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되는 美-中 무역갈등…"중국산 주사기 제재 압박"

FDA, 중국산 주사기 제조사 4곳 수입 금지에 관세 50% 인상
생물안보법 제정까지 코앞…국내 바이오·의료기기 '반사이익' 전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4-05-20 05:57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미국이 보건의료 분야까지 대중국 규제 대응 수위를 강화하고 있다. 주요 산업품목에 대한 중국산 제품 관세 인상과 함께 미국 보건당국이 중국산 플라스틱 주사기 제조사에 대한 추가 수입 제재를 내렸다. 

중국 바이오산업을 겨냥한 생물안보법이 미국 의회 통과를 앞둔 시점에 나온 결정이어서 주목된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중국 내 플라스틱 주사기 제조업체 저장룽더제약과 상하이 카인들리 엔터프라이즈 두 곳을 추가로 수입 금지 조치했다. 

그러면서 FDA는 해당 제조사들이 만든 플라스틱 주사기에서 심각한 품질 결함을 발견했다고 했다. 플라스틱 주사기에서 약물이 누출되거나 파손 위험이 있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FDA는 중국산 주사기 수입 문제를 두고 지난해 11월부터 압박에 들어갔다. 

당시 FDA는 중국에서 제조된 플라스틱 주사기에 대한 품질 문제 보고를 받은 직후 타국가 제조 제품으로 전환해 달라 안내했다. 사실상 권고 수준에 그친 셈이다.  

그러다 FDA는 지난 3월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권고수위를 한층 높였다. 

중국 주사기 제조기업 두 곳에 대한 수입 제재를 내린데 이어 미국 내 의료 소비자 및 의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특정 중국 기업에서 제조된 플라스틱 주사기를 타 국가 제품으로 즉시 전환할 것을 촉구하면서다. 

여기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7일 중국산 주사기와 바늘, 고무장갑, 안면 마스크 등의 관세율을 0%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 의회와 행정부 모두 바이오산업에서 대중국 대응 수위를 한층 높여 나가고 있는 가운데 사실상 중국산 의료기기까지 수입 제재에 나서는 상황. 중국 의료산업 마저 미국의 보건안보 이슈와 맞닿아 있다고 규정한 셈이다. 

따라서 미국이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여갈수록 국내 기업으로서는 반사이익을 얻게 될 전망이다. 

실제 국산 주사기의 수출액 규모는 2021년 기준 6200만달러 규모다. 그중 상당 부분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제재를 통해 더 큰 기회를 노릴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주사기나 안전 주사기 등은 미국 벡톤디킨스나 독일 비브라운 등이 주요 플레이어로 나설 정도로 부가가치가 큰 시장이다. 

한편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는 지난 15일 중국 바이오기업의 미국 내 사업을 제한하는 생물안보법을 통과시켰다. 앞서 이 법안은 지난 3월 미국 상원 상임위를 통과한 바 있다.

이에 상원 및 하원 전체회의와 대통령 서명 절차만 마무리된다면 중국 CDMO 기업으로선 미국 현지 거래처 확보에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관련기사보기

美 '생물보안법' 중국 CDMO 협력, 2032년까지 유예 허용 전망

美 '생물보안법' 중국 CDMO 협력, 2032년까지 유예 허용 전망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미국 제약바이오 기업과 중국 CMO/CDMO 기업과의 협력 종료가 2032년까지 유예될 전망이다. 13일 키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는 특정 중국 생명공학 기업을 제한하는 생물보안법 개정안과 관련해 미국 기업이 신규 파트너를 찾는데 필요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기존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2032년 1월 1일 전까지 허용키로 했다. 이는 미국바이오협회가 실시한 '바이오제약 공급망 핵심 요소 이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종합적으로 반영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생물보안법 통과 임박…국내 바이오 업계 대처 방안은?

미국 생물보안법 통과 임박…국내 바이오 업계 대처 방안은?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중국 바이오 기업의 미국 내 활동을 제한하는 생물보안법이 통과를 앞둔 가운데, 국내 바이오 업계의 대처방안에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 6일 미국 상원 국토안보위원회는 중국 바이오기업과의 거래를 제안할 수 있는 '생물보안법안(Biosecure Act)'을 11대 1로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은 미국인의 개인 건강과 유전 정보를 우려기업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지난 2022년 9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내 생명과학·공학 활용 산업 분야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