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A POLICY, '회원 직접 제안'으로 확대‥정책 아젠다 공론화 시동

특별위, 제안 경로 다변화 논의…개인 회원 참여 문호 넓힌다
'질보다 확장성'에 무게…홈페이지 접수·블라인드 의견 수렴 기능도 추진
KMA POLICY가 의료정책의 표준으로…"회원 권익·국민 건강 함께 지켜야"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8-07 16:50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의사협회 KMA POLICY 특별위원회가 정책 제안 경로를 기존 단체 중심에서 개인 회원까지 확대하는 방향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KMA POLICY(안)에 담고, 회원 참여 기반의 보건의료정책 공론화 구조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별위원회는 지난 2일 제14차 회의를 열고, 내년 제78차 정기총회에 상정할 신규 POLICY(안) 다수를 발굴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그중 핵심은 홈페이지를 통한 제안 접수 확대와, 비정형적 형식의 제안도 허용하는 포용적 플랫폼 운영이었다.

지금까지 KMA POLICY는 시도의사회, 의학회, 협의회 등 8개 단체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위원회가 조사·연구한 뒤 총회에서 의결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KMA POLICY가 9년간 축적한 150개 아젠다가 점차 체계를 갖춰가면서, 이제는 보다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의료정책 제안 경로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김정철 위원장은 "지역이나 직역을 초월해 의사뿐 아니라 국민도 공감할 수 있는 의협의 원칙이 KMA POLICY로 정립될 것"이라며 "의료농단을 겪으며 자각한 우리 회원들이 이제는 POLICY 중심으로 직접 주도해야 환자의 건강과 회원 권익을 지킬 수 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회원 누구나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고 기존 양식 외에 비정형 제안도 접수 허용하며, 블라인드 의견 수렴 기능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개인 이익이나 소수 이익에 국한된 제안서의 질적 저하 우려도 제기됐지만, 바른의료연구소나 의원협회 등 비공식 단체들이 활발히 정책 활동에 나서는 현실을 반영해 개방성과 확장성에 우선순위를 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위원회는 접수된 제안서가 각 분과위원회(법제 및 윤리, 의료 및 의학정책, 건강보험정책)에서 숙의 과정을 거쳐 의협의 공식 정책안으로 재구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안서의 수준은 위원회 심의 과정을 통해 충분히 담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개인 제안자 참여를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차기 회의에서 운영규정 개정을 거쳐 대의원회 운영위원회 승인을 받기로 했다. 또한 회원 10인 이상 동의 요건 등 제도적 장치도 마련해 제출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KMA POLICY는 지난 9년간 의료현안에 대한 공식 입장을 정리한 아젠다 150개를 생산하며 정책 틀을 다져왔다. 위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의료정책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진정성 있는 답을 제시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기존 8개 단체로부터 8월 27일까지 홈페이지 접수를 받고 있으며, 이후 위원회 운영규정 개정 절차에 따라 개인 제안자 포함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홈페이지에서는 회원은 물론 일반 국민도 기존 150개 POLICY를 열람할 수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아젠다로 ▲청구오류로 인한 과소청구의 재청구 시 소급적용 대상기간의 형평성 보장 ▲SGR 모형의 문제점 및 폐지 필요성 등 2건을 POLICY(안)으로 채택해 차기 정기총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