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규제 변화에 글로벌 임상시험 재편…한국 전략적 입지 ↑

AI 기반 임상 설계부터 디지털 환자관리까지…글로벌 임상시험 혁신 가속
FDA·MFDS 등 신속 승인 제도 분석…"빠른 만큼 전략적 준비가 관건"
투자자, 한국 CRO에 주목…"속도·유연성 갖춘 기술 파트너 부상"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5-09 12:04

'바이오코리아 2025' 중 '최신 글로벌 임상시험 트렌드와 기술의 진보' 세션에서 각 참가자들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임상시험이 신약개발의 한 단계를 넘어 디지털 기술과 전략적 규제 대응, 글로벌 자본이 집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AI 기반의 임상 설계 최적화, FDA·MFDS의 신속 승인 전략, 글로벌 투자자의 관점에서 본 임상시험 생태계가 서로 맞물리며 새로운 기준을 세우고 있다. 국내 기업에게는 변화하는 흐름을 선도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역할을 확장할 기회이자 과제가 동시에 부상하고 있다.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25' 중 '최신 글로벌 임상시험 트렌드와 기술의 진보' 세션에서는 이러한 변화 흐름을 조망하고, 한국이 보유한 디지털 인프라와 임상 역량을 글로벌 협력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전략적 논의가 이어졌다.

좌장을 맡은 문한림 메디라마 대표는 "임상은 단순한 개발단계를 넘어서 기술과 정책, 투자 전략이 맞물리는 통합 설계 과정으로 진화 중"이라며 "한국이 이 변곡점에서 중심 허브로 부상할 수 있는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벤 필립스 Syneos Health 컨설턴트, 유정희 메디팁 대표. 사진=최인환 기자

벤 필립스 Syneos Health 컨설턴트는 AI 기반 임상시험 트렌드를 소개하며, "2025년은 AI가 임상 데이터 수집·분석의 '조력자'에서 전략 수립의 '사고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대규모 비정형 텍스트 분석, 환자 여정 기반 모집 전략, 규제기관 대응 자동화 등 실증 기반의 기술 사례들이 소개됐다.

MFDS의 조건부 승인 전략을 설명한 유정희 메디팁 대표는 "한국은 글로벌 기준을 따르면서도 일부 고유한 규제 특성을 갖고 있다"며, 프리 리뷰와 프리 컨설팅, 비OECD 국가 GLP 인정 등 차별적 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전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희귀의약품(ODD) 지정 등을 통해 조건부 허가로 이어지는 구조는 글로벌 기업에게도 전략적 진입 경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이승헌 히로코리아 선임 매니저, 메이 로 APC Impact 디렉터. 사진=최인환 기자

이승헌 히로코리아 선임 매니저는 FDA의 Fast Track, Breakthrough Therapy, RMAT, Accelerated Approval 등 5대 신속 승인제도의 요건과 활용 전략을 설명하며 "신속한 승인은 기회이자 리스크"라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FDA는 단일 임상으로 승인과 확증을 동시에 노리는 '원 트라이얼 전략'을 권고하고 있어 초기 단계의 설계 완성도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임상시험 시장에서 한국의 CRO 및 바이오텍이 투자자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를 설명한 메이 로 ABC Impact 디렉터는 "기술 기반 CRO의 글로벌 수요는 빠르게 증가 중이며, 한국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피해가는 신뢰 가능한 허브로 부상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들은 CRO의 기술 역량, 속도, 유연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단순한 외주 업체가 아닌 장기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오코리아 2025' 중 '최신 글로벌 임상시험 트렌드와 기술의 진보' 세션에서 패널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세션 말미에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기술, 규제, 투자 중 하나라도 결여될 경우 임상시험의 성공 가능성은 급격히 낮아진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높은 인프라와 임상 품질, 데이터 활용 역량을 갖춘 만큼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생태계 확장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진 기술 피칭 세션에서는 플랜잇스퀘어, 트라이벨랩, 에버엑스 등 국내 기업들이 자사 솔루션을 소개하며 디지털 기반 임상시험 생태계의 확장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줬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커넥티드 의료기기, 모바일 기반 디지털치료제 등 기술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구체적 사례가 발표됐다.

관련기사보기

'보령엔 다 계획이 있다'…우주 의학 생태계 구축 그린다

'보령엔 다 계획이 있다'…우주 의학 생태계 구축 그린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2022년, 보령이 우주산업에 진출한다는 소식은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제약사의 우주산업 진출이라는 사실이 이례적인 만큼 여전히 의구심을 가진 눈초리가 따라붙고 있지만, '다 계획이 있다'는 것이 보령 입장이다.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5(BIO KOREA 2025)'에 마련된 컨퍼런스 중 세션9에서는 '우주에서의 생명과학 : 바이오헬스의 새로운 지평'을 주제로 한 여러 강의가 펼쳐졌다. '우주 바이오'에 대한 관심은 우주산업의 발전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제약 슈퍼 인텔리전스로 노화 극복 꿈꾼다"

"제약 슈퍼 인텔리전스로 노화 극복 꿈꾼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제약·바이오 분야에서도 AI 기반 신약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제약 슈퍼 인텔리전스'를 통해 질병과 노화를 모두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알렉스 자보론코프(Alex Zhavoronkov)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 설립자 겸 대표(CEO)는 7일 개막한 '바이오 코리아 2025(BIO KOREA 2025)'에서 기조강연을 맡아 제약 슈퍼 인텔리전스를 통한 질병과 노화를 치료하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인실리코 메디

"AI, 도구 넘어 '연구자'로…남은 건 데이터 인프라와 법·제도"

"AI, 도구 넘어 '연구자'로…남은 건 데이터 인프라와 법·제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인공지능(AI)이 신약개발의 '도구'를 넘어 이제는 '연구자'의 역할로 진화하고 있다. 기존 실험과정의 생산성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 신약 타깃 탐색과 적응증 확장, 안전성 예측, 구조 설계까지 주도하는 주체로서 AI의 잠재력이 본격적으로 입증되는 모습이다.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혁신과 협업,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Innovation and Collaboration: Building the Future Together)'를 주제로 '바이오코리아 2025(BIO KOREA 2025

"GMP, 단순한 품질 기준 아냐…ESG와 연결된 생존 전략"

"GMP, 단순한 품질 기준 아냐…ESG와 연결된 생존 전략"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글로벌 규제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GMP(우수의약품제조기준)가 더 이상 단순한 품질 기준이 아닌 '거버넌스'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ESG 경영 역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실질적 기준으로 작용하며, 이제 제약·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진출 여부를 결정짓는 요소로 자리 잡았다. 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코리아 2025'에 마련된 '지속가능한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인허가 전략' 세션에서는 규제 전문가, 산업계 실무진, 글로벌 파트너십 관계자들이 cGMP와 ESG의

[현장] '바이오코리아 2025' 개막…20주년 넘어 미래로 도약

[현장] '바이오코리아 2025' 개막…20주년 넘어 미래로 도약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20주년을 맞은 '바이오코리아 2025'가 기술 홍보의 무대를 넘어, 글로벌 협력과 산업 전략이 교차하는 실질적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AI 신약개발, 재생의료, CDMO, 투자 트렌드까지 바이오헬스 전 분야를 아우르며 'K-바이오'의 미래 경쟁력을 가늠하는 무대로 거듭나는 모습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보산진)과 충청북도(지사 김영환, 이하 충북도)가 공동 주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바이오코리아 2025(BIO KOREA 2025)가 5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