경보제약의 매출은 2164억 원으로 2022년 1963억 원 대비 10.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보제약의 매출은 지난 2020년 2153억 원을 기록했으나, 이듬해인 2021년 1707억 원으로 줄었다. 이후 2022년 1963억 원으로 상당부분 회복됐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수준을 되찾지 못했는데, 지난해 다시 한 번 성장세를 보이면서 2020년 매출을 넘어선 것이다. 매출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4.02.21 12:00
제약기업 지주사들, 잠정실적 보니?‥성장·수익성 모두 증가세
[9개사 평균 집계] 매출 5.5%, 영업이익 23.2%, 당기순이익 124.5% 급증
종속회사들의 실적에 따라 울고 웃는 제약기업 지주사들은 지난해 평균 성장성과 수익성 모두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개 제약기업 상장 지주사들이 최근 공시한 2023년도 잠정실적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영업수익)은 평균 5.5%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23.2%, 당기순이익은 124.5% 급증한 성적표를 내놓았다. 지주사에게 영업수익으로 인식되는 매출은 녹십자홀딩스(GC), 종근당홀딩스, 일동홀딩스 등 3개사를 제외하고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휴온스글로벌 14.2%, 한미사이언스와 동아쏘시오홀딩스가 12%와 11.5% 등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수익성 부문에서는 녹십자홀딩스가 종속회사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4.02.19 06:07
이상준 체제 4년차 현대약품, 올해 매출 2000억 원 가시화
지난해 매출 1800억 원 달성…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 단독 대표 전환 이후 빠른 성장세…영업이익 규모 '업그레이드'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현대약품이 이상준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한지 4년차인 올해 매출 2000억 원대 진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현대약품의 지난해 매출액은 1808억 원으로 2022년 1627억 원 대비 11.1% 증가했다. 2022년 실적의 경우 2021년 대비 16.4% 증가한 수치였는데, 이보다 증가폭이 둔화되기는 했지만 2년 연속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달성한 것이다. 이 같은 성장세는 이상준 단독 대표이사 전환 시기와 맞물려있어 주목된다. 오너 3세인 이상준 대표는 지난 2021년 1월부터 단독 대표에 올랐으며, 그해 139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뛰어넘었다. 여기에 단독 대표 2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4.02.07 06:04
성장 이어가는 5대 제약사, 2023년 영업실적 '순풍'
전체 매출액 8조212억 원·5.7% 증가…이익 규모 '두 자릿수' 확대 역성장 GC녹십자-고공행진 종근당 순위 역전…평균 영업이익률 2.2%p 개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우리나라 상위 5대 제약사의 지난해 영업실적이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단, GC녹십자의 경우 5개사 중 유일하게 매출이 줄어들었고, 이에 매출 2위 자리를 종근당에게 내주고 말았다. 메디파나뉴스가 유한양행과 종근당, GC녹십자, 한미약품, 대웅제약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3년 잠정 영업실적을 집계한 결과 5개사의 전체 매출액은 8조212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인 2022년 7조5871억 원 대비 5.7% 성장한 수치다. 여기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증가폭은 각각 41.6%, 61.6% 증가한 6811억 원, 6151억 원으로 두 자릿수 확대됐다. 개별 기업으로도 5개사 중 4개사의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23 06:07
모처럼 개선된 제약·바이오기업 부채비율, ’50%대’ 진입
92개사 평균 59.1%·3.1%p↓…39개사 줄고 52개사 늘어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외 시 1.9%p 증가…에스텍파마·화일약품·일성신약 ’10% 미만’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3분기 누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높아져만 가던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모처럼 하락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규모가 큰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제외하면 여전히 증가추세를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3년도 3분기 누계 부채비율 현황(연결재무제표 기준)' 자료에 따르면 이들의 전체 자본 총계는 39조9689억 원, 부채 총계는 23조6193억 원이었으며,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59.1%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62.2%와 비교했을 때 3.1%p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22 06:07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판관비 지출 커졌다…평균 판관비율 0.9%p↑
91개사 평균 30.2%…전체 판관비 7조4728억 원·10.4% 늘어 36개사 개선되고 52개사는 악화…SK바이오팜, 개선폭 가장 크지만 세 자릿수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3분기 누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 3분기까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판매비 및 관리비 규모가 두 자릿수 증가하면서 판매관리비율도 함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2023년도 3분기 누계 판매관리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3분기까지 올린 총 매출 24조7393억 원 중 판매관리비로 7조4728억 원을 지출, 평균 판매관리비율은 30.2%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29.3%와 비교했을 때 0.9%p 높아진 수치다. 총 매출액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21 06:07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영업활동 현금흐름 '사실상 악화'
