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폐렴, 감기와 달라…작은 변화도 위험 신호 될 수 있어

'폐에 심한 염증' 생기고 숨쉬기 힘들어져…고열·기침 등 전형적 증상 없을수도
고혈압과 당뇨 등 기저 질환 있으면 폐렴 위험 크게 증가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5-08 10:24

최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직접 사인은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이었으나 그는 오랜 기간 폐렴 치료를 받아왔다. 폐렴은 감기와 동일한 호흡기 질환이지만 원인과 증상 위험성이 다르다. 감기는 대개 1주일 안에 저절로 회복되지만 폐렴은 치료하지 않으면 악화되고 노인과 어린이, 기저질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폐렴이란 폐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세균과 바이러스, 곰팡이 같은 병원균이 폐에 들어와 생긴다. 쉽게 말하면 폐에 감염이 생겨 숨쉬기가 힘들고 열이 나는 병이다. 감기는 주로 코와 목(상기도)이 감염돼 콧물이 나고 목이 따끔하지만 폐렴은 폐(허파) 깊숙한 부위가 감염돼 숨이 차고 고열이 난다.

노인은 감기처럼 보이더라도 폐렴 가능성을 항상 의심해야 한다. 노인은 폐렴 발생률이 높고 사망률도 젊은 층보다 훨씬 높다. 특히 75세 이상에서는 폐렴이 사망 원인 상위권이다. 노인은 기침하거나 가래를 뱉는 힘도 약해져 병균을 잘 못 내보내며 입이나 목에 있던 세균이 폐로 쉽게 넘어가 폐렴이 된다.

고혈압과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으면 폐렴 위험이 크게 증가하며 백혈구 기능이나 점막 방어력도 약해진다. 입원 치료 중 감염되는 병원성 폐렴은 특히 예후가 나쁘다. 노인에게 폐렴이 생기더라도 증상 인식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고열이나 기침 같은 전형적인 증상이 약하거나 없을 수 있다.

세란병원 내과 장준희 부장은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노인은 면역력이 약해 쉽게 걸리고 기운 없음이나 헛소리 같은 애매한 증상으로 시작할 수 있다"며 "젊은 사람은 기침과 열이 먼저 나타나는데 노인은 식욕 떨어짐, 기운 없음, 정신혼란 같은 애매한 증상이 먼저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인은 평소와 다른 작은 변화가 폐렴의 신호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기운이 없고 누워만 있으려고 함 ▲숨을 쉬는데 가쁜 느낌이 생김 ▲말이 어눌해지거나 사람, 장소를 헷갈려 함 ▲식욕의 급격한 감소 ▲기침과 가래 ▲미열과 오한 ▲입이 심하게 마르고 소변이 줄어듦 등이 있다.

즉 기침, 가래, 호흡곤란, 의식 저하, 식욕 저하 등 초기 변화가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감기 같다'고 방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노인 폐렴은 폐렴구균 백신 접종,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매년 접종 등을 받아야 하며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노인은 구강 세균이 폐로 넘어가면서 폐렴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으므로 구강 위생 관리도 중요하다.

장준희 부장은 "65세 이상에서는 폐렴 발생률이 젊은 사람보다 5배 높고, 입원할 확률도 훨씬 많다"며 "폐렴을 절반 이상 예방할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을 꼭 하고, 틀니를 매일 깨끗이 세척하는 등 입과 치아를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 평소와 다른 작은 변화가 폐렴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부모님의 건강을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