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반기 혁신신약 승인 '급증'…美, 예산삭감 여파 감소세

43개 혁신신약 승인한 중국, 전년比 59%↑…희귀·소아의약품 우선심사 확대
美는 FDA 구조조정·NIH 예산삭감에 신약 승인 5건 감소…장기 영향 우려
중국 R&D 파이프라인 세계 25% 차지…"3000건 이상 임상 중" 자평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7-25 11:49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세계 주요국의 신약 허가 동향에서 중국은 급격한 증가세를, 미국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며 대조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중국은 국가 차원의 제도 개선과 우선심사 정책 확대를 통해 승인 신약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미국은 정부 예산삭감과 규제기관 구조조정 여파로 신약 허가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승인한 혁신신약은 총 43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한 수치이며, 지난해 전체 승인 건수(48건)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NMPA 의약품등록관리부 양팅 주임은 "2018년 의약품 심사 승인 개혁 이후 심사 기준이 개선되고, 신약 개발 초기부터 승인까지 전주기를 가속화하는 성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반기 중국에서 승인된 주요 제품에는 ▲중국 최초의 혈우병 B 유전자 치료제 ▲면역대사 질환 치료용 희귀의약품 ▲줄기세포치료제 ▲신형 항인플루엔자 A 치료제 등이 포함됐다. 특히 사회적 수요가 높은 질환을 중심으로 한 '스타' 치료제들이 다수 승인되며 시장과 환자 모두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희귀질환 돌봄계획'과 '소아의약품 별빛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분야 연구개발을 장려하고 있으며, 올 한 해 동안 희귀의약품 21개, 소아의약품 70개가 승인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의 R&D 파이프라인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다. 양팅 주임은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임상 파이프라인의 약 25%를 점유하고 있으며, 연간 3000건 이상이 임상시험에 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은 정부 차원의 예산 삭감이 신약 개발 및 승인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의회예산처(CBO)에 따르면,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예산이 10% 줄어들 경우 향후 30년간 임상 1상 진입 가능성이 있는 신약 후보물질이 30개 줄어들고, 전체 신약 출시 수는 연평균 4.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NIH의 2026년 예산을 전년 대비 40% 삭감한 275억달러로 책정한 바 있다.

또한 FDA 역시 구조조정으로 인해 직원 3500여명을 해고한 뒤 일부 재고용하는 과정을 겪으며 신약 심사 기간이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FDA 신약 승인 수는 16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21건 대비 5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BO는 FDA 심사기간이 9개월 늘어날 경우 향후 30년간 첫 10년간 3개의 신약이, 두번째 10년과 세번째 10년간 각각 10개의 신약이 줄어들며 총 23개 신약의 출시가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보기

NIH 예산 40% 삭감 · FDA 심사지연…美 신약개발 '경고등'

NIH 예산 40% 삭감 · FDA 심사지연…美 신약개발 '경고등'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정부의 보건예산 축소 방침이 현실화되면서, 향후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에 적잖은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연구개발의 핵심 축인 NIH(미국국립보건원) 예산 삭감과 FDA의 신약 허가 지연이 맞물리며, 미국 내 신약 승인 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2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미국 의회예산처(CBO)는 지난 18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추진 중인 보건당국 예산 삭감이 신약개발 전반에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의약품 관세 200% 경고…1년 유예 시사에 업계 주시

트럼프, 의약품 관세 200% 경고…1년 유예 시사에 업계 주시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의약품 제조 기반 강화를 이유로 수입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즉각적인 시행 대신 1년에서 1년 반 가량 유예기간을 주겠다고 밝혀, 업계 전반에 미칠 파급 효과를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9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의약품에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며 "하지만 우리는 사람들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기간을

中, '혁신 신약 르네상스' 드라이브…고가약 수익화 지원

中, '혁신 신약 르네상스' 드라이브…고가약 수익화 지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중국 정부가 고가 혁신 신약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및 투자 활성화를 골자로 한 신약 연구개발 지원 정책을 발표하면서, 바이오제약 산업의 체질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 국가의료보장국(NHSA)과 국가위생건강위원회(NHC)는 지난 1일, 국무원의 승인을 거쳐 ‘혁신 약물의 고품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를 공동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의료보험 데이터 개방 ▲상업건강보험을 통한 장기 투자 유도 ▲혁신 신약 전용 보험

中, 제약바이오 라이선스 거래 글로벌 허브로…美·中 거래 급증

中, 제약바이오 라이선스 거래 글로벌 허브로…美·中 거래 급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중국이 바이오제약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거래의 중심지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미국 제약사들이 중국 기업과의 라이선스 계약을 대거 체결하며, 차세대 치료제 개발의 핵심 파트너로 중국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을 전제로 한 통상압력 강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기술 협력은 확대되는 양상이다. 18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글로벌데이터(GlobalData)가 로이터에 제공한 자료를 인용, 올해 미국 제약기업들은 6월까지 중국 바이오기업과 총 14건, 약 183억달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