92개사 총 1조9868억 원·10.0%↑…개선 기업 34개사 뿐 셀트리온, 유입전환되며 평균 끌어올려…1000억 원 이상 유입 5개사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3분기 누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 3분기까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현금흐름이 개선된 기업은 많지 않아 사실상 악화된 분위기다. 특히 지난해 현금유입 규모가 1000억 원 이상 늘어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제외하면 현금흐름은 큰 폭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3년도 3분기 누계 현금흐름표(연결재무제표 기준) 가운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Cash Fro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20 06:09
개선 지속되는 매출원가비율, 3분기에도 '양호'
91개사 평균 56.4%·0.5%p↓…52개사 줄고 38개사 늘어 SK바이오팜 한자릿수 유지…그린생명과학·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세 자릿수'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3분기 누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제약기업의 수익성에 직결되는 매출원가비율이 지난해 다소 악화된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에는 3분기까지 계속해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3년도 3분기 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매출원가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매출 24조7393억 원 중 매출원가가 13조9481억 원을 차지해 56.4%의 매출원가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6.9%와 비교했을 때 0.5%p 낮아진 것으로, 매출이 6.9% 증가하는 동안 매출원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16 06:06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수익성 '빨간불'…영업이익률 악화 지속
92개사 평균 10.4%·0.4%p↓…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제외 시 5.8% 60개 기업 '수익성 악화'…파마리서치·셀트리온·휴젤 30%대 기록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3분기 누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 3분기까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매출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영업이익 성장률은 더욱 침체된 모습을 보이면서 수익성에 악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2023년도 3분기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분기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영업익률 현황에 따르면 3분기까지 올린 매출 24조7968억 원 중 2조5711억 원의 영업이익을 남겨 평균 10.4%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8%와 비교했을 때 0.4%p 떨어진 수치다. 특히 영업실적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15 06:09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외형 성장했지만 수익성 악화 이어져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3분기 누계 매출 24조7968억 원·6.9% 증가…영업이익 2.6%↑·순이익 4.8%↓ 절반 이상 기업서 영업이익 감소…삼바·셀트리온 제외 시 8.8% 줄어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에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외형 성장이 계속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수익성은 사실상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3년도 3분기 누계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은 평균 6.9% 증가한 24조7968억 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2조5711억 원, 당기순이익은 4.8% 감소한 1조9204억 원이었다. 90개사 중 매출이 늘어난 기업은 72개사, 감소한 기업이 20개사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14 06:05
CNS 강자 환인제약, 해열진통제 순풍에 매출 '고속 성장'
3분기 누적 매출 1705억 원·19.5%↑…올해 2000억 원 돌파 전망 해열소염진통제 매출 212% 증가…매출 증가분 30% 차지 정신신경용제 부문 두 자릿수 성장…매출 확대 위한 다각화 이어져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중추신경계(CNS) 의약품 시장에서 강자로 자리잡고 있는 환인제약이 CNS 계열 외에도 해열진통제 부문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매출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환인제약이 지난 13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별도재무제표 기준 누적 매출액은 1705억 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9.5%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환인제약은 1943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바 있는데, 이 같은 성장세가 4분기에도 이어지게 되면 올해에는 23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목되는 점은 주력 부문인 CNS 계열 외에도 해열소염진통제 부분에서도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13 06:06
연매출 2000억 원 바라보는 대한뉴팜, 연구개발 투자 확대
3분기 누계 매출 1536억 원…1000억 원대 진입 7년만에 '두 배' 가시화 연구개발비용 70억 원…R&D 투자 확대에 영업이익 소폭 악화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 상반기 매출 1000억 원을 기록한 대한뉴팜이 3분기에도 성장세를 지속, 무난하게 연매출 2000억 원 고지에 안착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대한뉴팜이 지난 10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15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1479억 원 대비 3.9%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경우 대한뉴팜의 올해 매출은 205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대한뉴팜의 연매출을 살펴보면 지난 2016년 1094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억 원대 매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1.09 06:07
상승세 이어가는 JW중외제약, 별도 매출 7000억 원 가시화
6000억 원대 진입 2년만의 성과…고른 성장에 매출 성장 탄력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빠른 속도로 수익성 개선 성공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JW중외제약이 올해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 7000억 원대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JW중외제약은 지난 8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까지 누계 매출액이 53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91.2% 증가한 710억 원에 달했고, 당기순이익은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이 영업외 비용으로 반영된 결과 28.5% 감소한 159억 원으로 집계됐다. JW중외제약의 매출은 지난 2017년 5000억 원대에 진입한 이후 2020년까지 4년간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2021년 6018억 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6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3.11.06 06:09
제약·바이오업계, 3분기도 매출 성장 지속…'호실적' 기록
17개사 중 12개사 증가…6개사는 두 자릿수 확대 영업익도 12곳 증가 등 호조…순이익은 다소 저조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3분기에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외형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3일까지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제약사 중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곳은 17개사(연결 7개사, 별도 10개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매출이 늘어난 곳은 12개사, 줄어든 곳은 5개사로 대부분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보령, 환인제약, 에스티팜, 경보제약, 한올바이오파마는 두자릿수 이상 매출이 증가했고, 이보다는 작지만 유한양행, 종근당,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종근당바이오 등도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백신 매출 감소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경영실적분석
정윤식 기자
23.11.01 06:09
유한양행, 3분기 매출 4688억원…'렉라자 허가·후보 물질 L/O' 기대감
전년 동기 대비 10.5% 상승 수치…R&D 비용 433억원 라이선스 수익 급감에 영업이익 위축…마일스톤 분할인식 사유 2024년 렉라자 FDA 허가 승인 계획…향후 실적 개선 노력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유한양행의 2023년 3분기 매출액이 지난 분기 대비 –2.7%인 4688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향후 렉라자의 FDA 허가 승인과 신약 후보 물질 L/O 가능성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유한양행의 3분기 매출액은 별도 기준 4688억원이며 이는 지난 분기 대비 –2.7%, 전년 동기 대비 10.5% 상승한 수치다. 그 세부 사항으로 3분기 ▲라이선스 수익은 5억원으로 지난 분기 대비 –63.7%, 전년 동기 대비 –83.9% ▲매출원가는 3302억원으로 지난 분기 대비 –3.7%, 전년 동기 대비 7.6% 상승 ▲광고선전비는 26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10.31 06:06
HK이노엔, 케이캡·수액 강세에 3분기에도 성장가도 질주
매출액 2156억 원·8.8% 증가…케이캡 처방실적 20.5% 늘어 수액 부문, 신제품·신공장 가동으로 매출 확대…MSD 백신, 기저효과로 28.3% 성장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HK이노엔이 3분기에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과 수액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HK이노엔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2156억 원, 영업이익은 0.7% 증가한 224억 원, 당기순이익은 2.8% 감소한 14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매출이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케이캡의 국내 판매 증가와 함께 완제품 수출 지속, 중국 로열티 일부 반영, 수액 성장 가속 등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케이캡의 경우 3분기 처방실적이 4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했다. 자체 매출로는 국내 313억 원, 수출 16억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내 유방암 치료 지형 바꾼 '엔허투' 급여 확대 이뤄낼까
2
의약품유통업체 지급수수료, 전년比 6.2% 증가…부담 가중
3
비상장 제약사, 지난해 인건비 6120억원…평균 부담율 8.0%
4
미래의료포럼 새 출발, 의료정책 '열린 싱크탱크' 목표
5
"종근당 천안공장, AI 스마트 팩토리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6
HK이노엔, 1Q 영업이익률 10% 회복…ETC·컨디션 매출 효과
7
100만 파킨슨 환자·가족, 여전히 정책 사각지대
8
의협 "대체조제 간접통보는 위법이자 환자 위협"‥약사법 철회 촉구
9
포말리도마이드 중대 약물이상반응↑…허가사항 변경 마련
10
"수급추계위 구성, 법적 근거 불명확"‥대전협 비대위도 복지부 강력 비판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